• Title/Summary/Keyword: 초기적응과정

Search Result 140,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수치모의를 이용한 하천의 준설로 인한 교란하천의 적응과정 연구

  • Jang, Chang-L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619-623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1차원 수치모형을 개발하여 하천준설 인한 교란하천의 적응과정을 파악하였다. 본 1차원 수치모형의 특성은 하천의 혼합사와 부유사의 거동을 모의할 수 있다. 하천준설 규모의 변화에 따른 하상변동과 하천의 적응과정을 파악하기 위하여, 하천준설의 채취장 길이는 일정하고, 채취 깊이가 변하는 경우와 채취 깊이가 일정하고 채취장의 길이가 변하는 경우에 대하여 검토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채취장을 중심으로 상류에는 하상이 저하되어 상류로 전파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채굴장 직하류에서는 하상이 저하되고 있고, 하류에는 다시 하상이 상승하는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채취장에서 하상의 상승은 초기에는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그 증가율은 감소하고 있다. 채치장 상류에서는 하상저하가 초기에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느리게 진행되고 있고, 그 영향은 상류로 먼 거리까지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하류에서 하상저하는 상류로 그 영향이 적다. 채취장을 중심으로 수심의 변화는 시간의 증가에 따라 하류에는 수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상류에서는 수심이 감소하고 있다. 시간에 따라 수심의 변화율이 감소되고 있는 것은 교란된 하천이 적응해 가면서 평형상태에 도달해 가는 과정에서 하상변화가 감소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채취장의 채취 깊이가 깊을수록 세굴심의 하류도 이동속도는 작아지며, 이것은 채취장은 채취규모가 커지면 하천의 교란이 있은 후에 적응하는 기간이 길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무차원 하상고는 채취장의 채굴심도가 작을수록 커지며,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채취장의 채취장 길이가 길수록 하류로 이동하는 속도는 작아지며, 이것은 채취장의 채취규모가 커지면 하천의 교란이 있은 후에 적응하는 기간이 길어지는 것을 보여주었다. 무차원 하상고는 채취장의 채굴장의 길이가 짧을수록 커지며,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 PDF

The difficulties of Teachers During the Process of Early Adaptation in Day Care Center (어린이집 초기적응과정에서 나타난 영아반 보육교사의 어려움)

  • Park, So Yun;Seo, Hyun Ah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 /
    • v.11 no.2
    • /
    • pp.331-354
    • /
    • 2015
  • This study attempts to reveal the difficulties of teachers during the process of infant's early adaptation in the day care center and realize the thought and demand of teachers.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 desirable development in infant's early adaptation.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9 infants all 1 year of age, their 7 parents, and 8 teachers of S public child day care center in P city. The 8 teachers were interviewed several times.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difficulties in their relationships with the parents are 1) egotism focusing on only their own child, 2) distrust between the teachers and parents, 3) a lack of understanding in the role as parents at early adaption programs, 4) and a lack of understanding in the management of the day care center. Second, in their relationships with the infants, the teachers'difficulties are 1) the uncontrollable behaviors of infants, 2) the arbitration of struggle between children, 3) and the inequality between enrolled and fresh infants. Third, in their relationships with the teachers, the difficulties are 1) co-work with other teachers 2) and conversation with the director of the day care center. This study is expected to give actual help to understand the difficulties of teachers who experience difficulties in the early infant adaptation process and to provide important preliminary data to plan specific management which assist with the difficulties of teachers.

On Codebook Fesign to Improve Speaker Adaptation (화자 적응 성능 향상을 위한 코드북 설계)

  • 양태영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5.06a
    • /
    • pp.228-231
    • /
    • 1995
  • 반연속 HMM 음성인식 시스템의 화자 적응 성능 향상을 위해 코드북 변환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기존의 화자 적응 알고리즘으로는 새로운 화자의 적응 데이터 특징의 분포와 HMM 모수의 사전밀도를 함께 고려하는 베이시안 화자적응 알고리즘이 있다. 그러나 새로운 화자의 특징분포와 코드북 사전 밀도의 차이가 큰 경우 적응 데이터와 코드북간의 잘못된 대응 관계를 얻을 수 있으며, 기준 코드북에 필요 이상으로 많은 코드워드가 존재하는 경우 적응된 코드북에도 불필요한 코드워드 들이 남아 인식 과정에 혼란을 줄 수 있다.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코드북 변환 알고리즘에서는 주파수 영역의 포만트 정보를 이용하였다. 화자 적응을 수행하기 앞서 코드북의 켑스트럼으로부터 포만트를 추출해 내고, 이들의 분포를 적응 화자의 포만트 분포와 일치되도록 변환시켜 주었다. 이 변환된 포만트들로부터 다시 켑스트럼을 구하여 변환된 코드북을 얻고 이를 화자 적응의 초기 코드북으로 사용하였다. 제안된 알고리즘을 이용하였을 경우 코드북과 적응 화자의 음성 간의 정확한 대응관계를 찾을 수 있었고, 불필요한 코드워드들이 인식 과정에서 사용되지 않도록 변환되어 인식률이 향상되는 것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Adaptation Process of North Korean Immigrant Youth Discontinuing Formal Education (학업중단 북한이탈 청소년의 적응과정에 관한 질적연구)

  • Yang, Young Eun;Bae, Imho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 /
    • v.41 no.4
    • /
    • pp.189-224
    • /
    • 2010
  • Nowadays Korean society has a fast growing population of North Korean immigrant youth. Especially, North Korean immigrant youth, who are discontinuing formal education, experience difficulties in social exclusion and adapta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of adaptation and social support of North Korean immigrant youth discontinuing formal education, and to seek affirmative supporting plans and solutions for their adaptation. The methodology utilized for this study was a case study research. On the basis of the results and categorization, 'a network between overall categories and of early adaptation' was derived.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experienced major difficulties during 'economical adaptation', and their economical adaptation was strongly interrelated with their 'educational adaptation'. The discontinuing of their education resulting from their fleeing period caused 'academic differential and age disparity.' Thus they could not enroll in the formal education system, and their insufficient educational background resulted in low wages and overwork due to manual labor jobs. Second, participants recognized 'interpersonal relations' as the most essential factor in adaptation, and 'social support' from the interpersonal relation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adaptation to and comfort in Korean society. 'Interactions with South Koreans' was recognized as a significant resource for gaining informational and appraisal support, but was not activated satisfactorily. On the other hand, interaction with North Korean immigrants was avoided by the reason that 'there's nothing to learn', however emotional support from North Korean immigrants of close relationship played an important role in participants' adaptation, especially in all aspects of psychological adaptation. Third, participants experienced a lot of difficulties and stresses in their 'physical health and psychological adaptation'. Their chronic diseases worsened by remaining untreated, and female perceived symptoms were observed more often than in male. Meanwhile, excessive 'stresses' from the unfamiliar environment of South Korea negatively affected their psychological adaptation. However, they were satisfied with sense of liberty and security from living in a democratic society.

A Case Study on Mother's Perceived the Adaptation Process and Program of One-year-old Toddlers in Daycare Center (어머니가 인식하는 만 1세 영아의 어린이집 초기 적응과정 및 적응프로그램에 관한 사례연구)

  • Chung, Hyo Jin;Choi, Hyun Suk
    • Korean Journal of Child Education & Care
    • /
    • v.19 no.3
    • /
    • pp.99-113
    • /
    • 2019
  • Objective: This study is a case study on mother's perceived the adaptation process and program of a one-year-old toddlers in daycare center. Methods: This study is a case study of four mothers who live in Seoul, South Korea and whose first child enters in daycare center at 18 or 20 months. The data collection method was applied to group interview and the individual in-depth interview method. Results: After the interview data was analyzed, first, they decided to enroll their child to a daycare center after two mothers were pregnant with the second child or the others received a phone call for admission. The first impression of the teachers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choice of admission when mother first visited the daycare center. mother, as well as toddlers who exhibited anxiety, experienced an adaptation process. Through communication between mother and teacher, mothers could feel the toddler's adaptation. Second, as for the difference of the adaptation program according to the daycare center type through the adaptation process of the one-year-old toddlers, there was a big difference in the program guide, the period, the content and the proceeding method. Conclusion/Implica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a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the adaptation program for one-year-old toddlers in daycare center at the national level.

A Study on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Early Adjustment Process to Daily Life in the Kindergarten (다문화가정 유아의 유치원생활 초기적응과정에 대한 연구)

  • Oh, Jae-Yeon;Nam, Min-Woo;Kim, Kyang-Ran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 /
    • v.19 no.1
    • /
    • pp.95-127
    • /
    • 2012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s adjustment process to kindergarten and differences in their adjustment among time points. For these purpose, we conducted interviews and a questionnaire survey with teachers in charge of 3-5-year-old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t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in Gwangju, Jeollanamdo and Daeje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adjusted themselves to kindergarten through four weeks' daily life in the kindergarten. In daily work adjustment, they showed some difficulty in Week 2 but their adjustment improved rapidly in Week 3 and Week 4. Self adjustment and peer adjustment also improved notably in Week 3 and Week 4. In pro-social adjustment, the children showed difficulty in Week 2, improvement in Week 3, and again difficulty in Week 4. These results suggest that, by responding to the teacher's sensitivity and intimacy, young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have a pattern of adjustment similar to that of young children in Korea families.

A Study on Health Care Practices of Korean Immigrants in Transition (재미 한인들의 건강관리 실천에 관한 연구)

  • Im Eun-Ok
    •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 /
    • v.10 no.1
    • /
    • pp.39-57
    • /
    • 1996
  • 미국은 이제까지 서구 백인문화 중심적으로 간호학을 발전시켜왔다. 그러나 국제적인 세계화 흐름과 함께 이제까지 경시되어 왔던 소수 민족들에게 차츰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이러한 간호학의 추세와 함께 재미 한인들의 증가는 간호학 내의 한인들에 대한 문화적 지식의 확대를 필요로 하게 하였다. 이민이라는 과정을 통해서 이민자들은 새로운 가치관. 태도. 사회적 규범을 획득하게 되는데. 이러한 변화는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이민 적응과정에서 오는 어려움 들은 이민자 들이 건강관리를 효과적으로 하지 못하게 하는 주원인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재미 한인들의 건강관리실천을 그들의 초기 이민 과정에서 겪게 되는 여러 경험에 초점을 맞추면서 면담조사와 사례 연구를 통하여 살펴보았다. 임의 표본 추출된 미국 캘리포니아주 오클랜드에 있는 한 한인 교회의 20명의 교민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초기 이민경험과 건강관리 실천에 관한 면담 조사가 이루어졌으며 대상자 중 3인을 대상으로 하여 사례 연구가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재미 한인들은 타이민자들에 비해 소규모 사업에 종사하는 경우가 많고 높은 취업 율에 비해 낮은 수인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인들은 타이민자들에 비해 좀 더 보수적이며 그들의 문화와 관습을 가능한 한 고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인들은 사회 참여와 대인 관계에 있어서 한인 사회에만 한정되게 활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미 한인들은 한인 사회 내에서 강력한 사회적 유대관계를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족의 영향력이 타민족들에 비하여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언어 장벽이 가장 큰 문제로 보고되고 있으며 비록 성공적으로 미국 사회에 적응을 하더라도 계속적인 경제적인 생존 노력과 사회적으로 소외된 그들의 위치는 그들의 삶을 계속해서 어렵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초기 이민 적응과정에서 오는 어려움 들은 그들의 건강을 비효과적으로 관리하게 만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적절한 통역자를 사전에 선정, 이용함으로써 적절한 간호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야겠다. 둘째. 한인을 대하는 간호 제공자들은 한인에 대한 문화적 지식을 겸비하고 그 지식에 근거를 둔 문화적으로 적절한 간호를 제공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간호 제공자들은 한인들의 치료법 혼용을 이해하고 동시에 여러 치료법을 사용하는 경우. 잘 살펴서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할 것이다. 넷째, 가족관계를 사정하고 적절히 가족 구성원을 간소 목적을 위하여 사용할 수 있어야 하겠다 마지막으로 이들 내의 위험 집단을 우선적으로 파악. 접근하여야 할 것이다. 위험 집단으로는 경제적 문제로 적절한 의료 이용을 할 수 없는 저소득층, 문화적으로 열등한 위치에 있는 여성층과 초기 이민 적응에 가장 문제를 일으킬 소지가 있는 노년층을 들 수 있겠다. 이 연구는 몇 가지 제한점을 가진다. 첫째. 연구 대상자 선정이 어려워서 자원자를 대상으로 연구가 행해졌다. 둘째. 적은 수의 연구 대상자를 대상으로 연구가 행해졌다. 셋째. 연구기간이 짧았던 까닭에 좀더 상세한 사례 연구가 이루어질 수 없었다 좀 더 신뢰할 수 있는 표본 추출 방법을 통하여 선정된, 많은 연구 대상자를 가지고, 심도 있는 연구가 추후 반복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PDF

An Adaptive Hexagon Based Search for Fast Motion Estimation (고속 움직임 추정을 위한 적응형 육각 탐색 방법)

  • 전병태;김병천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29 no.7A
    • /
    • pp.828-835
    • /
    • 2004
  • An adaptive hexagon based search(AHBS) algorithm is proposed in this paper to perform block motion estimation in video coding. The AHBS evaluates the value of a given objective function starting from a diamond-shaped checking block and then continues its process using two hexagon-shaped checking blocks until the minimum value is found at the center of checking blocks. Also, the determination of which checking block is used depends on the position of minimum value occurred in previous searching step. The AHBS is compared with other fast searching algorithms including full search(FS).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algorithm provides competitive performance with slightly reduced computational complexity.

A Study on the Initial Weight Value in Broad-Band Adaptive Arrays (광대역 신호용 적응 비임 형성기의 초기 가중치에 관한 연구)

  • 한동호;임동호;신철재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14 no.5
    • /
    • pp.549-560
    • /
    • 1989
  • In this paper, the method of determining the initial weighting vlaues fuctioning as a filter under the Directional Constrained Minimization of Power(DCMP) algorithm is presented. By analyzing the sideband beamformer with the Finite Impulse Response (FIR) filter concepts, the constraints of any desired directions are obtained and the initial weighing values with fast adaptation time are formulated from those constraints. By applying this proposed initial weighting values to the DCMP and the spatial averaging processor, the interference of a desired direction and the coherent noises are eliminated at the same time. The improvement of this method compared with the existing algorithm is confirmed by computer simulation.

  • PDF

On Codebook Design to Improve Speaker Adaptation (음성 인식 시스템의 화자 적응 성능 향상을 위한 코드북 설계)

  • Yang, Tae-Young;Shin, Won-Ho;Kim, Weon-Goo;Youn, Dae-Hee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15 no.2
    • /
    • pp.5-11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a method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a semi-continuous hidden Markov model(SCHMM) speaker adaptation system which uses Bayesian Parameter reestimation approach. The performance of Bayesian speaker adaptation could be degraded in case that the features of a new speaker are severely different from those of a reference codebook. The excessive codewords of the reference codebook still remain after adaptation proess. which cause confusion in recognition process. To solve such problems, the proposed method uses formant information which is extracted from the cepstral coefficients of the reference codebook and adaptation data. The reference codebook is adapted to represent the formant distribution of a new speaker and it is used for Bayesian speaker adaptation as an initial codebook. The proposed method provides accurate correspondence between reference codebook and adaptation data. It was observed that the excessive codewords were not selected during recognition proces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proposed method improved the recognition performanc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