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difficulties of Teachers During the Process of Early Adaptation in Day Care Center

어린이집 초기적응과정에서 나타난 영아반 보육교사의 어려움

  • Received : 2015.02.16
  • Accepted : 2015.04.09
  • Published : 2015.04.30

Abstract

This study attempts to reveal the difficulties of teachers during the process of infant's early adaptation in the day care center and realize the thought and demand of teachers.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 desirable development in infant's early adaptation.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9 infants all 1 year of age, their 7 parents, and 8 teachers of S public child day care center in P city. The 8 teachers were interviewed several times.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difficulties in their relationships with the parents are 1) egotism focusing on only their own child, 2) distrust between the teachers and parents, 3) a lack of understanding in the role as parents at early adaption programs, 4) and a lack of understanding in the management of the day care center. Second, in their relationships with the infants, the teachers'difficulties are 1) the uncontrollable behaviors of infants, 2) the arbitration of struggle between children, 3) and the inequality between enrolled and fresh infants. Third, in their relationships with the teachers, the difficulties are 1) co-work with other teachers 2) and conversation with the director of the day care center. This study is expected to give actual help to understand the difficulties of teachers who experience difficulties in the early infant adaptation process and to provide important preliminary data to plan specific management which assist with the difficulties of teachers.

본 연구는 어린이집 초기적응과정에서 영아반 보육교사가 겪는 어려움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교사들의 생각과 요구를 실제적으로 파악하며 바람직한 초기적응 운영방식의 기초를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P시에 위치한 국공립 S어린이집의 만 1세반 영아 9명과 부모 7명을 관찰하였으며, S어린이집 교사 8명을 심층면담 하였다. 연구에 의하면 교사들은 첫째, 부모와의 관계에서 내 자녀만을 위하는 이기주의, 상호간의 신뢰 부족, 초기적응 프로그램의 학부모 역할 이해 부족, 일과 운영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둘째, 영아와의 관계에서는 우는 아이 달래기, 또래들 간의 다툼 중재하기, 재원 영아와 신입 영아간의 균형 맞추기에서 어려움을 나타내고 있었다. 셋째, 동료와의 관계에서는 동료교사와 협력하기, 원장선생님과 대화하기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이 연구 결과는 영아 초기 적응과정에서 겪는 교사들의 어려움을 실질적으로 이해하고, 교사들의 어려움을 지원할 수 있는 구체적인 운영방안을 마련하는 데 의미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문희, 장연집, 문미옥, 최석란, 조은진 (2003). 아동학의 이해. 서울: 양서원
  2. 고희선, 이은하, 박희경 (2013). 어린이집 초임교사의 초기적응지도 실태 및 인식과 지원을 위한 멘토링 운영 탐색. 한국영유아보육학, 79, 23-43.
  3. 구수연 (2004).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 과정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4. 구수연 (2005). 적응적 측면을 고려한 1-2세 영아 프로그램 방향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9(3), 191-210.
  5. 권미량, 최애경 (2005). 보육시설에서 부모의 갈등과 적응 유형에 대한 사례연구. 생태유아교육연구, 4(1), 1-21.
  6. 권혜진, 고영미 (2014). 영아기 첫 자녀를 어린이집에 보내는 어머니가 경험하는 정서. 한국보육학회지, 14(3), 107-127.
  7. 김동춘, 송미선 (2005). 유치원교사의 갈등관리유형과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2(4), 261-281.
  8. 김보들맘, 신혜영 (2000).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에 관한 탐색적 연구. 유아교육연구, 20(3), 253-277.
  9. 김소희 (2006). 영아 초기적응프로그램에 대한 실태 및 교사의 인식도 조사.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0. 김영미 (2014). 어린이집 교사의 의사결정 참여정도와 교사효능감에 관한 연구. 인간발달중재학회지, 5(2), 35-50.
  11. 김영옥 (2000). 어머니와 교사에 대한 유아의 애착안정성 및 적응행동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2. 김유진 (2003). 영아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3. 김윤숙, 조희숙 (2011). 영아 초기적응 과정에서의 교사-영아, 교사-부모와의 관계에서 드러난 교사의 어려움. 유아교육연구, 31(6), 121-147.
  14. 김은경 (2010). 영아의 기질과 교사의 지도방법이 보육시설 초기적응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5. 김해숙 (2011). 영아의 어린이집 초기 적응지도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실태에 관한 연구.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6. 김혜정 (2006).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보육시설장과의 인간관계가 업무 수행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7. 김희진, 김영애 (2008). 영아 초기적응 지도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태. 유아교육연구, 28(1), 5-25.
  18. 나석희, 이현진 (2012). 어린이집 교사들이 보육경험과정에서 겪는 인간관계의 어려움과 해결방안. 유아교육학논집, 16(1), 69-94.
  19. 박미자 (2009). 영아의 초기적응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연구: 안산시를 중심으로. 아주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0. 박민혜 (2007). 유치원의 신입 원아 오리엔테이션 및 초기적응 과정의 운영실태와 교사의 인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1. 박영아, 엄서영 (2012). 유아의 어린이집 적응 평가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70, 33-53.
  22. 박은미, 조복희 (2003). 3세 유아의 유치원 생활적응에 관한 질적 연구: 교사와의 사회적 관계 형성을 중심으로. 유아교육학논집, 7(2), 207-234.
  23. 백혜리 (2007). 강원도 국공립 보육시설 원장의 신분보장과 처우 개선 방안. 2007 보육의 질 향상을 위한 세미나.
  24. 서소정, 하지영 (2008). 유아의 교육기관 부적응행동에 대한 유아 및 어머니 변인 간의 상호작용 효과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6(1), 73-86.
  25. 서윤정, 이대균 (2011). 어린이집 교사가 부모와의 관계에서 느끼는 스트레스와 대처방법.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8(4), 259-291.
  26. 서윤정, 최서영, 이선정, 이대균 (2012). 유아교사의 직업갈등에 관한 이야기. 유아교육학논집, 16(5), 287-313.
  27. 소재진 (2007). 영아의 어린이집 초기 적응을 위한 교사의 지도방법 연구. 성균관대학교 생활과학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8. 송진숙 (2004).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유아의 적응과 관련변인간의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1(3), 167-189.
  29. 송진숙, 권희경 (2003).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유아의 적응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 및 문제행동에 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8(3), 207-225.
  30. 신유림, 윤수정 (2009). 교사-유아 관계와 유아의 사회적 행동 특성 및 유아교육기관 적응의 관련성: 유아 및 교사의 지각 비교. 유아교육연구, 29(5), 5-19.
  31. 신현정 (2003). 보육시설 초기적응에 대한 보육교사 인식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2. 신희남 (2011). 보육교사가 지각한 영아의 기질과 교사의 지도 방법에 따른 어린이집 적응과의 관계. 인간발달중재학회지, 2(1), 77-96.
  33. 안선희 (2002). 유아의 유치원 초기적응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9(1), 201-219.
  34. 안지혜 (2014). 영아 초기 적응과정에서 영아보육교사가 경험한 어려움과 적응기간의 의미. 한국보육학회지, 14(3), 81-105.
  35. 옥경희, 김미해, 천희영 (2002). 조절력과 부정적 정서 및 문제 행동이 아동의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0(6), 61-88.
  36. 우현경, 홍용희 (1998). 걸음마기 유아의 어린이집 초기 적응에 대한 문화기술적 연구. 교육과학연구, 27, 29-50.
  37. 유혜선 (2014). 영아의 기질과 교사-영아 관계가 어린이집 초기 적응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8. 이영숙, 서소정 (2006). 유아의 적응행동에 관한 연구: 유아와 어머니의 사회인구학적 변인, 유아의 기질 및 어머니의 양육태도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4(5), 143-155.
  39. 이진숙 (2004). 유아의 어머니, 교사, 또래와의 관계와 보육시설 적응간의 관련성. 열린유아교육연구, 12(2), 217-235.
  40. 이진희, 임진형 (2004). 영아 전담 보육교사의 어려움과 요구 분석. 한국보육학회지, 4(2), 193-215.
  41. 임명희, 강성희 (2007). 만 1세아의 어린이집 초기 적응에 관한 소규모 연구. 한국보육학회지, 7(4), 1-32.
  42. 임재택, 김정신, 류경, 이숙희, 김영옥 (2003). 초기적응! 이렇게 도와주세요. 서울:양서원.
  43. 장영희 (2003). 영아교육과정. 서울: 양서원.
  44. 전현주, 권경숙 (2012). 학기 중 입학한 영아의 초기 적응 과정 탐색.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9(1), 533-558.
  45. 조혜경 (2006). 1.2세 영아의 또래 갈등원인에 대한 연구. 한국 영유아보육학, 12(1), 245-267.
  46. 조혜진 (2007). 영아반 초임교사들의 어려움과 적응에 대한 이해. 유아교육학논집, 11(2), 237-262.
  47. 한현지, 서영숙 (2013). 어린이집 운영관리 과정에 나타난 원장의 의사결정.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3), 147-169.
  48. 현온강, 태진 (2000). 보육환경의 질과 영유아의 적응. 대한가정학회지, 38(3), 25-42.
  49. 홍혜정, 안선희 (2004). 유아교육기관의 조직건강 및 의사결정 참여와 교사 효능감과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1(4), 255-273.
  50. 최애경 (2005). 보육교사의 직업적 갈등에 관한 연구. 현상학.해석학적 교육연구, 3(1), 153-171.
  51. 최미미, 서영숙 (2013).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동료교사와의 갈등 원인 및 대응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1), 221-239.
  52. Birch. S. H., & Ladd. G. W. (1997).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children's early school adjustment.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53. Bouville-Watson, L., Watson, M., & Wilson, L. (2003). Infants and toddlers: Curriculum and teaching (5th Ed.). Thomson.
  54. Dokett, S., & Perry, B. (2003). The transition to school: What's important. Educational Leadership, 60(7), 30-33.
  55. Entwisle, D. R., & Alexander, K. L. (1993). Entry into school: The beginning school transition and educational stratification in the United States. Annual Review of Sociology, 19, 401-423. https://doi.org/10.1146/annurev.so.19.080193.002153
  56. Fabianm, H. (2000). Small steps to starting school.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Years Education, 8(2), 141-153. https://doi.org/10.1080/09669760050046183
  57. Fetterman, D. M. (1989). Ethnography: Step by step. Newbury Park, CA: Sage Publication.
  58. Ladd, G. W., & Price, J. M. (1987). Predicting children's social and school adjustment following the transition from preschool to kindergarten. Child Development, 58(5), 1168-1189. https://doi.org/10.2307/1130613
  59. Lally, J. R., Griffin, A., Fenichel, E., Segal, M., Szanton, E., & Weissbourd, B. (1995). Caring for infants and toddlers in groups: Developmentally-appropriate practice. Washington, D. C.: National Center for Clinical Infant Programs.
  60. Liston D., Whitcomb, J., & Borko, H. (2006). Too little too much: Teacher preparation and the first years of teaching.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57(4), 351-358. https://doi.org/10.1177/0022487106291976
  61. Merrill, S., & Britt, D. (2008). Helping babies make transitions. Young Children, 63(3), 60-62.
  62. NICHD Early Child Care Research Network (2001). Child care and children's peer interaction at 24 and 36 months; The NICHD Study Child Care. Child Development, 72(5), 1478-1500. https://doi.org/10.1111/1467-8624.00361
  63. Peisner-Feinberg, E. S., & Burchinal, M. R. (1997). Relations between preschool children's child-care experience and concurrent development; The cost, quality and outcomes study. Merrill-Palmer quarterly, 43(3), 451-477.
  64. Pianta, R. C., & Walsh, D. (1996). High-risk children in the schools: Creating sustaining relationships. New York: Routledge.
  65. Raikes, H. (1993). Relationship duration in infant care: Time with a high-ability teacher and infant-teacher attachment.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8(3), 309-325. https://doi.org/10.1016/S0885-2006(05)80070-5
  66. Spradley, J. P. (1988). Participant observation, 문화탐구를 위한 참여관찰방법(이희봉 옮김).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원판 1980). 출력일 2015년 2월 10일, http://stat.mw.go.kr/front/statDB/statDBView.jsp?menuId=11&nPage=1&sttsDataSeq=103&subjCd=B00002&mmrlDate=&schSttsNm.

Cited by

  1. A study on perceptions of mothers with infants about parent role adjustment program vol.37, pp.4, 2015, https://doi.org/10.18023/kjece.2017.37.4.028
  2.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teachers about infants' adjustment in 1-year-old classes vol.38, pp.2, 2018, https://doi.org/10.18023/kjece.2018.38.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