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초기반사음

Search Result 22,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Measurement of Reflection Patterns inside Automotive Cabin (차량의 실내 반사음패턴 측정기법)

  • 두세진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8.06e
    • /
    • pp.11-14
    • /
    • 1998
  • 근접 4점법을 이용하여 음원으로부터 측정점까지 음파가 전달되어 오는 공간상의 반사음 패턴을 구할 수 있다. 그러나 차량과 같이 협소한 공간에서는 반사음간의 시간차가 매우 작게 되고 따라서 단지 몇 개의 초기 반사음을 제외하고는 측정이 어렵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측정에 사용된 스피커의 특성을 역필터링하여 차실 내의 펄스 반사음 자체 특성만을 추출함으로써 좁은 공간에서도 반사음 패턴의 측정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실내 반사음 패턴은 음파의 경로를 보여 주는 것이므로 본 측정법은 차량의 실내 음향 특성 파악과 음질 개선에 중요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

  • PDF

Development of an efficient sound field reproducing algorithm for home theater systems (효과적인 홈시어터용 음장재생 알고리즘 개발)

  • Shim Hwan;Lee Sin-lyul;Yoo Jae-hyoun;Sung Koeng-Mo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autumn
    • /
    • pp.531-534
    • /
    • 2004
  • 음장 재생기는 인공잔향기의 일부로 알려져 있었으나 실제로는 다른 접근 방법이 필요하다. 인공잔향기의 용도가 대체로 무향에 가까운 음원에 인공잔향을 가해주는 것이라면, 음장 재생기는 청취자에게 넓은 공간감을 위해 이미 잔향이 가해진 음원에 초기반사음만을 가해주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음장재생기는 모사하고자 하는 공간의 충격응답에서 직접음 대비 반사음의 세기를 조절하여 sound coloration을 줄이고, 초기반사음의 패닝을 이용하여 넓은 공간감을 효과적으로 재생한다. 또한 본 음장재생기는 ITDG, LEF, Stage width, Room size, Liveness 등의 객관적 인자들을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원하는 공간의 모사뿐 아니라 가상공간의 크기와 느낌을 변화시킬 수 있다.

  • PDF

A study on the design of ensemble reflector in a concert hall (콘서트홀 무대반사판의 설계에 관한 연구)

  • Kim, Min Ae;Oh, Yang Ki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37 no.5
    • /
    • pp.356-362
    • /
    • 2018
  • Stage in classical shoebox type concert hall is placed and occupy one side of the hall and have much early reflections from surrounded walls and ceiling nearby. On the other hand stage in vinyard terrace concert hall, which is surrounded by terrace seats instead of walls and ceiling, has lack of early reflections which may cause lack of communications among the players. Vinyard hall stage is enclosed with terrace seats front walls, while the players located on the stage riser keep the walls off as the walls have limited heights. Ensemble reflector installed above the stage is an effective way for the players to monitor the sound produced on the stage. That may help achieving a good ensemble of the performance. Ensemble reflector over the stage of a large vinyard terrace hall of 2,000 seats was designed with the variables of the location, the shape and the area. The effectiveness of the ensemble reflector is verified with the parameter of stage support.

Design of Multi-Channel Sound Field Reproduction (멀티 채널 음장 재생 시스템의 설계)

  • 김영오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8.06c
    • /
    • pp.265-268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1채널(mono)이나 2채널(stereo)의 오디오 입력을 5채널(center, left, right, left side, right side)로 출력시키는 음장 시스템을 설계하고 그 성능을 분석하였다. 가정의 리스닝 룸 같이 작은 공간에서 콘서트 홀 같은 커다란 공간의 음장을 재현하기 위한 멀티 채널 음장 시스템은 지연기, 초기 반사음처리기, 잔향기를 이용해 설계하였다. 초기 반사음 처리기의 지연과 이득은 실제 공간에서 측정한 암펄스 응답을 이용하여 결정하였으며, 구현된 초기 반사음을 전방 30$^{\circ}$방향에서 재생함으로써 확장감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잔향기는 자연스러운 주파수 및 감쇠 특성을 갖도록 설계되었으며, 후방 60$^{\circ}$방향에서 재생되는 잔향의 상관 계수를 작게 함으로써 청취시 공간감을 느끼게 하였다. 설계된 음장 시스템은 무향실 데이터를 입력으로 시뮬레이션되었고, 그 결과로 얻어진 5개의 PCM 출력은 멀티 트랙 재생 장치에 의해 일반 리스닝 룸에서 재생된다.

  • PDF

A study on sound source segregation of frequency domain binaural model with reflection (반사음이 존재하는 양귀 모델의 음원분리에 관한 연구)

  • Lee, Chai-Bong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Convergence Signal Processing
    • /
    • v.15 no.3
    • /
    • pp.91-96
    • /
    • 2014
  • For Sound source direction and separation method, Frequency Domain Binaural Model(FDBM) shows low computational cost and high performance for sound source separation. This method performs sound source orientation and separation by obtaining the Interaural Phase Difference(IPD) and Interaural Level Difference(ILD) in frequency domain. But the problem of reflection occurs in practical environment. To reduce this reflection, a method to simulate the sound localization of a direct sound, to detect the initial arriving sound, to check the direction of the sound, and to separate the sound is presented.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direction is estimated to lie close within 10% from the sound source and, in the presence of the reflection, the level of the separation of the sound source is improved by higher Coherence and PESQ(Perceptual Evaluation of Speech Quality) and by lower directional damping than those of the existing FDBM. In case of no reflection, the degree of separation was low.

A new acoustical parameter for speech intelligibility with regard to early vertical reflections (초기 수직반사음의 역할을 고려한 새로운 명료도 지표)

  • Park, Jong Young;Han, Myung Ho;Jeong, Dae Up;Oh, Yang Ki
    • KIEAE Journal
    • /
    • v.7 no.3
    • /
    • pp.63-70
    • /
    • 2007
  • It is known that early reflections, their energy and delay times after the arrival of direct sound are important factors for speech intelligibility. In this basis, acoustical parameters like D50 and C80 had been proposed and are widely used for assessing the listening condition of rooms. These parameters are focused on the fraction of the early energy to the total, regardless of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early reflections. This means that all the early reflections, arrived in certain time boundary. from front, behind, down and upside have the same impact on speech intelligibility. From the questionable simplicity, the influence of the direction of early reflections on speech intelligibility is examined in this study. A computer simulation speech intelligibility test, conducted for 22 university students, found that the reflection of vertical direction with method of the Paired comparison also the preference of 0.746 degree was visible an increase.

Design and Fabrication of a Single-Polarizer Reflective VA Cell (단일편광판 반사형 VA LC 셀의 설계 및 제작)

  • 문성훈;이기동;윤태훈;김재창
    • Proceedings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0.02a
    • /
    • pp.118-119
    • /
    • 2000
  • 최근에 많이 사용되는 휴대용기기의 표시장치인 액정표시장치를 보면 반사형 액정표시장치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반사형 액정표시장치는 표시장치의 전력소모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backlight 를 주변 광원으로 대체하여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는 표시장치로서 많이 연구되고있다. 최근에 연구되고있는 반사형 표시장치를 살펴보면 반사형 TN (Twisted Nematic) LC 모드가 주류를 이루고 있으나 콘트라스트비가 낮은 단점이 있다$^{[1]}$ .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반사형 VA (Vertical Aligned) LC 모드가 제시되어진다. VA LC 모드는 TN LC 모드와 반대로 음의 유전율 이방성을 가지는 액정물질을 이용하여 유리기판에 수직으로 배향시킨 모드로서, 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초기상태에는 액정 cell 이 복굴절을 전혀 나타내지 않는다. TN LC 모드와 정확히 역의 구조를 가진다. 그리하여 초기상태에서 편광판 한 장과 광대역 λ/4 위상지연판을 사용하여 뛰어난 어두운 상태를 구현할 수가 있다. (중략)

  • PDF

Early Reflection Generation Technique in Stereo-to-Multichannel Upmix System (스테레오-멀티채널 업믹스 시스템에서의 초기 반사음 생성 기법)

  • Lee, Taegyu;Baek, Yong-Hyun;Park, Young-Cheol;Youn, Dae 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3.06a
    • /
    • pp.8-11
    • /
    • 2013
  • 스테레오-멀티채널 업믹스(Stereo-to-Multichannel Upmix)기술은 시장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스테레오 음원을 홈시어터와 같은 멀티채널 스피커 재생 환경에서 효과적으로 재생하기 위한 채널 포맷 변환 기술을 말한다. 수평적인 공간감뿐만 아니라 수직적인 공간감을 재현하기 위하여 10.2, 22.2채널 환경의 경우 고도 채널이 추가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채널 환경에서 수직, 수평적인 공간감을 재현하기 위하여 새로운 초기 반사음을 생성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진폭 패닝방법을 이용하여 전방의 가상 음원들에 의하여 발생되는 리시버 위치에서의 음압을 일치시킴으로써 기존 알고리즘이 가지지 못했던 이론적인 배경을 갖는다. 청취 평가 실험을 통하여 제안된 알고리즘은 음장의 수직, 수평적인 폭을 증가시키며, 좀 더 안정적인 음상 정위 성능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The Measurements and Evaluations on the Configurations of Absorptive and Diffusing Treatments in Classrooms using a Scale Model (축소모형법을 이용한 흡음재와 확산체 배치조건별 교실의 음향성능 측정 및 평가)

  • Choi, Young-Ji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ducational Facilities
    • /
    • v.20 no.1
    • /
    • pp.37-44
    • /
    • 2013
  • The present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periodic type diffusers for producing the preferred acoustics for speech and determines the more successful configurations of sound-absorbing and diffusing treatments for achieving good acoustics in classrooms. The measurements were carried out in a 1/10 scale model classroom systematically adding diffusers to one or more of four surfaces of the room. A total of 13 combination of diffusers with absorptive treatments were investigated. Adding diffusers on the ceiling were more effective to increasing the early-arriving reflection energy($G_{50}$) than adding absorptive materials on the entire ceiling. The late arriving reflection energy($G_{late}$) was de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s of diffusing treatments of upper front or rear wall and this resulted in achieving higher early-to-late ratios($G_{50}$). Adding diffusers on the upper front wall($AC_{100}DUFW_{26}$) achieved more uniform acoustical conditions over the receiver positions than adding diffusers on the upper rear wall($AC_{100}DUFW_{26}$). Adding diffusers on the ceiling and absorptive materials on the lower front wall($AC_{75}DC_{25}ALFW_{26}$) achieved better acoustical conditions than adding the absorptive materials on the entire ceiling and lower front wall($AC_{100}ALFW_{26}$).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reverberation characteristics using tapped and nested-allpass delay line (Tapped and nested-allpass delay line을 이용한 잔향특성 개선에 관한 연구)

  • Yoon, Jae-Yeun;Park, Jun-Sun;Jin, Yong-Ok
    •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 /
    • v.12 no.1 s.34
    • /
    • pp.28-40
    • /
    • 2007
  • In this paper, we proposes an idea for improved sound characteristic which decreasing a problem in previous reverberation algorism structure. To later reflection sound, proposed new reverberation structure, using a lopped and nested all-pass delay line, and it is designed to improve an natural concert hall sound. In addition, In order to have best imaginary sound effect, we extracted the factors by controlling each delay line's delay time, and we realized a proposed new algorithm by using general-purpose DSP. Through several experimental cases, we observed better effect on improvement of linear flatten and reverberation density and decreasing about colorlessness and non-linear sound at previous proposed model about impulse inpu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