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체육과

검색결과 1,306건 처리시간 0.033초

학술중계-2000년대 한국체육의 새로운 방향설정

  • 정순철
    • 과학과기술
    • /
    • 제19권9호통권208호
    • /
    • pp.75-81
    • /
    • 1986
  • 이 글은 지난 8월 12일부터 13일까지 2일간 한국체육학회와 올림픽학술대회 조직위원회가 공동으로 주최한 「하계학술발표회 및 국제스포츠심리학심포지움」에서 발표된 것이다. <편집자 주>

  • PDF

교사의 체육수업지도에 따른 초등학생의 인식 (Cogni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 to Teaching Method and Management of Physical Education)

  • 황선희;박익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12호
    • /
    • pp.449-456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체육수업지도에 따른 초등학생의 인식을 분석하여 보다 즐겁고 효율적인 수업을 도모하고자 하는 것으로, 초등학교 5.6학년 319명(남자 160명, 여자 159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통해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체육수업 시 교사의 설명에 대해 학생들은 매우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며, 남학생에 비해 여학생이 더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또한 교사의 시범, 지식에 대해 학생들은 대체로 긍정적인 반응을 보여 체육수업활동 시 교사의 설명이나 지도를 통해서 얻는 움직임의 지식에 대한 남녀 학생의 의존도가 매우 높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평가와 질서유지에도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는데 교사의 평가에 대한 공정성이나 신뢰감이 형성되어 있다고 판단되며, 수업활동 참여에 대해서도 상당히 높은 반응을 보여 교사의 적극적인 수업활동 참여를 원하고 있었다. 따라서 체육수업지도 시 제시되는 학생들의 다양한 의견과 생각을 보다 잘 이해하고 가까이 다가서려는 노력을 기울인다면 보다 재미있고 보람차고 긍정적인 체육수업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과학·체육 융합영재교육 프로그램이 초등영재 학생들의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nvergence Gifted Education Program for Science-Physical Education on Self-Efficacy of the Gifted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 이호민;손정우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9권2호
    • /
    • pp.255-266
    • /
    • 2015
  •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 체육 융합영재교육 프로그램이 초등영재 학생들의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있다. 그래서 초등영재 5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2주제 8시간의 과학 체육 융합영재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사전-사후 자아효능감 검사와 면담을 통해 영향과 원인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 체육 융합 영재교육 프로그램은 영재학생들의 자아효능감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특히 '자신감'과 '과제 난이도 선호'에서 통계적인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과학 체육 융합영재교육 프로그램은 영재 학생들에게 자신감과 도전의식을 심어줄 수 있으며 특히 산출물이 실제 현장에 적용될 때 자신감을 더 높일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로부터 영재 학생들의 자아효능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산출물을 실제 현장에 적용하는 단계까지 프로그램이 구성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세계군인체육대회 참가과정에서 여성군인의 경험과 정체성 교섭 : 비판적 페미니즘적 접근 (The Experience and Identity Negotiation of Women Soldiers in the Participation Process of the CISM Military World Games : A Critical Feminism Approach)

  • 김용규;강영구;장익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6호
    • /
    • pp.437-447
    • /
    • 2018
  • 이 연구는 세계군인체육대회에 참가한 여성군인의 경험과 상호교차적 환경에서의 정체성 교섭에 대해 의미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참여자는 눈덩이표집법에 의해 세계군인체육대회에 참가한 여성군인 3명을 선정했다. 자료수집은 심층 면담을 진행했다. 수집된 자료는 면담내용의 시간적 흐름에 따라 내러티브 분석을 통해 내용의 의미를 이해하려고 했다. 결과는 시간적 흐름에 따라 운동입문에서 군 입대 전, 군 입대, 군대 생활, 세계군인체육대회 참가계기와 과정, 세계군인체육대회가 끝난 후의 이야기로 구성되었다. 스포츠와 군 사회는 성을 이분법적 담론으로 내재화하고 있었으며, 이런 양성불평등적 인식에 대해 여군들은 자신의 능력개발을 통해 정체성을 확립하고 있었다. 하지만 여군이 처한 현실은 여전히 보수적이었으며, 제도적 사회문화적 인식이 개선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내부마케팅과 중등학교 체육교사의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 Marketing Secondary Physical for Physical Education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 박정심;추나영;조송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8호
    • /
    • pp.399-408
    • /
    • 2011
  • 본 연구는 체육교사가 지각하는 내부마케팅이 직무만족,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2009년 부산시 소재의 중등학교 교사를 모집단으로 하였으며, 집락무선표집(cluster random sampling)을 이용하여 286명의 표본을 추출하였다. 자료수집은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최종적으로 258부의 설문지가 분석에 이용되었다.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 및 타당도와 신뢰도, 그리고 가설검증을 위하여 SPSS 15.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Cronbach's ${\alpha}$, 상관관계분석 및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내부마케팅은 중등학교 체육교사의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내부마케팅은 중등학교 체육교사의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등학교 체육교사의 직무만족은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포츠클럽 활동 참여가 학교 체육수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ports Club Participation in School Physical Education Classes)

  • 최재석;이정흔;김현미;전덕형;김선공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913-923
    • /
    • 2013
  • 본 연구는 스포츠클럽 활동 참여가 학교체육수업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청소년들의 스포츠클럽 활동과 학교 체육수업의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D광역시에 소재한 3개의 남 여 중학생을 단순무작위표집법(simple random sampling)을 활용하여 최종 438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분산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적 특성에 따른 스포츠클럽 수업 만족도와 학교 체육수업 만족도에서 대부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둘째, 스포츠클럽 활동은 학교 체육수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등학교 체육수업의 만족도, 학교생활 스트레스 및 학교폭력성향의 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High School Physical Education Class Satisfaction, School Life Stress, and School Violence Tendency)

  • 고의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222-229
    • /
    • 2017
  • 이 연구는 고등학교 체육교육에서 체육수업의 만족도, 학교생활 스트레스 및 학교폭력성향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D시에 소재한 고등학교 4곳에 재학 중인 남녀 고등학생들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여 비확률 표본추출법 중 편의표본추출법을 사용하여 총 550명을 표집 하였으며, 질문 문항의 일괄적인 처리 혹은 무응답, 잘못된 기입 등 신회성이 떨어진다고 판단되어지는 83부의 설문지를 제외하고 총 467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SPSS 20.0 및 AMOS 20.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의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체적으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체육수업의 만족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선행연구들의 내용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첫째, 고등학생의 체육수업 만족도는 학교생활 스트레스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등학생의 학교생활 스트레스는 학교폭력성향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등학생의 체육수업 만족도는 학교생활 스트레스를 매개로 하여 학교폭력성향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상레저스포츠 확대에 따른 대학교양체육의 역할 (A Study on Role in University Following the Expansion of Water Leisure Sports)

  • 정문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5호
    • /
    • pp.415-423
    • /
    • 2014
  • 본 연구는 정부의 마리나항만 조성 사업, 저수지개발특별법 시행, 수상레저안전법의 개정 등으로 수상레저 스포츠가 확대될 것에 대비하고자 대학교양체육의 현황을 파악하고 그 역할을 재조명하고자 관련 문헌을 수집 분석하고 전국 12개 지역 17개 국공립대학의 대학교양체육 교과과정을 분석하였다. 대학의 교양체육은 평생스포츠의 실현능력을 양성하는 교양체육 본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앞으로 다가올 수상레저스포츠 시대에 대비한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이를 통해 모든 국민들이 수상레저스포츠를 접하면서 윤택한 삶을 살게 될 것으로 전망한다.

탐구 학습 모형을 적용한 체육과 ICT활용 교수 학습 과정안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ICT Teaching Learning Material for Physical Education Applied to the Inquiry Learning Model)

  • 이재무;김종희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1-8
    • /
    • 2009
  • 본 연구는 탐구교수학습 모형에 기반한 체육과 ICT교수 학습 과정안을 개발하고 현장에 적용하여 교수 학습에서의 효율성을 입증하는 것이다. 최근, 체육 교육에도 ICT를 활용이 다양해지고 있다. 본 연구는 기존의 ICT 단순 활용방식에서 벗어나 교수 학습의 구체적 절차와 방법인 '학습모형'에 기반한 ICT 활용을 연구함으로써 학습 목표와 효과를 높이도록 하였다. 체육과의 육상, 체조 단원에 적용되는 탐구교수학습모형을 ICT 활용 수업에 적합하도록 재구성하여 절차적 모형으로 각 단계를 정의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ICT 교수 학습 과정안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초등학교 5학년 수업에 적용하였다. 적용 결과 교수 학습 목표 달성의 효율성을 높이고 학습의 흥미유발과 학습 만족도를 높이고 멀리뛰기의 기능적인 면에서 효과가 있었다.

  • PDF

교양체육수업 참여 대학생의 참여가치와 성향 및 수업 참여행동에 관한 융복합 연구 (Convergence Study on Participating Value & Propensity and Class Participation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who Participate in Physical Education Class)

  • 김승용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5호
    • /
    • pp.375-384
    • /
    • 2015
  • 이 연구에서는 대학교에서 실시하는 교양체육수업에 참여하고 있는 학생들의 수업 참여가치를 분석하고, 학생들이 지각하고 있는 수업 참여성향과 수업 참여행동과의 융복합 관계를 규명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대상은 2014년 서울특별시와 경기도에 위치한 대학교에서 실시하는 대학 교양체육수업에 참여한 대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총 3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연구에서 적절하지 않은 26부의 자료를 제외한 총 274부를 최종 유효표본으로 활용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에 따른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PASW 18.0과 AMOS 18.0을 이용하여 확인적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인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양체육수업 참여 학생들의 수업 참여가치는 참여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양체육수업 참여 학생들의 참여성향은 수업 참여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