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체육과

검색결과 1,306건 처리시간 0.031초

통합체육 배구활동이 지적장애학생의 운동지속과 학교생활만족에 관련한 현상학적 연구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Continuation of Exercise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Integrated Physical Education Volleyball Activities.)

  • 배광열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7호
    • /
    • pp.109-114
    • /
    • 2019
  • 본 연구는 통합체육 배구활동이 지적장애학생의 운동지속과 학교생활만족에 관련한 현상학적 연구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갖고 분석한 결과 통합체육 배구프로그램은 학교생활 만족에 운동실력을 습득하며 협동심을 통해 교우관계가 친밀하게 유지되었으며, 지적장애학생 참여자들은 통합체육 배구프로그램을 체험하면 할수록 운동실력의 향상으로 몸이 유연해졌으며, 협동심을 통해 교우관계 친밀 유지, 학교의 소속감, 운동의 공감대, 운동실력 습득의 성취감, 운동 준비과정에서 자신감과 자립심 등이 함양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통합체육 배구프로그램을 통해 장애학생들의 운동지속과 학교생활만족도에 대한 한계와 불만족을 극복하고 통합교육에서 추구하는 통합을 이룰 수 있다.

A Study on the Subjectivity of Pre-Physical Education Teachers on the Track and Field Practical Skill Test of Examination System for Appointing Second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 Yu, Young-Seol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3호
    • /
    • pp.127-135
    • /
    • 2022
  • 이 연구의 목적은 중등체육교원 임용고사 육상실기평가에 대한 예비체육교사의 인식을 탐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인간 내면의 감정, 의견, 인식 등을 탐색할 수 있는 Q방법론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3가지 유형이 탐색되었고, 각 유형은 전문시설지원요구형과 전문기술지도요구형 그리고 평가방법개선요구형으로 명명되었다. 결론으로, 중등체육교원 임용고사 육상실기평가를 준비하는데 있어 예비체육교사들은 전문시설의 지원과 전문기술을 지도받을 수 있는 기회의 제공 그리고 평가 방법과 절차에 대한 구체적인 사전 안내 등을 희망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도시 내 공공체육시설 위치 추천 (A Location Recommendation Model for Public Sports Facilities)

  • 임주영;팽소연;이가은;이찬녕;구재성;안서현;강민지;김진;이지항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365-367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서울시를 대상으로 2020년 기준 자치구별 공공체육시설의 개수를 분석하고, 도출된 서비스 지역 적정 개소 수를 기준으로 추가 설치가 필요한 자치구 내 입지를 예측하였다. 기존 공공 체육시설 수와 선행연구의 입지 지표를 활용해 회귀분석을 바탕으로 유의한 입지요인을 도출하고, 이를 변수로 한 k-means 군집화를 통해 자치구별 입지 후보군이 될만한 행정구역상 동을 구분하였다. 이후 선정된 행정구역 내 기준 인구 당 공공체육시설 비율이 같아지도록 공공체육시설 설치 개수를 결정한 다음 각 구역의 중심점으로부터 가까운 동 순으로 공공체육시설의 추가 설치가 필요한 동을 선정하였다.

생활체육 참여활동이 여가만족과 심리적,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Participation in Sport for All on Leisure Satisfacti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ubjective Wellbeing)

  • 문태영;허중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9호
    • /
    • pp.3984-3993
    • /
    • 2011
  • 본 연구는 생활체육 참여활동이 여가만족과 심리적,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생활체육에 참여하고 있는 동호인들에게 보다 효과적인 여가만족과 심리적, 주관적 웰빙에 기여하고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으로는 현재 강원도에서 생활체육 참여활동을 하고 있는 성인 남녀를 모집단으로 선정하여 2011년 3월 12일부터 4월 9일까지 편의추출법에 의한 총 200명을 표집 하여 SPSS/PC+ 11.0 Version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및 요인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생활체육참여 활동은 여가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생활체육 참여 활동이 높을수록 여가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가만족은 심리적 웰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가만족은 주관적 웰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생활체육 활동에 참여하는 동호인의 여가만족은 신체적, 정신적으로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생활체육에 참여하지 않는 사람들을 위해서 활동참여를 지속적으로 권장해야 할 것이며,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에서도 다양한 생활체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모든 사람들이 생활체육을 통한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방향으로 정책을 펼쳐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코로나 19상황에서 생활체육 참여자들의 운동정서, 여가만족, 심리적 웰빙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Exercise Emotion, Leisure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Participants in Life Sports in the COVID 19)

  • 정주혁;김금자;유정인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81-92
    • /
    • 2021
  • 본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한 펜테믹 상황에서 제한적으로 생활체육에 참여하고 있는 대상자들을 대상으로 운동 정서, 여가만족, 심리적 웰빙의 관계를 규명하여 삶의 질을 향상하는데 도움이 되는 기초 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정기적으로 생활체육에 참여하는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운동정서, 여가만족, 심리적 웰빙 척도를 활용하여 유의표집방법을 통해 자료를 수집한 후 다양한 통계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생활체육 참가자들의 성별에 따른 운동정서, 여가만족, 심리적 웰빙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생활체육 참가자들의 경력에 따른 운동정서, 여가만족, 심리적 웰빙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운동정서, 여가만족, 심리적 웰빙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운동정서는 여가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쳐 심리적 웰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운동정서는 심리적 웰빙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생활체육 참가자들의 운동정서와 여가만족 심리적 웰빙은 긍정적으로 밀접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2015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에 대한 체육교사의 관심도 분석 (The Analysis on interest of th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bout the revised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in 2015)

  • 이종원;박창언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7권5호
    • /
    • pp.165-173
    • /
    • 2017
  • 본 연구는 CBAM 모형에 근거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 실행을 앞두고 체육교사의 관심도를 측정하고 교사배경 변인별로 관심도의 차이를 분석하는데 연구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K지역 중·고등학교 체육교사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반적으로 2015 개정교육과정에 대한 관심도가 매우 높게 나온 걸로 보아 중·고등학교 체육교사들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체육수업에서 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과 결과에 대해 관심이 매우 높으나, 그 방법에 대해서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제대로 실행할 수 있도록 연수와 활용방안에 대해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할 것이다. 둘째, 전체학급수별로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대한 관심도가 차이가 나기 때문에 학급수별 맞춤형 2015 개정 교육과정 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전달해야 한다. 일방적인 집합형태의 전달연수에서 벗어나 학급 수에 따른 연수와 자료의 전달방법이 달라야 할 것이다. 셋째,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해 체육교사의 관심도 수준에 따른 교육과정 예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유아교육기관장의 유아체육교육기관에 대한 선택속성 연구 (A Study on Attributes to Select the Physical Education Institutes for Preschoolers in Directors of Educational Institutes for Preschoolers)

  • 추나영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5권4호
    • /
    • pp.241-252
    • /
    • 2016
  •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장이 유아체육교육기관을 선택함에 있어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과 만족하고 있는 순위를 제시하고, 중요도와 만족도 사이의 차이와 각 항목간의 상대적 중요도 및 만족도를 비교분석함으로써 유아체육교육 활성화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유아체육교육기관의 직접 계약 대상자인 유아교육기관장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였다. 편의표집법을 이용하여 부산시와 경남도 소재의 유아교육기관장 253명의 표본을 추출하였으며, SPSS 23.0 이용하여 유아체육교육기관 선택과 관련된 항목의 중요도와 만족도의 평균값을 이용하여 중요도 순위를 제시하고, 대응표본 t-test, IPA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유아체육교육기관에 대한 선택속성 중 지도자 자질과 프로그램 관련 항목이 중요도와 만족도 순위의 우위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도자 자질과 프로그램 항목은 중요도가 만족도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업료 할인 혜택과 유아교육기관의 주위평판은 만족도가 중요도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IPA 매트릭스 분석결과 I 사분면은 유아체육교사의 전문성 등 8개의 항목이 포함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II 사분면에는 유아체육교사의 지도능력과 프로그램 계획이 포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III 사분면에는 수업료의 적정성 등 6개의 항목이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IV 분면에는 모든 항목이 해당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의 체육활동 참여 만족이 부양기대감 및 가족기능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th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with their participation in fitness on the expectation of support and family function)

  • 임신자;이선희
    • 한국노년학
    • /
    • 제29권1호
    • /
    • pp.89-99
    • /
    • 2009
  • 급속한 노인인구의 증가로 고령화 현상은 사회적 문제로 등장하였다. 특히 전통사회의 노인 부양체제가 흔들리면서 노인 부양문제는 심각한 노인문제 중의 하나로 인식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노인 부양문제는 노인 개인의 문제가 아닌 사회, 가족의 역할이 더욱 커지면서 그 문제의 심각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본 연구는 노인이 체육활동을 참여하면서 얻은 만족요인에 따라 가족기능과 부양 기대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규명하여, 보다 발전적인 정책수립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 경기지역의 노인 복지시설 6곳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였으며, 편의표본추출법(convenience sampling method)을 이용하여 표본을 추출하였다. 연구자와 대학원생으로 구성된 설문조사원들이 노인 복지시설을 직접 방문하여 설문지를 이용, 일대일 면접법을 통하여 217부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Ver. 12.0 과 AMOS 7.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단순 및 다중회귀분석, 경로분석을 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체육활동 참여만족 중 전반적 만족, 프로그램 만족, 서비스만족이 가족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노인의 체육활동 참여 만족이 부양기대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노인의 체육활동 참여만족이 가족기능 및 부양기대감과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결과 노인의 체육활동 만족이 가족응집성에 .162의 직접적인 효과를 미쳤으며, 참여만족이 가족적응성에 .239의 직접적인 효과를 미쳤다. 끝으로 체육활동 참여만족이 부양기대감에 .032의 간접적인 효과를, .722의 직접적인 효과를 미쳤다.

농촌 노인과 도시 노인의 생활체육참가와 생활만족도 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the Sport-for-all Participation and Life Satisfaction Between Rural and Urban Elderly)

  • 남지호
    • 한국노년학
    • /
    • 제29권3호
    • /
    • pp.867-881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농촌 노인과 도시 노인의 생활체육참가와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을 규명하여 비교하고, 지역특성에 맞는 생활체육 시설과 프로그램, 생활만족을 도모하기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연구의 분석을 위해 한국노동연구원의 2006년 고령화 연구패널조사 자료를 이용하였고, 60세 이상 농촌 노인 502명, 도시 노인 1129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농촌 노인과 도시 노인의 생활체육 참가여부에 따른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 간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생활체육에 참가하는 노인들이 전체적으로 생활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노인의 생활체육 참가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프로빗 분석한 결과 농촌 노인의 경우는 성별, 연령, 직업유무로 나타났고, 도시 노인의 경우는 성별, 연령, 교육수준, 수입, 직업유무가 나타나 다른 결과를 보였다. 또한 참가정도의 경우 농촌 노인의 경우는 참가빈도, 도시 노인은 참기시간이 생활만족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생활만족도에 대해서 농촌 노인은 교육수준과 주관적 건강, 생활체육참가가 유의하였고, 도시 노인의 경우는 교육수준, 수입, 주관적 건강, 생활체육참가가 유의하였으며, 농촌 노인이 도시 노인보다 전반적인 생활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의 생활체육참가와 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지원제도는 사회 인구학적 특성을 반영한 차별화된 지원이 필요할 것이다.

The Effects of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ion Motivation in Judo as a Recreational Sport Activity on Exercise Flow and Psychological Happiness

  • Cho, Cheol-Kyu;Shin, Min-Chul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10호
    • /
    • pp.203-209
    • /
    • 2020
  • 본 연구는 중학생의 유도 생활체육 참여동기가 운동몰입 및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규명하기 위하여 2020년 1월 18일~20일(3일간) 강원도 동해시에서 열리는 2020년 생활체육 전국유도대회에 참여한 중학생 27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내용이 부실하거나 신뢰성이 없다고 판단되는 설문지를 제외한 총 253부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유도 생활체육 참여동기는 운동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학생의 유도 생활체육 참여동기는 심리적 행복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학생의 유도 생활체육에 따른 운동몰입은 심리적 행복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일선 현장의 생활체육지도자들은 단순 유도기술 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인성과 리더십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이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서로 간의 의사소통이 긍정적이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을 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