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체계적 고찰

검색결과 2,696건 처리시간 0.03초

조경학 연구에서 자연성 개념의 다의적 체계 연구 (Poly Synonyms Study on Naturalness in Landscape Architecture)

  • 이성진;김도은;손용훈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29-41
    • /
    • 2023
  • 국내 조경학 연구에서 자연성 개념은 물리적 공간에서부터 인식적 체계까지 그 범주가 방대하여 용어를 정의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는 체계적 문헌 고찰(systematic review, SR)을 통하여 문헌에서 활용된 '자연성(naturalness)'의 개념과 평가 속성을 정리하고 자연성의 의미를 구성하는 개별 속성의 범위를 파악하였다. 또한, 선행연구에서 구분한 개별 속성을 인지언어학 연구 방식의 하나인 의미 연쇄(meaning chain) 원리로 파악하여 국내 조경학 논문 중 자연성을 대상으로 한 논문들에 적용하여 다의적 체계를 정리하였다. 의미 연쇄(meaning chain)는 원형의미를 중심으로 가족 유사성에 기인하여 연쇄적으로 의미가 확장되어 가는 단어를 파악하기에 적합한 방식으로서, 자연성 평가 항목 분류에 따라 그 차원을 구분하고 국내 학계에서 논의되는 자연성 개념의 다의적 의미 연쇄 체계를 고찰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외 조경학 문헌을 통해 추출한 자연성의 속성은 원생상태로 인지되는 자연, 인위적 개입이 없는 상태로서의 자연, 시각적 경관으로서의 자연, 경험으로서의 자연 4개 영역으로 분류되며 세부 13개 속성으로 정리되었다. 둘째, 이러한 세부속성은 국내 조경학 연구에도 전반적으로 부합하나 그 구체적 사례가 달랐고, 시간의 축적 인지에 있어 한국적 맥락이 제시되었으며, 자연성 속성 간 상호충돌이 있을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소아 치과환자에 대한 진정법의 체계적 분석 방법 고찰 (A Review of the Systemic Analysis Method on Dental Sedation for Children)

  • 안소연;이제우;김승오;김종빈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31-339
    • /
    • 2015
  • 소아치과에서 협조가 되지 않는 어린이의 치과치료 시 사용하는 진정법은 환자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하여야 하며, 의료사고예방을 위한 evidence-based 진료가 필요하다. 근거중심의학의 부상에 따라 치의학계에도 근거중심치의학(Evidence-Based Dentistry)에 대한 관심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나 한국의 진정법에 대한 근거중심의 체계적인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체계적인 문헌고찰법을 이용하여 지금까지 국내에 보고된 소아치과진정(요)법을 검토하고, 향후 국내의 근거중심 소아치과 진정법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의 체계적인 문헌고찰 지침"을 참고하여 국내 5개 데이터베이스 1) Core 검색 데이터베이스- KM base, KISS 2) 학술정보 및 포털 -국회도서관, DBpia, RISS를 검색하였다. "치과진정법" 및 "치과진정요법"으로 검색어를 제안한 총 470편의 논문 중 문헌선택과정의 흐름도를 따라 중복제거 하고 남은 31개의 논문 중 원문이 제공되는 문헌을 모두 취합한 총 20개 문헌을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이번 체계적 문헌고찰은 한국 소아치과 영역에서 지난 25년간 시행된 치과진정법에 관한 일관된 근거(evidence)를 확인하기 위하여 GRADE 과정에 정의된 객관적인 기준에 기초하여 진행된 결과, 전체적인 근거는 보통(moderate)의 질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특히 약물의 추가 투여 부분에 대해서는 매우 낮은(very low)의 질로 평가되었다. 그러므로 향후 안전한 약물의 사용 부분에 대해 보다 체계적으로 잘 고안된 임상 실험이 필요하다.

경경골 단일다발 후방십자인대 재건술의 임상 결과: 체계적 고찰 (Clinical Results of the Single-bundle, Transtibial Pos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A Systematic Review)

  • 김영모
    • 대한관절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관절경학회 제21차 추계 학술대회
    • /
    • pp.57-57
    • /
    • 2009
  • 관절경적 경경골 단일 다발 후방십자인대 재건술은 전통적으로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사용되는 술기이다. 그러나, 후방십자 단독 파열시 이 술기의 결과에 대한 임상 평가 및 효용성에 대한 임상적 분석 자료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 술기를 시행받은 환자군들에서 객관적 슬관절 이완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주관적 슬관절 기능 장애는 우수한 결과를 나타낸다고 인정되어 왔다. 후방십자인대 단독 파열 후 경경골 단일 다발 재건술을 시행한 문헌 10개를 대상으로 잔존하는 후방 이완과 주관적, 객관적인 기능 평가, 활동성 정도, 환자 만족도, 골관절염의 발생 빈도, 술후 합병증을 체계적으로 고찰하였다. 술전 후방 슬관절 이완은 8.38~12.3 mm에서(4문헌) 술후 1.96~5.9 mm으로(9 문헌) 호전되었다. Lysholom 점수는 평균 81~100점이었다(9 문헌). IKDC는 75%에서 정상 또는 거의 정상의 결과를 보였다(6 문헌). 평균 Tegner 활동도는 4.7~6.3점이었다(8 문헌). 이번 고찰을 통한 결과에서 이 술기 후 퇴행성 변화가 관찰되었으며 보고된 합병증은 거의 없었다. 후방십자인대 단독 파열에서 경경골 단일 다발 재건술은 정상 슬관절의 안정성까지 회복하지는 못하나 한 등급 정도의 후방 슬관절 이완의 호전을 기대할 수 있다. 재활 및 운동으로의 회복에 대한 주관적 슬관절 점수는 80점이며 75%의 정상 또는 정상에 가까운 객관적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 술기가 퇴행성 관절염을 예방할 수는 없더라도 이러한 결과는 후방십자인대 재건 술기의 평가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국내 간호사와 간호대학생의 특이적 효능감 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A Systematic Review of the Studies on Specific Efficacy of Nurses and Nursing Students in Korea)

  • 김민아;최소은;문지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4호
    • /
    • pp.259-270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서 발표된 간호사와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특이적 효능감 관련 간호연구를 분석하여 최근까지 이루어진 연구동향을 전체적으로 파악하고, 앞으로 나아갈 연구방향을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방법은 간호사와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1985년부터 2018년 사이에 '간호' AND '효능감' 등을 주제어로 검색된 432편 중 특이적 자기효능감(specific self-efficacy)관련 국내 간호연구를 대상으로 체계적 문헌고찰 하였다. 효능감은 간호학 연구에서 매우 중요한 속성으로 여겨져 꾸준히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며 특히 특이적 효능감 관련 간호연구는 2014년 이후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간호 실무에서 특이적 효능감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간호대학에서 교과 및 비교과과정을 운영하고,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는 실무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무기체계 획득을 위한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M&S) 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Weapon Systems Acquisition for the Use of Modeling & Simulation(M&S))

  • 이필중;이영욱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11-17
    • /
    • 2011
  • 무기체계의 획득은 획득과정 초기단계에서 시험평가 자료의 원천으로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의 사용이 적극적으로 권장되고 있다. 이와 같이 무기체계의 획득에 있어서 신뢰성은 가장 중요한 부분 이라할 수 있고, 이를 위해 M&S를 적용하여 시험평가의 신뢰성과 정확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시험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의 절감, 사전 예측 및 사후 검증등이 가능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M&S의 이론적인 고찰과 무기체계의 획득을 위한 M&S 활용의 중요성, 획득모델의 특징, 무기체계 획득을 위한 활용실태 등을 고찰하여 효과적인 무기체계 획득을 위한 M&S의 활용방안을 찾고자 한다.

B형 및 C형 간염에 대한 한약 치료의 효과 - 체계적 고찰 연구 (Herbal Medicine for the Treatment of Viral Hepatitis B and C: A Systematic Review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 김승모;이유리;조나경;최홍식;김경순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455-474
    • /
    • 2021
  • 본 연구는 B형 및 C형 간염에 대한 한약 치료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무작위 임상연구를 대상으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을 시행하였다. 검색엔진은 EMBASE, Pubmed, NDSL, KMBASE, KISS, KISTI, Koreamed, Koreantk, Oasis database를 이용하였으며 국내의 검색 엔진 키워드는 '간염' 또는 '바이러스성간염', '한약', '무작위 배정 임상시험'을, 국외 검색 엔진 키워드는 'hepatitis' or 'viral hepatitis' and 'herbal medicine' or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and 'randomized controlled trial'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15개의 무작위배정 임상시험을 선택되었으며, 그 중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낸 연구는 한약과 양약 복합치료군이 양약을 투여한 대조군에 비해 HBV DNA loss에서 높은 효과를 보였다. 한약과 양약 복합치료군이 양약을 투여한 대조군에 비해 HBeAg loss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를 보였으며, 한약과 양약 복합치료군이 양약을 투여한 대조군에 비해 ALT가 감소하였다. 본 연구는 B형 및 C형 간염환자를 대상으로 한약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기존에 시행된 RCT 연구를 대상으로 체계적 문헌고찰을 시행하였으며, 한약과 양약의 복합치료가 양약 단독치료에 비해 치료효과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만성폐쇄성폐질환의 자가간호 중재연구(RCT) 효과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Effects of Self-Care Intervention Study on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Focusing on a Systematic Review of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 문경미;박인희;김현주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8호
    • /
    • pp.97-110
    • /
    • 2023
  • 이번 연구는 국내·외 만성폐쇄성폐질환 대상자에게 시행된 다양한 자가간호 중재 프로그램의 내용에 대한 연구결과를 통합하고 분석하기 위해 수행된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이다. 문헌선정기준은 2000년 1월 1일부터 2022년 9월 30일까지로 PubMed, CINAHL, EMBASE, MEDLINE, RISS, DBpia, KISS 및 KMbase를 통해 검색된 무작위 대조군 실험연구로 사전-사후 설계를 적용한 논문을 채택하였다. 체계적 고찰에 포함된 연구는 총 23편으로 중재 관련 요인으로는 연구대상의 수, 중재자 유형, 중재 제공 횟수 및 기간, 중재효과 관련 요인으로는 중재효과 측정도구, 중재효과 변수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만성폐쇄성폐질환 자가간호 중재 프로그램은 환자의 증상 악화 및 재입원을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우리나라 만성폐쇄성폐질환자에게 적합한 자가간호 중재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며 환자의 접근성, 편의성 및 지속을 위한 동기 부여 방법 등을 고려한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대학 인성교육 교과-비교과 간 융합체계 개발 기초연구 (A Fundamental Study of Convergenced Curricular-Noncurricular System Development for Personality Education in University)

  • 김영준;강경숙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1호
    • /
    • pp.193-202
    • /
    • 2018
  • 본 연구는 대학 교육과정에서 필수 이수 대상 영역으로 고려되는 인성교육에 중점을 두고 인성교육의 활성화를 도모하는 관점에서 인성교육 교과-비교과 간 융합체계를 개발하기 위하여 고려되어야 할 구성요소를 탐색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소고 형식으로 관련 선행연구를 고찰하는 절차의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대학 인성교육 교과-비교과간 융합체계 개발을 위해 기초적으로 구성되어야 할 요소로써 '비교과 기초교육으로써의 인성교육 정규 교과목 내용적 기반 마련', '인성교육 정규 교과 내용적 기반 연계 비교과 영역 및 실천 소재 구성', '인성교육 교과-비교과 간 융합 양식체계 구성', '인성 함양 역량 구축 및 유기적 범주화', '사후 연계학습 관리'가 고찰되었다. 끝으로, 이상에서 고찰된 제반 내용이 일선 대학 현장의 인성교육 교육과정 기반에 현실화될 수 있는 수반 조건을 중심으로 결론을 제시하였다.

치매교육을 위한 가상현실 프로그램에 대한 체계적 고찰 (A Systematic Review of the Virtual Reality Program for Dementia Education)

  • 김수현;박희옥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3호
    • /
    • pp.195-202
    • /
    • 2021
  • 본 연구는 치매교육으로 제공한 국내·외 가상현실 프로그램의 특성, 효과, 적용 전략 등을 확인하는 체계적고찰 연구이다. 연구방법은 2020년 7월까지 국내·외에서 발표된 문헌을 대상으로 국외는 CINAHL, Cochrane, EMBASE, Pubmed 전자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였으며, 국내는 RISS, KISS, DBpia에 대한 검색을 시행하였다. 선정기준과 배제기준을 근거로 최종 6편의 논문이 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결과 선정된 문헌의 연구대상자는 비전문 간병인 2편(33.3%), 일반인 1편(16.7%), 간호학생과 의학 및 약학대 학생을 포함한 학생들 3편(50.0%)이었다. 가상현실 프로그램은 총 5개(공감능력, 치매 지식과 편안감을 포함한 치매태도, 자신의 능력에 대한 신뢰, 양자관계척도)영역에 효과가 있었으며, 이 중 공감능력에 대한 평가가 가장 많았으며 공감능력을 측정한 연구의 75%에서 가상현실 프로그램이 유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공감을 기반으로 한 인간중심적 간호에 가상현실 기술을 활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모아의 환경적 건강에 대한 출산 코호트 효과: 체계적 고찰 (Birth cohort effects on maternal and child environmental health: a systematic review)

  • 채정미;김현경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27-39
    • /
    • 2021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review recent findings from birth cohort studies on maternal and child environmental health. Methods: Birth cohort studies regarding environmental health outcomes for mothers and their children were investigated through a systematic review. A literature search was conducted in PubMed, CINAHL, the Cochrane Library, Embase, and RISS to identify published studies using the keywords using a combination of the following keywords: maternal exposure, environmental exposure, health, cohort, and birth cohort. Articles were searched and a quality appraisal using the Newcastle-Ottawa Scale for cohort studies was done. Results: A review of the 14 selected studies revealed that prenatal and early life exposure to environmental pollutants had negative impacts on physical, cognitive, and behavioral development among mothers and children up to 12 years later. Environmental pollutants included endocrine disruptors, air pollution (e.g., particulate matter), and heavy metals. Conclusion: This systematic review demonstrated that exposure to environmental pollutants negatively influences maternal and children's environmental health outcomes from pregnancy to the early years of life. Therefore, maternal health care professionals should take steps to reduce mothers' and children's exposure to environmental polluta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