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청취선호도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8초

청취자 선호도를 반영한 콘서트홀 음향설계 (Room acoustic design of a concert hall with a reflection of listeners' preference)

  • 김지현;오양기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39-144
    • /
    • 2019
  • 콘서트홀의 소리품질을 나타내는 실내음향 지표들이 다수 개발되어 있으며, 청취자들이 기대하는 소리에 관한 경험적인 연구의 결과로 각 실내음향 지표들의 적정 범위가 제안되었다. 그러나 세월의 흐름에 따라 연주나 청취환경의 경향이 변하고 있고, 각 지표의 적정 범위에 대해 연구자들의 이견이 존재하는 등의 문제가 드러나고 있다. 콘서트홀의 음향환경에 대해 청취자들이 어떠한 선호개념을 갖고 있는지 조사하고 이를 콘서트홀의 음향설계에 반영하여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음악의 연주 및 청취에 전문적인 경험을 갖고 있는 우리나라의 청취자들을 대상으로 콘서트홀 음향효과에 대한 선호도를 조사하고 평가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를 반영하여 청취조건을 구현하는 콘서트홀의 음향설계 프로세스를 제안하였다.

사용자 청취 습관과 태그 정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음악 추천 시스템 (A Hybrid Music Recommendation System Combining Listening Habits and Tag Information)

  • 김현희;김동건;조진남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107-116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소셜 음악 사이트에서 사용자들이 음악 아이템을 청취한 횟수와 생성한 태그 정보를 혼합하여 음악을 추천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현재, 상용화된 음악 추천 시스템들은 주로 사용자의 청취 습관과 외부적인 선호도 입력값을 기반으로 음악을 추천하고 있다. 그러나 이 방식은 아직 음악을 청취한 사용자가 많지 않은 새로운 음악이나 청취 정보가 없는 새로운 사용자의 경우 추천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가 선정한 키워드를 아이템에 부여하는 협업 태깅으로 생성된 태그 정보를 활용하였다. 태그의 의미를 파악하여 감정 표현의 정도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한 뒤, 태그 점수와 청취 횟수를 혼합하여 음악 아이템의 선호도를 산출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 프로파일을 생성하고 협업 필터링 알고리즘을 수행하였다. 제안하는 추천 방법의 효율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청취 습관 기반 추천, 태그 점수 기반 추천, 하이브리드 추천 방법의 세 가지 추천 방법에 대해서 정확도, 재현율, 그리고 F-measure를 계산하였다. 실험 결과에 대해 통계적 검증을 시행한 결과, 하이브리드 추천 방법이 다른 두 가지 방식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용 TV 환경에서의 실감효과 향상을 위한 정면 수직음상정위 기반 오디오 시스템 (An Audio System Based on Vertical Sound Source Elevation for the Improvement of Audio Realism in Home TV Environments)

  • 김종건;전찬준;김홍국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12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174-175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가정용 TV 환경에서 실감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정면 수직음상정위에 기반한 오디오 시스템을 제안하고 이를 구현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가정용 대형 TV 환경에서 TV 하단에 배치된 오디오 시스템으로 인해 음상이 TV 의 하단에 맺히게 되어 재생되는 영상과 위치적인 불일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오디오 신호에 정면 수직음상정위 기법을 적용하여 고도감이 향상된 신호를 생성해 준다. 본 논문에서의 정면 수직음상정위 기법은 청취자의 신체적 특성을 반영하기 위한 머리전달함수 모델, 고도에 따라 달라지는 주파수 특성을 반영하기 위한 spectral notch 및 특정 주파수 대역 boosting 으로 구성된다. 제안된 오디오 시스템의 정면 수직음상정위 기법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원음과 이 원음에 정면 수직음상정위 기법을 적용하여 생성한 음원을 TV 오디오 시스템으로 재생한 후의 청취 선호도 조사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정면 수직음상정위 기법을 포함하는 제안된 오디오 시스템을 통해 청취한 음원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다.

  • PDF

직교배열법을 이용한 차량 음향 시스템의 음질평가 (An Assessment on the Sound Quality of the Car Audio System Using the Orthogonal Designs)

  • 두세진;최경미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229-238
    • /
    • 2008
  • 음향 튜닝 과정을 통하여 카오디오의 음질은 개선되며 완성차의 품질 또한 향상된다. 하지만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선호도 조사 없이 소비자가 만족하도록 카오디오를 튜닝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소비자의 기호를 조사하기 위하여 주파수 특성, 밸런스, 공간감 등과 같은 매우 다양한 음향특성을 조사해야 하지만, 조사할 음향특성 항목이 많아질수록 비교 청취해야 하는 음원의 수가 급격히 증가하므로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행한다. 평가자의 피로도 증가로 인하여 실험이 어려워질 뿐 아니라, 개개의 음향특성과 전체의 음질의 연관성을 파악하는 것 또한 쉽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음질 선호도를 조사할 때에 비교 청취되는 음원의 수를 크게 줄일 수 있도록 통계적 직교배열법을 사용하였으며, 분산분석법을 이용하여 청취실험 자료를 분석하였다. 특히, 직교배열법을 사용하여 여덟 가지 음향특성들의 256 가지 조합으로 이루어진 음향 환경을 16가지 비교음원을 사용하여 재생하였다. 분산분석 결과, 팝 음원의 경우에는 Treble이 일반적으로 재생된 음향의 음질 선호도에 가장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음향특성임을 밝혔다. 그 밖에도 Deep Bass와 SAD 및 Treble과 SAD의 교호작용 등이 유의한 음향특성으로 나타났다. 클래식 음원의 경우에는 SAD가 유일하게 유의하게 나타났다.

한국 범종에 대한 음향 및 선호도 분석 (Acoustic Characteristics and Timbre Preferences of Korean Bells)

  • 박상하;이민구;한나라;성굉모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273-280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전국 각지의 범종 소리를 녹음하고 이를 크기에 따라 두 개의 그룹으로 분류한 후, 두 그룹에 대하여 주관청취 평가를 시행하여 사람들이 어떤 범종 소리를 선호하는지 조사하였다. 또한, 범종 음향 분석을 통해 부분음의 위치, 크기, 맥놀이 주기, 20 dB 감쇠 시간을 분석하였다. 이후, 분석된 음향학적 파라미터와 선호도의 상관관계를 파악함으로써 선호도가 높은 범종과 선호도가 낮은 범종을 구분짓는 음향학적 특징을 알아보았다.

공간의 청각적 규모감과 음향적 선호도간의 관계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pparent Auditory Room Size and Acoustic Preference)

  • 정대업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191-196
    • /
    • 2006
  • 인간은 일반적으로 공간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시각에 의존한다. 그러나 청각적 경험이 중시되는 공연공간이나 다수의 음원을 활용하는 멀티미디어 환경 및 자동차의 캐빈 등에서는 시각적으로 큰 차이가 없는 상황에서도 제공되는 청취환경에 의해서 공간의 크기를 다르게 지각하게 된다. 본 연구는, 단일공연장내 상이한 위치에서 청각적으로 지각되는 공간의 규모를 청취실험을 통하여 측정 분석하였으며, 동일위치에서 측정된 건축음향파라메타와의 상관관계분석을 통하여 영향요인들을 살펴보았다. 실험결과, 공연장의 크기에 대한 청각적 인상은 음악적 명료도(clarity)에 의해 크게 좌우되며, 음원과의 거리, SPL등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기 다른 4종류의 연주악기를 이용한 음향 선호도 평가결과, 성악을 제외한 오케스트라, 첼로, 플룻의 경우 공간적 규모감이 작은 것을 선호하였다. 반면, 성악의 경우 공간적 규모감과의 유의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사용자 정보를 반영한 객체 기반 오디오 재생 기술 (Object-based Audio Player using a User Information)

  • 문재원;정종진;김경원;임태범;이석필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10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7 No.1(B)
    • /
    • pp.197-200
    • /
    • 2010
  • 멀티미디어 서비스는 신호 처리 기술의 발달 및 전송 환경의 개선으로 정보 전달의 기존 역할 뿐 아니라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 및 재생 환경을 반영하는 맞춤형 서비스로 진화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다양한 청취 환경 변화, 선호도 및 감정을 네트워크상 입력 디바이스를 통해 전송하고, 이를 바탕으로 처리한 객체 기반 음원을 다채널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능동형 재생 플랫폼을 제안한다. 다수의 청취자는 각각의 감성 및 환경 정보 등 음원 처리에 관련 데이터베이스를 실시간 저장하여 동일한 음원으로 단일 플랫폼에서 다양한 청취감으로 음원 재생이 가능하다.

  • PDF

헤드폰의 음향적 특성과 주관적 선호도간의 상관 관계 (Correlation Between the Headphone's Acoustical Characteristics and Subjective Preferences)

  • 이기승;이석필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96-106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헤드폰의 음향적 특성과 주관적인 선호도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이로부터 음향적 특성을 이용한 주관적 선호도의 예측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헤드폰의 음향적 특성으로 좌, 우 채널에 대한 고조파 왜곡, 주파수 특성의 분산, 그리고 충격파 응답의 양이 상관 계수가 사용되었다. 이들 특성은 머리 모형을 이용하여 잡음이 없는 무향 환경에서 측정되었다. 주관적인 선호도는 음량감, 선명감, 공간감, 포만감, 전체적인 느낌의 5개 항목으로 점수화하여 나타내었다. 선호도 평가에는 음악 청취에 경험이 많은 12명의 청취자가 참여하였으며 샘플 음악은 가요, 팝, 경음악, 음성, 클래식의 5 종류의 음악이 사용되었다. 실험에 사용된 헤드폰은 밀폐형 4종, 개방형 2종 귓속 삽입형 2종 등 총 8개가 사용되었다. 주관적인 선호도는 이원 배치 법을 이용하여 주관적 선호도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을 분석하였으며 음향적 특성과 주관적인 선호도 점수 간의 상관 계수를 구하였다. 실험 결과 오른쪽 채널에서 측정된 주파수 크기 응답의 분산이 주관적인 선호도와 가장 높은 상관 계수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충격파 응답의 양이 상관 계수는 거의 상관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기준 의사결정 방법을 고려한 베이지안 네트워크 기반 음악 추천 시스템 (Bayesian network based Music Recommendation System considering Multi-Criteria Decision Making)

  • 김남국;이상용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3호
    • /
    • pp.345-352
    • /
    • 2013
  • 최근 스마트 기기 사용자의 증가에 따라 모바일 음악에 대한 수요와 생산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대중화된 음악의 폭이 넓어지면서 사용자가 선호하는 음악에 대한 선택의 기준 또한 매우 다양해지고 복잡해지는 추세이다. 이러한 이유로 모바일 환경에서 사용자 개인이 선호하는 음악을 정교하게 추천하기 위한 지능적 음악 추천 기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음악 추천시스템은 청취로그를 이용한 단순 추천 방법을 사용하고 있어 사용자의 선호도를 제대로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선호도를 반영한 개인화된 적응형 음악 추천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시스템에서는 계층적 의사결정 도구인 AHP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개개인의 음악적 선호도를 반영한 음악 추천이 가능토록 하였으며, 베이지안 네트워크 기반의 사용자 피드백 통해 지속적인 사용자의 음악적 선호도를 반영하도록 하였다. 본 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12명의 실험자를 각각 3명씩 4그룹으로 나누어 실험하였으며 그 결과 87.5%의 추천 만족도를 얻었다.

시각장애인용 음성합성기에 대한 장/단기 사용성 평가 (A Short-term and Long-term Usability Testing of the Speech Synthesizer for the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s)

  • 이희연;홍기형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53-60
    • /
    • 2015
  • 본 논문은 시각장애인용 보조공학기기인 스크린리더용 음성합성기의 장기 및 단기 사용성 평가에 대한 것이다. 총 20명의 시각장애인이 단기 사용성 평가에 참가하였고, 그 중 10명이 장기 사용성 평가에도 참여하였다. Mean Opinion Score(MOS)를 통해 합성음 음색의 자연성과 명료성 등을 살펴보았고, 순위조사를 통해 음색의 선호도를 조사하였으며, 자유 피드백을 통하여 사용자의 만족도와 기타 요구사항 등을 평가하였다. 또한 장기 사용성 평가를 통해 합성음의 장시간 청취 시 자연성, 명료성, 선호도, 귀의 피로도 등을 조사하여 단기 사용성 평가결과와 비교분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