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천원술(天元術)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3초

산학계몽과 묵사집산법의 비교 (A Comparison between Suanxue qimeng(Introduction to Mathematical Studies} and Muksa-jipsanbup)

  • 허민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16
    • /
    • 2008
  • 중국의 산학서 산학계몽은 산학의 훌륭한 입문서로 조선 산학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이의 편제와 내용을 본받은 조선 산학서 묵사집산법은 많은 문제와 별해를 추가하고 산학계몽에서 다루지 않은 산학의 몇 가지 주제도 보완해서 교육적 개선을 시도하였다. 그러나 묵사집산법은 정부술을 배제시킴으로써, 전통적인 방정술을 이용할 수 없었다. 또 천원술도 회피함으로써, 일반적인 승방(다항 방정식)의 표현과 풀이에도 큰 제약을 받았다.

  • PDF

조선시대의 산학서 <구일집>의 내용 분석 및 교육적 활용 방안 탐구 (Analysis on Gu-il-jip, the mathematical book of Chosun dynasty and its pedagogical applications)

  • 장혜원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3권4호
    • /
    • pp.429-446
    • /
    • 2003
  • <구일집>은 9장으로 이루어진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산학서이다. 473개 이상의 문제와 그에 대한 풀이가 주를 이루는 이 책의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당시의 전문 산학 자에 의한 수학적 활동을 음미할 수 있다 그 중, 측정 단위와 소수 표기, 원주율 및 원의 넓이와 구의 부피, 거듭제곱 명명법, 계산 도구인 산대의 이용, 남거나 모자라는 양에 대한 계산법인 영부족술, 연립방정식의 해법인 방정술, 다항식의 표기법인 천원술, 고차방정식의 해법인 개방술 등은 오늘날의 수학 지식 및 방법과 비교할 때 특히 주목할 만하다. 이러한 분석에 기초하여 학교 수학에서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을 타진해 본다.

  • PDF

천원술(天元術)과 기수법(記數法) (TianYuanShu and Numeral Systems in Eastern Asia)

  • 홍성사;홍영희;이승온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1-10
    • /
    • 2012
  • 중국의 명수법은 기록은 구어체를 사용하고, 계산은 산대를 사용하는 이중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또 산서는 실생활의 문제만 다루는 과정에서 수학적 구조를 나타내는 방법을 택하여 계산 과정을 제외하면 이들에서 취급한 수는 모두 명수(名數)들이어서 순수한 수론의 발전을 이룰 수 없었다. 송대에 0의 도입과 함께, 천원술의 표현에서 나타나는 계수를 산대로 표시하는 방법을 통하여, 산대가 계산 도구와 함께 추상수의 기수법(記數法)이 되는 과정을 밝힌다. 수량의 단위를 사용한 소수의 표현도 이 과정에서 산대 표현으로 대치되었다. 그러나 명대에 산대 계산이 주산으로 대치되고 천원술이 잊히게 되어 추상수의 개념도 함께 잊히게 되었다. 청대의 산학자 심사계(沈士桂)가 저서 간첩이명산법(簡捷易明算法)에서 분수의 소수표시와 계산을 하는 과정에서 순환소수를 인지하고 이들의 계산법을 확립한 것도 보인다.

18세기(世紀) 조선(朝鮮)의 구고술(句股術) (Gou Gu Shu in the 18th century Chosun)

  • 홍성사;홍영희;김창일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1-21
    • /
    • 2007
  • 18세기 초 중인(中人) 홍정하(洪正夏)($1684{\sim}?$)의 구일집(九一集)과 양반(兩班) 조태구(趙泰耉)($1660{\sim}1723$)의 주서관견(籌書管見)에 들어 있는 구고술(句股術)을 조사한다. 구조적 접근과 천원술(天元術)을 통하여 홍정하(洪正夏)는 동양(東洋)에서 가장 앞선 구고술(句股術)의 결과를 얻어내었다. 또 17세기 중엽에 서양(西洋) 수학(數學)이 조선(朝鮮)에 유입된 후 조선(朝鮮) 산학(算學)에 이론적 접근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조태구(趙泰耉)의 구고술(句股術)을 통하여 연구한다.

  • PDF

홍정하(洪正夏)의 천원술(天元術)과 증승개방법(增乘開方法) (Hong JeongHa's Tianyuanshu and Zhengcheng Kaifangfa)

  • 홍성사;홍영희;김영욱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55-164
    • /
    • 2014
  • Tianyuanshu and Zengcheng Kaifangfa introduced in the Song-Yuan dynasties and their contribution to the theory of equations are one of the most important achievements in the history of Chinese mathematics. Furthermore, they became the most fundamental subject in the history of East Asian mathematics as well. The operations, or the mathematical structure of polynomials have been overlooked by traditional mathematics books. Investigation of GuIlJib (九一集) of Joseon mathematician Hong JeongHa reveals that Hong's approach to polynomials is highly structural. For the expansion of $\prod_{k=11}^{n}(x+a_k)$, Hong invented a new method which we name Hong JeongHa's synthetic expansion. Using this, he reveals that the processes in Zhengcheng Kaifangfa is not synthetic division but synthetic expansion.

박율의 산학원본 (Park Yul and His San Hak Won Bon(算學原本))

  • 김영욱;홍성사;홍영희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16
    • /
    • 2005
  • 17세기 이전에 조선 산학자가 저술한 산서로 그 출판 연대가 확인된 것은 숙종26년(1700)에 출판된 박율(1621-?)의 산학원본이 유일하다. 이보다 먼저 출판된 것으로 추정되는 산서는 경선징(1615-?)의 묵사집산법이 있다. 조선의 산서로 산학원본은 천원술을 최초로 사용하고 있는 산서이고, 이는 그 후 여러 산서에서 인용되었다. 산학원본을 고려대학교 도서관에서 찾아내었다. 이 논문은 산학원본의 역사적 가치와 함께 조선 산학의 발전에 끼친 영향을 조사하고, 이를 통하여 박율이 지대를 앞서간 뛰어난 수학자임을 확인한다

  • PDF

답전윤환 작부체계에 따른 소득작물의 년차간 수량 및 수익성 비교 (Comparison of Crop Yield and Income among Different Paddy-Upland Rotation Cropping Systems)

  • 권종락;윤영석;이광석;최부술;이원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312-316
    • /
    • 1993
  • 경지이용률 향상을 위하여 1985년부터 1992년(8년간)까지 2년 1기 작부양식으로 4기에 걸쳐 소득이 높은 작물을 공시하여 다양한 작부양식으로 작물별 년차간의 수량과 작부양식간에 수량, 조수익, 소득의 년차간 변리를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년차간 수량의 변리가 큰 작물은 고추(33.5%), 마늘(26.0%), 가을배추(25.7%) 등이고 적은 작물은 오이 (9.9%), 단옥수수(10.9%), 봄감자(11.0%) 등이였으며 벼는 4.4~13.3%의 변리를 보였다. 2. 소득이 높은 작물은 가을배추(956$\pm$132천원), 마늘(859$\pm$220천원), 고추(696$\pm$204천원) 등이였으며 낮은 작물은 보리(136$\pm$33천원), 강남콩(177$\pm$67천원), 완두(264$\pm$57천원) 등이었다. 변리가 심한 작물은 참깨(40.9%), 단옥수수(38.1%) 등이고 적은 작물은 땅콩(13.2%), 가을배추(13.9) 등이 었다. 3. 작부양식별 소득은 때-보리조합(992$\pm$228천원)에 비하여 토란-강남콩-벼조합(843$\pm$102천원)을 제외한 전조합이 증가되었으며 특히 오이-가을배추-완두-벼조합(1,887$\pm$632천원)이 90% 증가되었고 다음은 참깨-마늘-벼조합(1,507$\pm$357천원)이 52% 증가되었으며 년차간의 소득 변리는 12.1~33.5%의 범위였다.

  • PDF

금원수학여전진도(金元数学与全真道) (Jin-Yuan Mathematics and Quanzhen Taoism)

  • 곽서춘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325-333
    • /
    • 2016
  • Chinese Mathematics during the period of Jin (1115-1234) and Yuan (1271-1368) is an integral part of the high achievements of traditional mathematics during the Song (962-1279) and Yuan dynasties, which is another peak in the history of Chinese mathematics, following the footsteps of the high accomplishments during the Warring States period (475-221 BCE), the Western Han (206 BCE-24 ADE), Three Kingdoms (220-280 AD), Jin dynasty (265-420 AD), and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420-589 AD). During the Jin-Yuan period, Quanzhen Taoism was a dominating branch in Taoism. It offered certain political protection and religious comforts to many during troubled times; it also provided a relatively stable environment for intellectual development. Li Ye (1192-1279), Zhu Shijie (fl. late 13th C to early 14th C) and Zhao Youqin (fl. late 13th C to early 14th C), the major actors and contributors to the Jin-Yuan Mathematics achievements, were either heavily influenced by the philosophy of Quanzhen Taoism, or being its followers. In certain Taoist Classics, Li Ye read the records of the relations of a circle and nine right triangles which has been known as Dongyuan jiurong 洞渊九容 of Quanzhen Taoism. These relations made significant contributions in the study of the circles inscribed in a right triangle, the reasoning of which directly led to the birth of the Method of Celestial Elements (Tianyuan shu 天元术), which further developed into the Method of Two Elements (Eryuan shu ⼆元术), the Method of Three Elements (Sanyuan shu 三元术) and the Method of Four Elements (Siyuan shu 四元术).

조선산학의 수학적 표현의 변천에 대한 고찰 - 수와 연산, 문자와 식 영역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transition of the representations of numbers and mathematical symbols in Joseon mathematics)

  • 최은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8권3호
    • /
    • pp.375-394
    • /
    • 2014
  • 본 연구는 수와 연산, 문자와 식 영역을 중심으로 조선산학의 수학적 표현의 변천과정을 고찰하였다. 고찰 결과, 서양 수학의 표현 방식을 도입하기 이전에 각 영역별로 조선산학의 고유한 표현과 과도기적 표현이 존재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대한 근거로 세 가지를 제시하였다. 첫째, 조선산학은 한자 표기의 승법적 기수법과 산대 표기의 위치적 기수법을 병행하였으나, 한자를 사용한 위치적 기수법이라는 과도기적 표현을 거쳐 인도 아라비아 숫자를 사용한 위치적 기수법의 단계로 진행하였다. 둘째, 한자를 축약하여 연산을 표현하거나 산대 조작과정을 산대로 표기하는 방식에서 서양 산술의 연산 표현을 수용하는 단계로 진행한 과정에서 전통적인 연산 표현 방식과 유럽 필산의 표현 방식을 절충한 표현이 등장하였다. 셋째, 조선산학에서 문자와 식은 산대로 계수들을 표현하는 천원술과 방정술로 표현되었지만, 좀 더 형식화된 생략적 대수의 단계를 거쳐 서양수학의 기호적 대수의 표현방식을 수용하였다.

수학적(數學的) 구조(構造)와 산학계몽(算學啓蒙) (Mathematical Structures and SuanXue QiMeng)

  • 홍성사;홍영희;이승온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6권2_3호
    • /
    • pp.123-130
    • /
    • 2013
  • 주세걸(朱世傑) 산학계몽(算學啓蒙)은 조선 산학의 발전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 산서이다. 천원술을 비롯한 산학계몽(算學啓蒙)의 내용은 조선 산학의 중요한 연구 대상이 되었다. 이 논문의 목적은 주세걸(朱世傑)이 수학적 구조를 강조하면서 산학계몽(算學啓蒙)을 저술한 것을 보여서 조선 산학자들에게 수학적 구조에 대한 이해를 크게 확장한 것을 드러내는 것이다. 이와 함께 주세걸(朱世傑) 이전의 산서에 나타나는 구조적 접근과 산학계몽(算學啓蒙)의 접근을 비교하여 주세걸(朱世傑)의 접근이 뛰어나고 또 현대에 사용되는 구조적 접근과 일치하는 것을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