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transition of the representations of numbers and mathematical symbols in Joseon mathematics

조선산학의 수학적 표현의 변천에 대한 고찰 - 수와 연산, 문자와 식 영역을 중심으로 -

  • Received : 2014.07.30
  • Accepted : 2014.09.11
  • Published : 2014.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ransition of mathematical representation in Joseon mathematics, which is focused on numbers and operations, letters and expressions. In Joseon mathematics, there had been two numeral systems, one by chinese character and the other by counting rods. These systems were changed into the decimal notation which used Indian-Arabic numerals in the late 19th century passing the stage of positional notation by Chinese character. The transition of the representation of operation and expressions was analogous to that of representation of numbers. In particular, Joseon mathematics represented the polynomials and equations by denoting the coefficients with counting rods. But the representation of European algebra was introduced in late Joseon Dynasty passing the transitional representation which used Chinese character. In conclusion, Joseon mathematics had the indigenous representation of numbers and mathematical symbols on our own. The transitional representation was found before the acceptance of European mathematical representations.

본 연구는 수와 연산, 문자와 식 영역을 중심으로 조선산학의 수학적 표현의 변천과정을 고찰하였다. 고찰 결과, 서양 수학의 표현 방식을 도입하기 이전에 각 영역별로 조선산학의 고유한 표현과 과도기적 표현이 존재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대한 근거로 세 가지를 제시하였다. 첫째, 조선산학은 한자 표기의 승법적 기수법과 산대 표기의 위치적 기수법을 병행하였으나, 한자를 사용한 위치적 기수법이라는 과도기적 표현을 거쳐 인도 아라비아 숫자를 사용한 위치적 기수법의 단계로 진행하였다. 둘째, 한자를 축약하여 연산을 표현하거나 산대 조작과정을 산대로 표기하는 방식에서 서양 산술의 연산 표현을 수용하는 단계로 진행한 과정에서 전통적인 연산 표현 방식과 유럽 필산의 표현 방식을 절충한 표현이 등장하였다. 셋째, 조선산학에서 문자와 식은 산대로 계수들을 표현하는 천원술과 방정술로 표현되었지만, 좀 더 형식화된 생략적 대수의 단계를 거쳐 서양수학의 기호적 대수의 표현방식을 수용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석일.박교식 (2011).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서의 용어 사용과 정의 방식에 관한 비판적 분석: 몇 가지 예를 중심으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5(2), 301-316.
  2. 김경용 (2009). 경장기 조선, 관리등용제도 개혁과 성균관경학과, 교육사학연구, 31(2), 1-24.
  3. 김기석 (1997). 한국 근대교육의 기원과 발달,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편), 한국교육사, 서울: 교육과학사.
  4. 김병덕 (1999). 우리나라 명수법(命數法)에 대한 소고(3), 한국수학사학회지, 12(2), 55-62.
  5. 김응태.박한식.우정호 (1995). 수학교육학개론,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6. 김진환.박교식 (2010). 식, 방정식, 항등식이라는 용어의 의미에 관한 연구, 학교수학, 12(1), 27-43.
  7. 김흥기 (2008). 중학교 수학에서 도입된 용어 및 기호에 관한 고찰, 학교수학, 10(2), 223-257.
  8. 도종훈.박지현 (2013). 교수요목기부터 2007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까지 학교 수학 용어의 표현 변화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23(4), 491-503.
  9. 박경미.임재훈 (1998). 학교 수학 기하 용어의 의미론적 탐색 : 기하 용어의 역사적 변천 및 국제 비교를 중심으로, 수학교육학연구, 8(2), 565-586.
  10. 박교식 (2003). 고등학교 수학 용어에 대한 의미론적 탐색: 한자 용어를 중심으로, 수학교육학연구, 13(3), 227-246.
  11. 박교식 (2011).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에서의 용어 등재와 수학 교과서에서의 용어 사용의 적합성에 관한 논의, 수학교육학연구, 21(4), 361-378.
  12. 백대현 (2010).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용어 사용과 표현의 적절성 고찰, 학교수학, 12(1), 61-77.
  13. 백대현.이진희 (2012). 중학교 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기호의 서술: 어떻게 읽고 이해할 것인가?, 수학교육학연구, 21(2), 165-180.
  14. 오채환.이상구.홍성사.홍영희 (2010). 19세기 조선의 수학교과서, 한국수학사학회지, 23(1), 1-24.
  15. 이상구.함윤미 (2009). 한국 근대 고등수학 도입과 교과과정 연구, 한국수학사학회지, 22(3), 207-254.
  16. 이상국 (1989). 개화기 서양부기.회계 도입과정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17. 장혜원 (2006). 산학서로 보는 조선수학, 서울: 경문사.
  18. 최은아 (2013). 조선산학의 교수학적 분석.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19. 朱世傑(2009). 산학계몽(상) (허민 역), 서울: 소명출판. (원저 1299년 출판)
  20. 本間九介(2008). 조선잡기: 일본인의 조선정탐록 (최혜주 역), 파주: 김영사. (원저 1894년 출판)
  21. Boyer, C. B. & Merzbach, U. C.(2000). 수학의 역사(상) (양영오.조윤동 역), 서울: 경문사. (원저 1968년 출판)
  22. Cajori, F. (1991). 數學의 歷史(정지호 역), 서울: 창원사. (원저 1917년 출판)
  23. NCTM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Author.

Cited by

  1. The Didactical Significance of the Algorithms for Multiplication of Natural Numbers of Chosun-Sanhak in the 18th Century vol.29, pp.4, 2014, https://doi.org/10.29275/jerm.2019.11.29.4.6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