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천연소재

Search Result 1,181,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Functional Cosmetic Effect of Sargassum Extracts (모자반추출물의 기능성 화장품소재 특성)

  • Haeun Sim;Dae-Young Noh;Donguk Kim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62 no.2
    • /
    • pp.142-146
    • /
    • 2024
  •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natural cosmetic ingredients as natural cosmetics become popular. As a part of effort to look for natureal cosmetic agent, seaweed Sargassums were tested for functional cosmetic agents. Effective materials were extracted from Sargassum coreanum. Sargassum hemiphyllum, and Sargassum patens by simple hot water extraction. Antioxidation, whitening, anti-wrinkle, UV absorption and anti-inflammation effects were studied for functional cosmetic agents. Sargassum extracts indicated excellent cell viability, strong anti-oxidation effect by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showed significant whitening effect from tyrosinase inhibition. However, effects of antiwrinkle, UV absorption and anti-inflammation were negligible. In conclusion, Sargassum coreanum extracts showed good possibility for anti-oxidation and whitening cosmetic agent.

당류산업

  • 임재각
    • Food Industry
    • /
    • s.181
    • /
    • pp.38-67
    • /
    • 2004
  • 예로부터 인간은 단맛에 강한 욕구를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설탕, 포도당, 과당 등 단맛이 강한 감미료를 선호하여 왔고, 현재까지도 식품 제조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국민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고조 되고 설탕으로 대표되는 전통적인 일반 감미료의 충치, 비만, 당뇨병 유발 등의 부정적인 측면이 부각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식품에 대한 건강 기능성이 강조되면서 기능성 감미료가 주목 받고 있다. 특히 고도의 경제성장 및 국민 소득의 향상에 따라 차별화된 기능성 감미료의 생산을 요구하는 실정이다. 이와 관련하여, 현재 식품 산업계에서는 올리고당류, 당알콜류, 고감미 감미료류 등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연구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올리고당류의 대표적인 제품은 프락토올리고당, 갈락토올리고당, 이소말토올리고당 등이다. 현재 올리고단 시장은 성숙기로서 성장속도가 둔화되고 있으나, 최근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AACC)등 세계적인 협회에서 수용성 식이섬유를 다당류, 올리고당, 리그닌 등을 포함하여 새롭게 정의하였고 이에 따라 해외에서는 프락토올리고당을 중심으로 수용성 식이섬유로 용도 사용이 가능하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식이섬유로 표기도 가능하게 되어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에서는 아직 올리고당을 식이섬유로 사용하지는 못하고 있으나, 식품 공전 개정을 통해 식이섬유로 표기 가능하도록 수정될 전망이다. 당알콜류는 솔비톨 및 자일리톨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솔비톨은 시장에 가장 먼저 소개된 당알콜류인데 저가여서 그동안 가장 큰 시장을 형성하고 있었으나 최근 3년 동안 자일리톨껌이 최대의 히트 상품이 되면서 자일리톨이 급성장하였다. 그 외에는 만니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이소말트 등이 있다. 최근에는 말티톨을 중심으로 다양한 응용 연구 및 이소말트 및 에리스리톨 등을 생산 판매하고 있는 다국적 기업의 판촉 활동 등으로 당알콜류 시장의 새로운 변화가 예상된다. 고감미 감미료류는 스테비오사이드와 아스파탐이 주류를 이루고 있었지만, 최근 아세설팜 K 및 수크랄로스가 잇따라 식품으로써 사용 허가를 받으면서 시장이 재편되고 있다. 하지만, 해외에 비하여 국내의 고감미 감미료 시장은 매우 작고 성장률도 낮은 편인데 그 이유로는 국민 정서상 천연이 아닌 합성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 맛에 대한 거부감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이와 관련하여 최근에는 다양한 감미질 및 Multi sweetener system 연구를 통해 설탕과 유사한 맛을 내는 혼합 기술 개발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향후에는 해외의 선진국과 같이 고감미 감미료 시장도 점차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기타 대체 감미료로는 타가토스, 트레할로스, 아라비노스 등이 있다. 이중에서 특히 해외에서 크게 기대를 모으고 있는 타가토스는 최근 국내 인증을 받아 시장 진출을 준비 중에 있다. 아라비노스는 양질의 감미를 갖는 천연 펜토오스인데 연구용 시약 이외에는 지금까지 거의 이용되지 않았다. 그러나 최근 아라비노스가 설탕의 소화흡수를 선택적으로 억제한다는 흥미 있는 결과가 임상 및 동물실험에서 확인되어 향후 제품으로써 개발을 기대할 수 있게 되었다. 이들 감미료는 기존 설탕이 가지는 문제점을 많은 부분 극복할 것으로 여겨지며, 이로 인해 수요는 점차 증가할 것으로 생각되며, 높은 경제적 부가 가치를 창출할 것으로 예상되어 진다. 생산 기술 적인 측면에서 건강 지향적 천연소재 감미료에 대한 선호가 날로 증가하는 추세에 따라 기존에 주로 사용되었던 화학합성법보다는 천연 이미지의 생물공학적인 방법에 의한 감미료 생산이 각광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생물공학적인 방법을 감미료 소재 개발에 응용하게 되면, 기존에 사용되었던 화학합성법 등이 가지는 환경적인 문제, 반응 부산물 생성에 따른 분리, 정제에서의 비용증가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지며, 고정화 방법의 도입 등을 통해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본 장에서는 감미료 소재 개발에 건강 지향적 국민 정서를 반영하고, 국내외 감미료 시장의 흐름을 파악하여 당류 산업의 발전적인 변화에 대처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해 당류산업의 고부가가치 첨단산업으로서의 육성방안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 PDF

A Verification of Cosmetic Effect about Anti-oxidant and Anti-wrinkle of 11 Native Plants (자생식물 11종의 항산화 및 항주름에 관한 향장효능 검증)

  • Jang, Young-Ah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26 no.7
    • /
    • pp.782-788
    • /
    • 2016
  • To check the possibility of using natural extracts for cosmetic substances, we tested the bioactive effects of 11 crude extracts originating from native plants grown in the Republic of Korea on anti-oxidant and anti-wrinkle activities. When DPPH scavenging activities were measured, the crude extracts of Vitex rotundifolia, Scirpus triangulatus, S. wichurae, S. tabernaemontani, and Aeschynomene indica assays had more than 70% of DPPH scavenging activities at 100 μg/ml concentration. The data from the hydrogen peroxide scavenging assay revealed that the crude extracts from the 10 species, except for Eleocharis mamillata var. cyclocarpa, could scavenge more than 90% at 1,000 μg/ml concentration. The crude extract of V. rotundifolia had the highest xanthine oxidase scavenging activity at a 1,000 μg/ml concentration. Based on the four anti-oxidant assays, the crude extracts of V. rotundifolia, S. triangulatus, S. wichurae, S. tabernaemontani, and A. indica were shown to have excellent anti-oxidant capacities overall. In addition to the anti-oxidant capacities, the crude extract from S. wichurae exhibited high collagenase inhibitory activity, therefore, it could be a promising candidate for a cosmetic ingredient with anti-oxidant and anti-wrinkle qual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many wild plants native to the Korea Peninsula can be used as excellent natural substances for cosmetics based on their bioactive effects.

Investigation of Antimicrobial Activity of Rutaceae Fruit Ethanol Extracts Against Microorganisms-induced Skin Inflammation

  • Kim, Mee-Kyung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26 no.12
    • /
    • pp.237-245
    • /
    • 2021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Rutaceae fruit ethanol extracts against microorganisms-induced skin inflammation in cosmetic materials. Rutaceae fruits were separated in two parts of whole fruit (pulp, pulp fegment membrane, peel) and peel, and extracted with 70% ehtanol.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Rutaceae fruit ethanol extracts showed antimicrobial activity in 5 strains except Staphylococcus aureus. In particular, the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Staphylococcus epidermidis was the best in fresh lemons whole fruit. The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Escherichia coli was shown only in fresh lemon peel and fresh trifoliate peel. Additionally,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Propionibacterium acnes was shown only in the dried lemon peel. In the results of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Pityrosporum ovale, in the case of fresh fruits, citron whole fruits showed the highest effect, followed by lemon whole fruits and mandarin orange peel. And in the case of dried fruits, orange peel showed the highest effect, followed by trifoliate peel, mandarin orange peel and lemon peel.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lemon, which shows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all skin inflammation-causing microorganisms, can be used as a natural material for improving skin inflammation in cosmetics.

Antioxidative Effect of Stachys japonica Miq Extract on Cultured NIH3T3 Fibroblasts Damaged by Ferrous chloride, Mordant (염화제일철 매염제로 손상된 배양 NIH3T3 섬유아세포에 대한 석잠풀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 Sohn, Young-Woo;Yoo, Sun-Mi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 /
    • v.11 no.8
    • /
    • pp.201-206
    • /
    • 2021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d the dermatoxicity of ferrous chloride (FeCl2) and the antioxidative effect of Stachys japonica Miq (SJ) extract on FeCl2-induced cytotoxicity. For this study, superoxide anion-radical (SAR)-scavenging and superoxide dismutase (SOD)-like abilities with cell viability were done. FeCl2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of cell viability in dose-dependent manner, and it was mid-toxic. The caffeic acid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of cell viability against FeCl2-induced cytotoxicity. In the protective effect of SJ extract on FeCl2-induced cytotoxicity, it showed SAR-scavenging and SOD-like abilities with a significant increase of cell viability. From these results, the cytotoxicity of FeCl2 is correlated with oxidative stress, and SJ extract effectively protected the cytotoxicity of FeCl2 by antioxidative effect. Conclusively, the natural resources like SJ extract may be a useful fundamental materials for the development of an alternative antioxidant.

Antioxidant Effect of Hibiscus Extract (히비스커스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 Dong-Hwa Shin;Ji-Sun Moon
    •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 /
    • v.41 no.2
    • /
    • pp.386-392
    • /
    • 2024
  • Due to COVID-19, modern people have come to prefer natural substances as anxiety due to harmful environments and various stimuli has increased. Therefore, in order to find out the appropriateness of hibiscus, which is recognized as a non-toxic plant in traditional medicine, as a natural cosmetic material, the antioxidant effects (polyphenol, flavonoid, DPPH, ABTS) of hibiscus extract were studied,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the total polyphenol of hibiscus was found to be 433 ㎍/mL when the HSE was 100%. Second, the total flavonoids showed high antioxidant capacity at 488 ㎍/mL in 100% of the HSE. Third,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was found to be 94.04% in the undiluted HES and 89.54% in the diluted HSE 20%. Fourth, the ABTS radical scavenging ability was 98.95% in 100% of the HSE stock solution and 94.84% in the diluted HSE 20%, respectively, showing a high scavenging ability of more than 90%. As a result of these studies, it is thought that the hibiscus extract can be used as an antioxidant raw material for natural cosmetics in the future.

약물전달계로서 바이오 세라믹의 연구개발 동향

  • 김영희;김경자;최의석;김수룡
    • Ceramist
    • /
    • v.7 no.1
    • /
    • pp.5-10
    • /
    • 2004
  • 약물 전달 시스템(Drug Delivery System; DDS)이란 기존 의약품의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효능 및 효과를 최대화 시켜 약물을 효율적으로 전달하도록 제형을 설계하고 약물치료를 최적화하는 기술을 말한다. 약물전달은 전달경로, 약물의 종류 및 전달기술의 형태에 따라 구분될 수 있으며 지금까지의 약물전달소재는 유기소재로서 생체 분해성과 친화성을 갖는 천연 또는 합성고분자를 전달체로 하여 경구형, 경피투여형, 흡입형 그리고서방형 주사제 등이 이용되고 있다.(중략)

  • PDF

Linen-like Finishing of Cotton Fabric Using N-Methylmorpholin N-Oxide (N-Methylmorpholin N-Oxide를 이용한 면직물의 의마가공)

  • 손현식;김진호;윤경훈;이양헌
    • Proceedings of the Korean Fiber Society Conference
    • /
    • 2002.04a
    • /
    • pp.281-284
    • /
    • 2002
  • 마 섬유는 흡습성이 좋고 건조가 빠르고, 습윤 시 강도가 증가되며 열전도율이 크고 통기성이 크며, 강도와 내열성이 천연 섬유 중 가장 우수하며 매끄러운 표면을 가지고있어서 광택과 방오성이 좋다. 그러나 세사방적이 어렵고 강연도가 지나치게 커서 의복소재로서 극히 제한적으로 사용되어왔으나, 최근에는 큰 강연도를 장점으로 활용하여 여름용 의복소재로 다시 각광받고 있다. 따라서 면, 레이온, 셀룰로오스계 섬유제품들에 대하여 마 제품과 유사한 효과를 낼 수 있는 다양한 의마가공법이 개발되어왔다[1,2]. (중략)

  • PDF

International Biological Material Procurement and Utilization Research (해외생물소재 확보 및 활용 연구)

  • Yun, Narae;Nam, Bo-Mi;Lee, Changyoung;Kim, Soo-Yong;Paik, Jin-Hyup;Choi, Sang-Ho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10a
    • /
    • pp.99-99
    • /
    • 2019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해외생물소재센터는 해외생물소재 확보 및 활용연구를 통하여 차세대 국가핵심전략 BT산업의 필수원자재인 생물소재의 범지구적 확보와 보존 관리의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이를 위해 권역별 해외생물소재 공동연구센터(중국, 코스타리카, 인도네시아, 베트남) 및 37개국과의 국제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다. 세계적 수준의 생물소재 국가 인프라 구축을 목표로 국내 산 학 연 연구자들에게 다양한 해외생물소재 공급을 통한 지속 가능한 바이오 경제 기반 구축을 지원하고 있다. 해외생물소재센터에서는 2006년부터 특히 천연물 의약품 개발 분야에 많이 사용 되고 있는 해외 식물소재를 지속적으로 확보하고 있으며, 확보된 식물소재의 추출물 제조 및 추출물 은행을 구축, 이에 대한 생물활성 평가를 실시하며 연구자들에게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 있다. 현재까지 총 36,500종의 해외식물소재를 확보하였으며, 추출물 약 320만점을 확보하였다. 확보된 소재의 분양활동을 통해 산 학 연 연구자들에게 180만여 점을 분양하였으며, 이를 활용한 다수의 논문과 특허를 획득하였고 중대형 기술이전을 실시하였다. 해외생물소재센터는 홈페이지 기반 분양 신청 시스템[https://www.ibmrc.re.kr]을 통하여 해외식물소재(Powder 와 Extact 형태) 분양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소재가치제고 연구를 통한 산업화 지원과 해외생물소재의 표본정보 서비스, 해외거점센터를 활용한 현지정보 제공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다.

  • PDF

Evaluating the Application of Natural Pesticides on Textile Materials of Organic Cultural Heritages (섬유 재질에 대한 천연 살충·살균제의 적용성 평가)

  • Kim, Young-Hee;Hong, Jin-Young;Jung, Mi-Hwa;Jo, Chang-Wook;Kim, Soo-Ji;Lee, Jeung-Min;Choi, Jung-Eun
    • 보존과학연구
    • /
    • s.32
    • /
    • pp.25-35
    • /
    • 2011
  • Wood vinegar and Asarum sieboldii Miquel were selected as candidate materials showed antimicrobial activity and insect repellent activity. These natural pesticides have its own color and these could cause color difference on fabric materials.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color difference of undyed and dyed fabrics to evaluate negative effect of wood vinegar and A. sieboldii Miquel. Undyed and dyed fabrics were exposed to natural pesticides of various concentrations for six months in relative humidity 70% and temperature $28^{\circ}C$. After exposure of pesticides, color difference (${\Delta}E*$) were investigated at two weeks intervals for six months. As a results, dyed cotton, silk and undyed silk fabrics exposed wood vinegar were not nearly changed in their colors, but color of only undyed cotton fabric was clearly changed by wood vinegar. Especially color difference by wood vinegar on undyed cotton fabric was most distinct as the concentration increased. On the other hand, all of fabrics exposed A. sieboldii Miquel were not nearly changed in their colors for six months. Therefore, this study first suggests that wood vinegar and A. sieboldii Miquel as natural insecticides could be used to conserve for textile cultural properties from insects and microorganism, but wood vinegar couldn't use the high concentration on undyed cotton fabric.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