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창의적 기능

Search Result 340,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The Effect of Problem-Based Learning on Student's Creativity in Middle School Science Class (중학교 과학수업에서 문제중심학습이 창의력에 미치는 효과)

  • Oh, Hee-Jin;Kim, Sang-Dal;Lee, Yong-Seob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26 no.1
    • /
    • pp.1-8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 of Problem-Based Learning on Student's Creativity Ability in Middle School Science Class. The experimental group had Problem-Based Learning classes for six weeks and control group had traditional inquiry instruction for the same period. The results of this study presents that Problem-Based Learning is significantly effective for the improvement of creative skills test and creative tendencies. And PBL group student's had positive thinking for PBL. It's not easy to generalize these results because of many different variables. but the results suggests that teachers should make an effort to improve student's creativity applying Problem-Based Learning. And it's necessary to develop many kinds of problems and teacher's instruction method to enrich creativity in the process of Problem-Based Learning.

Learning Method using RDS for Creative Problem Solving (RDS를 이용한 창의적 문제해결 학습방법)

  • Hong, Seong-Yong
    • Journal of KIISE:Computing Practices and Letters
    • /
    • v.16 no.11
    • /
    • pp.1126-1130
    • /
    • 2010
  • Research on intelligent robot is in active progress as the next generation IT education area. Since intelligent robots are closely related to the real human world, they should provide human behaviors or judging ability as their functions. For this reason, research is recently done not only on diverse hardware of robot education but also on service component architecture which includes various functions. In this paper we propose a study on learning to creative solve problems using RDS(Robotics Developer Studio). RDS is a software tool to control or program intelligence robot as a software module. Using service component framework which considers standardization of the integrated development of intelligent robot, we expect to provide 3-dimensional visual simulation environment, and save time and costs in education the environment for the intelligence robot experiment.

Development of Intelligent Service Robot : Teaching Assistance Robot for Elementary School (지능형 서비스 로봇의 개발 : 초등학교 교사 도우미 로봇)

  • Jeon, Sang-Won;Hwang, Byung-Hun;Kim, Byung-Soo
    • The Journal of Korea Robotics Society
    • /
    • v.1 no.1
    • /
    • pp.102-106
    • /
    • 2006
  • 지능형 서비스 로봇은 인공지능 및 센서인터페이스 등의 다양한 기능과 IT기술의 접목으로 우리의 생활을 윤택하게 해줄 수 있는 인간 지향적인 성격으로 발전하고 있다. 또한 많은 분야에서 새로운 서비스 개발을 통해서 좀더 인간의 생활에 가까이 접근되어 지고 있다. 한편 국내 초등학교에서 초등교사는 학생 수의 과다로 능동적이기 보다는 수동적인 수업을 하고 있어서 학습 효율성이나 능률성이 떨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발전하고 있는 서비스 로봇 기술로 능동적인 수업형태와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학습 및 교육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교사도우미 로봇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로봇은 기존의 지능형 서비스 로봇과 ICT(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교육을 접목할 수 있는 로봇의 제반 환경의 구성과 더불어 교육 현장에 알맞도록 HRI 및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개발되었고, 로봇의 주요기능은 교사지원, 학습보조, 수업지원 등으로 사전 설문조사를 통하여 필요성이 높은 기능을 중심으로 설정되었다. 개발된 초등학교 지원 로봇은 2006년 10월부터 대전지능로봇산업화센터에서 초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시범수업을 준비하고 있고, 2007년도 중반에는 초등학교에서 시범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 PDF

The Application of 1% User Research Methods for Mobile UX Design (모바일폰 경험디자인을 위한 1% 사용자 분석의 방법론 개발과 활용)

  • Choe, Min-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9.05a
    • /
    • pp.39-42
    • /
    • 2009
  • 4 세대 모바일폰은 카메라, MP3, 블루투스, DMB, 전자수첩, PC, 웹브라우징의 복합 기능을 가진 제품으로 진화하고 있으며, 이를 위한 사용자의 요구와 경험디자인의 요소를 탐색하고 분석하는 것이 요구된다. 하지만 기존의 사용자 요구의 조사와 경험디자인은 많은 비용과 시간을 투입하고도 기존 요구의 재확인에 머물거나, 제한적이고 예측 가능한 결과만을 도출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어 창의적 디자인 아이디어 도출에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는 사용자의 선정과 분석의 방법이 마케팅 중심의 통계적 방법에 기초하고 있으며, 사용자의 선정에 분석의 결과가 좌우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창의적 경험디자인의 방법으로서 1% 이미지 추출의 작업과 국내외 커뮤니티 사이트를 중심으로 한 디지털 포켓리서치의 방법을 활용하였나 2차 사용자 조사는 '1% UX 리서치'로 명명한 극단적 사용자 분석의 방법을 개발하고 적용하였으며, 주요 디자인 요구와 암시점은 K-J 매트릭스를 통하여 체계화하였다. 디지털포켓리서치와 1% 사용자의 리서치의 방법론은 근 미래의 사용자 예측과 풍부한 경험디자인의 아이디어를 발상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기존의 방법론 보다 비용과 시간 측면에서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었다.

  • PDF

테크놀러지를 이용한 고교수학의 수열의 지도에 관하여

  • Kim, Tae-Wan;Kim, Hyang-Suk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6
    • /
    • pp.109-122
    • /
    • 2003
  • 현재 초, 중, 고등학교의 수학교육 현실은 수학 개념의 정확한 이해에 초점을 맞추지 못하고 공식의 암기와 그것을 이용하여 단순한 문제 풀이에 시간을 많이 할애함으로써 수학의 기본적인 개념이나 기호의 정확한 사용법을 인지하지 못하고 계산 기능적인 면으로 치우치는 경향이 많이 나타나며, 문제 풀이의 창의적인 상황이 제시되지 않는 상태에서 교사 중심의 문제풀이 방법에만 의존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 속에서 창의적인 문제 해결 방안을 구상할 수 있는 사고력의 배양에 소홀함이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학생 스스로 의미를 파악하여 학습 할 수 있는 교수 방법이나 학습 방법에 대한 연구는 현실적으로 매우 시급한 상황에 처해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많은 수학교육자들은 학생들이 좀 더 쉽게 수학의 개념에 접근 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그러한 노력 중의 하나로 테크놀러지를 이용한 수학교육을 말 할 수 있는데, 이는 실제로 수학교육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알려져 있다. 본 논문은 현 고등학교 수학I의 등차수열에 관한 내용을 Mathematica를 이용하여 다각수(도형수)로부터 등차수열의 개념을 유도하였다.

  • PDF

Relationship between User's-Oriented Emotional Design and Elements of Creativity (소비자 지향적 감성디자인과 창의성 속성과의 관계)

  • Jin, Yuan;Kwon, Jong-Dae;Hong, Jung-Pyo;Kim, Tai-Ho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1 no.4
    • /
    • pp.481-488
    • /
    • 2008
  •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of what kind of creative thinking has related factors for emotion design products in order to let consumers focusing on the successful cases of emotion products. For the design creativity attribute used in this experiment, the design evaluation creativity tools revealed by Kim Eun-Ju's 2007 design creativity evaluation tool development were used mostly and of the 12 most common emotion products and general product, MP3s, which have various forms, functions and sizes were selected as the target for experiment. Results of the experiment showed that for design creativeness items of all emotional products, vision creation, favorableness, convenience, practicality and being purchasable were relevant, while for MP3, uniqueness, favorableness and convenience were relevant. Accordingly, the common features of design creativeness items for emotional products were identified. When summing up the contents of the two experiments above, for emotional designs, the interest level of uniqueness for the design creativity evaluation items and the functional items for practicality had a high level of relativity.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examine the common features between the design creativity items for general products other than MP3s in the future.

  • PDF

뉴스의 인물 -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김은영 위원장'

  • Korean Feder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Societies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30 no.7 s.338
    • /
    • pp.28-30
    • /
    • 1997
  • "우리가 국민소득 3만달러 이상의 선진국에 진입하기 위해선 창의적인 과학기술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신임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김은영위원장은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이렇게 말했다. 김위원장은 또 "부처별로 중복된 과학기술활동을 종합 조정하여 예산을 절감하고 침체된 정부출연연구소의 역할과 기능을 재정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PDF

Improving Geographical Thinking through the Specification of Geographic Skills (지리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기능의 상세화)

  • Kang, Chang-Sook;Park, Seung-Kyu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0 no.3
    • /
    • pp.579-591
    • /
    • 2004
  • Recently more emphasis thinking is domain-specific by cognitive psychologists, because problem solving needs domain-specific knowledge. Improving students' geographical thinking should ensure that geographic skills are used when developing teaching-leaming objectives. Knowledge is undoubtedly important, but for the purpose of the teaching of geography thinking, skills are critical.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make specification of geographic skills as a frame of reference for instructional objectives. Based on cognitive psychology, this paper examined the interdependence relationship between thinking and knowledge. Next, we attempt to conceptualize high order geographical thinking and relatively lower order geographic skills and to explore specification of geographic skills in complex thinking strategical perspectives.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ultimedia Courseware for learning Practical Subject (실습과목 학습을 위한 멀티미디어 코스웨어의 설계 및 구현)

  • 신주영;최정배;김의정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3.10a
    • /
    • pp.982-985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웹기반 교육방법을 분석 연구하여 웹상에서 실습과목을 학습하는데 있어 효율적인 WBI 코스웨어를 설계하였다. 또한 멀티미디어 저작도구를 이용하여 학습 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는 학습 방법을 제시하고 코스웨어를 제작할 때 적용함으로써 기능적인 측면에서 일방적으로 지식을 전달, 주입하는 단순한 학습에 치우치지 않고 수요자인 학습자가 스스로 학습을 주도하여, 능동적이고 창의적인 자기 주도적 학습 환경의 개발로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개인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학습 환경을 조성해 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