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창의성 게임

Search Result 85,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A Study on the Creative Game Design Framework (창의적인 게임아이디어 발상에 관한 방법 연구)

  • Choi, Dong-Seong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11 no.4
    • /
    • pp.49-59
    • /
    • 2011
  • The creativity is the important ability required to game designers. But there is few research for the definition of creativity and creative thinking method. This study suggests that what creativity is and how to use creative thinking methods in the game design. In the first, this study analyzes three types of creativity meaning: revolutionary creativity, evolutionary creativity and impromptu creativity. In the second, this study suggests that how to use thinking methods that are mind map, brainstorming, check list and etc. The game designer's creativity can be improved by the suggestion of this study.

Trained Creativity by the Teach Aloud (소리내어 가르치기 방법을 통해 훈련된 창의성)

  • 강석민;한광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Cognitive Science Conference
    • /
    • 2000.05a
    • /
    • pp.235-240
    • /
    • 2000
  • 창의성 연구는 개인적, 사회적 맥락에서 고려해야 할 다양한 시사점을 가진 분야이다. 하지만 지금까지 창의성 연구는 창의성 자체에 대한 개념이 명확하지 않을 뿐 아니라, 창의성을 태어날 때부터 타고나는 고유한 영역이라는 인식 때문에 그에 대한 연구가 비교적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창의성이 새로운 정보를 기존 지식과 결합하여 이를 문제상황에서 적용하여 유용함을 입증하는 행위라는 전제하에, 각 개인에게 내재된 창의적 사고 능력이 특정한 지시 혹은 학습방법(소리내어 가르치기)의 경험을 통해 발현될 수 있으리라 보았다. 창의성의 핵심요소인 통합적, 분석적, 실용적 사고능력을 측정하여 창의성이 높고, 낮은 집단을 구분하고, 이를 근거로 게임 규칙을 소리내어 가르치기 경험을 한 집단과 통제집단(단순암기)으로 각각 구분하여 게임에서 승리, 즉 창의적 문제해결이 소리내어 가르치기 방법을 통해 실현될 수 있음을 알아보고자 했다. 창의적 사고능력은 소리내어 가르치기를 경험한 집단에서 유의미하게 발현되었다. 또한 소리내어 가르치는 경험을 한 실험참가자들은 프로토콜 분석에서 보다 정교화된 게임의 규칙을 생성하였으며, 게임의 규칙을 정확히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가르치는 경험을 통해 새로운 정보를 보다 잘 조직화하고, 이를 실제 문제상황에 적용한 것으로 해석되었다.

  • PDF

The Impacts of Artistic Creativity, Scientific Creativity, General Creativity on Perceived Enjoyment and Intention to Reuse : Focused on Role-Playing Game Players (예술적 창의성, 과학적 창의성, 일반적 창의성이 지각된 즐거움과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롤플레잉 게임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 Byeon, Hyeon-Su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11 no.1
    • /
    • pp.59-67
    • /
    • 2011
  • The increase in the use of video games is resulting in the perception of some variables for video game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drivers for video games and their effects on the users to lead the growth strategies for the video gaming business. In this study, the drivers of video game play are creativities and enjoyment which are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an empirical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these variables on intention to reuse. First, the results showed that artistic, scientific, and general creativity affect perceived enjoyment. Second, perceived enjoyment appeared to be a significant factor of intention to reuse. Specially, the author confirmed that artistic creativity has a very significant effect on enjoyment of video games.

창의성 신장을 위한 수학 게임 자료 개발 연구(II)

  • Lee, Gyeong-Eon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3 no.2
    • /
    • pp.477-493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수학적 개념이나 수학 문제해결의 아이디어와 관련된 수학 게임을 소개한다. 더 나아가 수학 게임 개발 준거를 창의성의 구성요소와 관련하여 제시하고 수학 게임 자료를 이용한 수업 프로토콜을 제시한다.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Effect of Number-Operation Games for Mathematical Creativity of Gifted Students (초등 수학 영재의 창의성 향상을 위한 수 연산 게임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 Kim, Yong Jik;Cho, Minshik;Lee, Kwangho
    •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 /
    • v.19 no.4
    • /
    • pp.313-327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number-operation games and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games on mathematical creativity of gifted elementary students. We set up the basic direction and standard of mathematical gifted creativity program and developed the 10 periods games based on the mathematically gifted creative problem solving(MG-CPS) model. And, to find out the change of students' creativity, the test based on the developed program and 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conducted on 20 gifted students. Analysis of data using Leikin's evaluation model of mathematical creativity with Leikin's scoring and categorization frame revealed that gifted students's creativity is improved via the number-operation games.

젓가락 게임을 활용한 창의성 신장 방안 연구

  • Jeong, Mun-Ja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9 no.3 s.23
    • /
    • pp.503-516
    • /
    • 2005
  • 이 논문에서는 창의성 신장을 위한 게임자료로서 수학적 개념을 익히고, 수학적 흥미를 진작시킬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였다. 그 일환으로 젓가락 게임에 대하여 연구하였는데, 이 게임의 수학적 규칙을 정리하고, 승리전략에 대하여 알아보고,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보았다.

  • PDF

PBSL(Project based Self Learning) for Pre-production of Game·Animation·Visual Images (게임·애니메이션·영상 기획 프로젝트 수업을 위한 PBSL(Project based Self Learning))

  • Lee, Hyun-Seok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7 no.11
    • /
    • pp.467-474
    • /
    • 2019
  • Key areas of digital contents, the games and animation industries are increasingly expanding. Therefore, training of a specialized workforce is required in accordance with these enterprises' growing demand. Education in the field of games and animation lies in cultivating talents with creative thinking, collaboration, and problem-solving skills. Thus, this paper aims to propose a PBSL teaching model for creative convergent talent through game and animation projects. The study will focus on the characteristics of creative convergence talents, project teaching, and related job competencies for game and animation education. Based on literature research, a 'Project Based Self Learning' instructional model is presented, in which creative thinking and collaboration competencies are explained in a way they can be performed by the learner. As a case study, D University's class was applied with PBSL. A survey showed that the autonomy aspects were higher than the creativity and convergence attitudes, indicating that the students improved their autonomy and motivation. However, the team composition needs further supplementation.

Effects of Game programming on Creative personality and immersion of students in Low-Income Families (교육용 게임 프로그래밍 수업이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효과)

  • Ahn, Mi-Lee;Na, Yun-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04a
    • /
    • pp.1592-1594
    • /
    • 2011
  • 국가적 차원에서 저소득 청소년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이 많은 아동보호센터 및 지역센터를 중심으로 시행되고 있지만 그 취지와 목적에 부합하는 방과 후 교육이 제공되고 있는지 그 효과성에 대해서는 주목하지 않아왔다. 본 연구는 저소득 청소년을 위한 방과 후 교육의 질 관리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시점에서 영재교육의 일환으로 여겨져 왔던 창의성 교육을 조명하였다. 저소득층 청소년의 창의력 인성을 양성하기 위한 교육용 게임 프로그래밍 수업의 효과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A시 5곳의 아동보호시설에서 운영되고 있는 게임프로그래밍 수업에 참여하고 있는 학생과 참여하지 않는 학생을 대상으로 창의적 인성검사를 실시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창의적 인성검사는 크게 자기확신(Self Confidence), 호기심(Curiosity), 인내(Patience), 개방성(Openess), 모험심(Adventure)으로 구분하여 t검증을 통해 유의한가를 분석하였다. 다섯 가지 영역의 평균은 실험집단이 높았으나, 이 중 '인내' 영역이 두드러진 차이를 보였고, 이로 인해 게임프로그래밍 수업을 받은 학생들이 수업을 받지 않은 학생들에 비해 과제 수행에 있어 인내와 끈기를 가지고 도전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자기 확신, 호기심, 개방성, 모험심 네 가지 영역에 대해서는 두드러지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에 대한 개선책으로 학생들에게 이 네 가지 영역을 균형적으로 길러주기 위하여 체계적으로 강사진의 교수법 연수, 교육과정의 개선, 학생 동기 유발, 학생 독려 및 관리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수업의 질을 개선시켜 학생들의 창의적 인성 양성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Study of Game Development scenario using Web Based Thinking System -Focused on applying The conceptual system and its effects during the first step of game development process- (웹 기반 컴퓨터 지원 발상시스템을 이용한 게임 시나리오 개발에 관한 연구 -게임 제작 프로세스 초기 시나리오 개발에 대한 발상 시스템 적용과 효과를 중심으로-)

  • Chung Seung-Ho;Hwang Young-Sup;Han Kyung-Don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0 no.3 s.35
    • /
    • pp.65-73
    • /
    • 2005
  • The success or failure of a game depends on its creativity. Especially during the first period of the process. For this reason, requesting CGTS(Creative Group Thinking System) -previously developed system based on web- in the scenario process of the game designing development. In accordance, this study is to program the thinking performance in result of increasing creativity obect to shortening working hours.

  • PDF

A Study on the Influence of Game Broadcasting Content Factors and Communicator Factors on Immersion and Viewing Intention : Focusing on e-sports game broadcasting contents (게임 방송 콘텐츠 요인과 커뮤니케이터 요인이 몰입 및 시청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e스포츠 게임 중계 방송 콘텐츠를 중심으로)

  • Kim, Yu Mi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21 no.3
    • /
    • pp.39-52
    • /
    • 2021
  • This purpose of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e-sports(electronic sports) broadcasting contents and communication factors on game broadcasting viewing intention, focusing on the immersion parameter.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creativity' among content elements such as 'entertainment', 'creativity' and 'informationality' has a great influence on immersion. Among the communicator factors, 'communication', 'professionality', and 'uniquenes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immersion. In addition, the sense of immersion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intention to watch the broadca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