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창업친화적학사제도

Search Result 9, Processing Time 0.013 seconds

대학의 창업교육체계 구축이 창업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 연구-K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 Kim, Byeong-Guk;Kim, Chang-Wa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7.04a
    • /
    • pp.39-39
    • /
    • 2017
  • 정부는 대학발 창업에 대한 기본계획을 확정하고 그동안 산재되어 있는 창업지원기능을 대학중심으로 전환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업가 정신을 확산하고 창업성과와 연계하기 위한 대학의 창업교육과정 및 창업지원체계 구축이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종단적으로 분석을 시도한다. K대학은 1998년 지역 내에서 가장 먼저 창업보육센터로 지정을 받았고 이후 2011년 창업선도대학, 2012년 LINC사업, 2013년 사관학교식 창업선도대학 및 2014년 글로벌창업대학원 지원사업 선정 등 각종 정부지원사업을 통해 창업인프라를 구축하여 왔다, K대학은 학부생,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창업수준 4단계, 기술분야별 교과과정 체계를 구축하였다. 또한 아이디어 도출부터 기업설립까지 창업 과정을 실질적으로 경험해 볼 수 있는 창업동아리와 이를 지원하는 비교과 프로그램과 창업친화형학사제도가 갖추어져 있다. 또한 창업 활동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대학 내에 산재한 창업지원기관을 통합하고 본부 조직화하였다. K대학은 이를 통해 창업교과 수강학생 수 및 창업동아리 수에서 2배 수준의 증가와 창업자 수는 2013년에 비해 7배의 성장을 이루었다. K대학의 창업교육과 창업지원체계 및 창업성과를 종단적으로 분석하여 대학에서의 창업시스템이 단계별로 구축될 필요성과 대학 내 구성원의 창업에 대한 인식전환과 성과도출까지 적응기간의 필요성을 도출하였다.

  • PDF

대학생 창업교육 수업유형에 따른 창업의지 영향요인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 Gwon, Gi-In;HwangBo, Yu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8.11a
    • /
    • pp.71-75
    • /
    • 2018
  • 최근 대학교 내 창업친화적 학사제도의 활성화 등의 정책적 노력과 지원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창업교과목 신설 및 운영이 이뤄지고 있다. 일반적인 정보전달 위주의 창업교육보다 실제 창업가에게 요구되는 다양한 역량과 문제해결 능력 등을 체득할 수 있는 체험형 창업강좌가 교육의 효과에 더 긍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음은 여러 연구에서 밝혀진 바 있다. 창업교육의 대표적 학자인 Michael H. Morris(2014)에 의하면 창업교육은 학생들의 역량 개발을 기준으로 설계되고 평가되어야 하며, 기업가에게 필요한 역량 강화를 위해서는 모의 창업 시뮬레이션을 포함한 다양한 과제, 협업활동, 체험학습 요소 등을 접목시킨 몰입적 참여형 체험학습으로 커리큘럼을 구성해야만 기업가적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교 내 창업교육 유형을 실전형, 혼합형, 특강형으로 구분하여 창업교육 수업유형에 따른 창업의지 영향요인인 교육 만족도, 자기효능감, 기회인식, 창의성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아울러 창업교육의 수업유형이 교육 수강 후 창업의지 영향요인과 창업의지에 미치는 조절효과에 대해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창업교육이 지향해야 체험중심의 창업교육 표준모델의 제안하고, 창업교육 효과에 대한 연구 확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창업강좌 유형에 따른 창업동기, 기업가정신, 창업의지 비교 연구

  • Kim, Yong-Tae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8.04a
    • /
    • pp.57-59
    • /
    • 2018
  • 최근 대학 내 창업 친화적 학사제도 활성화 등의 정책적 노력과 지원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창업교과 및 비교과 활동이 이뤄지고 있으며 그 유형에 따라 수강생의 참여도 및 교육효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많은 연구에서 주목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이론과 정보 전달 중심의 일반적 창업 강좌와 창업실습 등을 중심으로 한 체험형 창업 강좌 수강생을 대상으로 창업동기, 기업가정신 및 창업의지에 대한 인식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창업동기와 기업가정신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력에 있어서 두 집단간의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하기 위해 자료를 수집,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체험중심의 창업교육(experiential entrepreneurship education)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창업교육 효과에 대한 연구 확산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 PDF

Analysis of Perceptions of Student Start-up Policies in Science and Technology Colleges: Focusing on the KAIST case (과기특성화대학 학생창업정책에 대한 인식분석: KAIST 사례를 중심으로)

  • Tae-Uk Ahn;Chun-Ryol Ryu;Minjung Baek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9 no.2
    • /
    • pp.197-214
    • /
    • 2024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students' perceptions at science and technology specialized universities towards entrepreneurship support policies and to derive policy improvement measures by applying a bottom-up approach to reflect the requirements of the policy beneficiaries, i.e., the students. Specifically, the research explored effective execution strategies for student entrepreneurship support policies through a survey and analysis of KAIST students. The findings revealed that KAIST students recognize the urgent need for improvement in sharing policy objectives with the student entrepreneurship field, reflecting the opinions of the campus entrepreneurship scene in policy formulation, and constructing an entrepreneurship-friendly academic system for nurturing student entrepreneurs. Additionally, there was a highlighted need for enhancement in the capacity of implementing agencies, as well as in marketing and market development capabilities, and organizational management and practical skills as entrepreneurs within the educational curriculum. Consequently, this study proposes the following improvement measures: First, it calls for enhanced transparency and accessibility of entrepreneurship support policies, ensuring students clearly understand policy objectives and can easily access information. Second, it advocates for student-centered policy development, where students' opinions are actively incorporated to devise customized policies that consider their needs and the actual entrepreneurship environment. Third, there is a demand for improving entrepreneurship-friendly academic systems, encouraging more active participation in entrepreneurship activities by adopting or refining academic policies that recognize entrepreneurship activities as credits or expand entrepreneurship-related courses.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expected that this research will provide valuable foundational data to actively support student entrepreneurship in science and technology specialized universities, foster an entrepreneurial spirit, and contribute to the creation of an innovation-driven entrepreneurship ecosystem that contributes to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social value creation.

  • PDF

An Analysis of Factors on College Students' IT Technology Startups will (대학생의 IT 기술창업의지 영향요인 분석)

  • Joun, Hyang-Soon;Shim, Sang-Oh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2 no.9
    • /
    • pp.1-7
    • /
    • 2014
  •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ship courses, including my recent absence undergraduate entrepreneurship-friendly system is activated, the spread of technology startups to be scanning my college. However, the college is successful technology startups to take place in order to be solved many problems still exist. In this paper, we have a hard job and continuing high unemployment and social environment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IT technology to enable the establishment of the control action for the establishment and analysis of influencing factors. In particular, IT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technology startups will affect students' technical skills and characteristics of entrepreneurs and Entrepreneur's motive, entrepreneurship environment outside the extraction and evaluation items such as IT skills to analyze the impact of entrepreneurship. In analysis result, IT major career college students interested in entrepreneurship as an alternative to the higher technology, technical skills and characteristics of entrepreneurs and start-motivated alternative to independence and had an impact on employment. In addition, the university was founded in tech startups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has a lot of outside influence.

A Comparative Study of Entrepreneurial Motivation,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between the Students of Experiential Entrepreneurship Class and Theory Centered Class (체험형 창업강좌와 이론형 창업강좌 학습자간의 창업동기, 기업가정신 및 창업의지 비교 연구)

  • Kim, Yong Tae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3 no.4
    • /
    • pp.49-58
    • /
    • 2018
  • In recent years, various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on various types of entrepreneurship and comparative activities according to policy efforts and support such as the activation of a bachelor's degree in the establishment of a university, and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fact that the participation and the educational effect of the students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ntrepreneurial motivation,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in the case of experiential entrepreneurship class focusing on the theoretical-oriented general entrepreneurship class, And the effect of entrepreneurship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The data were collected and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ut of the motivation factors of entrepreneurs, entrepreneurship education, achievement desire, human network, self - esteem, etc. We can confirm that the motivation of entrepreneurs is recognized more greatly. Second, the entrepreneurship factor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perception between experiential entrepreneurship lecture and theoretical entrepreneurship learner. Third, experiential entrepreneurship learner perceived more willingness to start business than theoretical entrepreneurship learner. Finally, among the entrepreneurship motivation factors, among the entrepreneurship education, achievement desire and entrepreneurship factor, the risk sensitivity affects the entrepreneurial will.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direction of entrepreneurial education focused on quantitative expansion and the creation of qualitative effect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are needed. In the future, it will provide policy implications for revitalizing experiential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addition, it can contribute to the diffusion of research on the effect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A Study on the Effect of Motivation and Satisfaction on Experiential Entrepreneurship Education (참여동기와 창업멘토링이 창업교육만족도 및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학생 창업유망팀 300(U-300)' 사례를 중심으로)

  • Kim, Yong Tae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5 no.2
    • /
    • pp.267-277
    • /
    • 2020
  • In recent years, universities are actively developing and applying regular start-up curriculum, comparisons and activities in order to revitalize various forms of business-oriented academic programs. In addition, the government has established various experiential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s such as "Student Entrepreneurship Team 300 (U-300)" to support professional entrepreneurship education such as entrepreneurship mentoring for entrepreneurship clubs in universities nationwide. Therefore, this study empirically verified the influence of participation motivation,, mentoring function, and mentor competence on entrepreneurship education satisfaction and entrepreneurship will for participants of experiential entrepreneurship programs centered on entrepreneurship mentoring.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mentoring capacity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satisfaction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It became.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 order to more effectively promote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the university, which is now quantitatively expanded, it is necessary to improve various ways of creating qualitative effects such as expansion of experiential teaching methods and entrepreneurship mentoring. We believe this could provide policy implications for reinforcing the expertise of entrepreneurs who conduct mentoring.

온라인 창업교육 플랫폼 구축을 통한 창업교육 고도화 방안

  • Kim, Yong-Tae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7.04a
    • /
    • pp.57-57
    • /
    • 2017
  • 최근 들어 대학 내 창업교육은 정부 및 공공, 지방자치단체 등의 관심과 지원으로 급격히 확산되고 있다. 교양 및 전공분야의 다양한 창업교육 강좌 및 창업 친화적 학사제도 등 인프라 및 환경적 요인도 충분해졌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양질의 창업교육 콘텐츠 및 교수법, 교수 역량 활성화, 지역 및 대학 간 편차 해소 등 질적인 부분에 있어서는 새로운 변화와 보완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 내 교수자, 교직원, 학생들이 손쉽게 접근하고 활용할 수 있는 온라인 창업교육 플랫폼 구축을 통해 대학 창업교육의 질적 고도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아울러 본 연구를 통해 수도권과 지역 대학 간 발생하고 있는 창업교육의 편차를 해소하고 질 좋은 창업교육 운영 및 콘텐츠 지원을 위한 체계적인 온라인 창업교육 시스템 구성 체계 및 기능, 활용방안, 기대효과 등을 제언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대학에서 운영하고 있는 창업 교육 관리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해서 시스템 개발의 기본 방향을 설정하고, 그에 따른 정보화교육 관리시스템에 대한 준수하여야 할 기본 설계 방향을 설정할 것이다. 구조적 개발 방법론을 적용하여 시스템의 기능적 요구사항을 도출하고, 시스템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도록 설정한 시스템의 주요 기능에 대하여 기술할 것이며, 개발해야 할 된 시스템의 구성도 및 시스템 운영 시 필요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제반 운영환경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온라인 창업교육플랫폼을 개발함에 있어 가장 우선 검토해야 할 요건은 창업교육과정을 원하는 학생들과 교강사가 플랫폼에 간단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교 강사들이 언제든 플랫폼을 통하여 시스템에 접근하여 학생의 교육과정 내용과 진도사항, 창업 관련 자료에 대하여 제공 받을 수 있도록 하며, 학생들이 교강사에게 멘토링 받고 싶은 내용이 있다면 플랫폼을 통해 멘토링이 가능하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개발하는 온라인 창업 교육 플랫폼은 관리자, 학생, 교강사 등 구성원들의 요구사항을 청취하고, 이들의 요구를 정확히 분석하여 구성원들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도록 개발하고자 한다. 플랫폼의 구성요소는 첫째, 온라인 창업 교육 플랫폼은 온라인 기반으로 구성하여 교강사와 학생들이 교육의 효율성을 위하여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는 사이트 공간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둘째, 온라인 창업 교육 플랫폼의 주된 이용자는 창업 교육을 받는 학생과 창업교육을 하는 교 강사도 이를 관리하기 위한 전체 및 지역별 운영관리자도 존재해야 할 것이다. 셋째, 창업교육에 참여하 학생 및 교강사들의 컴퓨터 활용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을 것이다. 플랫폼은 비주얼하게 개발하여 학생 및 교강사가 쉽고, 부담 없이 접근할 수 있는 이용자 인터페이스를 채택해야 하며, 아울러 이해하기 쉬운 메뉴와 간결하게 구현해서 제공할 필요가 있으며, 이것은 온라인 창업교육 플랫폼 사용의 효율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학생들에게는 플랫폼 통하여 자신들의 창업 능력을 배양하여 학습에 도움이 되어야 하며, 교강사에게는 언제든 실시간으로 최신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플랫폼에 대한 신뢰성이 확보 될 수 있도록 설계 되어야만 창업교육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으며, 대학 등에서는 보다 안정적인 학생 관리에 최선을 다 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A Study on Qualitative Evaluation Indicators of the LINC Program: Focused on the Indicators of SYSTEM Sector (산학협력선도대학(LINC)사업의 정성적 평가지표에 대한 시론적 고찰: SYSTEM분야 지표를 중심으로)

  • Kim, Tae-woon;Kim, Tae-young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
    • v.19 no.1
    • /
    • pp.105-136
    • /
    • 2016
  • This paper analyzed the qualitative evaluation indicators of the SYSTEM sector of the LINC program, which aimed at strengthening ability of regional universities through the activities of industry-academia cooperation (IAC). By using interview data and the program reports of universities, this research explored the problems of the indicators and suggested improvement measures which could lead to performance creativity. According to research results, in university system reform for activating IAC, some improvements are required as follows: limiting excessive expansion of IAC-friendly faculty evaluation; and evaluating soft aspects in the reform of academic affairs. In relation to strengthening of ability of the IAC organization, the indicators need to be amended as follows: enhancing the role of channel of IAC Foundation; strengthening the function of planning team of the IAC Foundation; and inducing development of own model of universities for IAC. As regards expansion of IAC infrastructure, it is necessary to enlarge the manpower who can develop programs of the support center in the foundation and to secure of operators for effective operation of joint-using equipments. Therefore, the indicators are required to be upgraded, considering these improvement di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