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창업지원 정책

Search Result 508,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창업자역량과 정부의 창업지원정책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멘토링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Kim, Yeong-Tae;Heo, Cheol-Mu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0.11a
    • /
    • pp.55-59
    • /
    • 2020
  • 정부는 고용 없는 성장이 이어지는 현재의 경제구조에서 국가 경제의 활력을 위한 실마리를 찾고자 한다.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고 기업 활동에 새로운 혁신을 도입하여 국가 경제의 성장과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으로 창업을 활성화하는 정책개발과 지원에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많은 국가들이 창업을 촉진하여 일자리를 제공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역시 창업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정부 차원에서 창업 지원정책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창업 활성화를 위해서는 창업을 기회로 인식하거나 지지하는 문화가 성숙하는 개인의 창업에 대한 인식 개선과 더불어 창업의지 함양 등이 필요하다. 이들 요인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개인적 특성, 심리적 특성, 기업가정신, 창업 교육, 멘토링, 창업지원 프로그램 등의 요인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 왔다. 이들 개별적인 요인들과 창업 의지와의 관계를 잘 확인하기 위해서 자기효능감, 위험감수성, 실패부담감, 환경적 요인 등을 확인하는 연구가 다수 시도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예비창업자의 창업의지에 미치는 창업지원정책과 창업가 역량을 중심으로 실증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또한 창업지원정책과 창업가 역량과 창업의지의 관계에서 멘토링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 PDF

농업분야 창업 현황과 지원정책

  • Chu, Jeong-Wan;Heo, Cheol-Mu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8.04a
    • /
    • pp.131-134
    • /
    • 2018
  • 우리나라의 전체 인구는 증가추세인 반면 농촌과 농업인구는 계속해서 감소하고 있으며 인구 구조도 급속히 고령화되고 있어 농업경영과 농촌사회의 지속성이 취약해지고 있다. 이에 정부와 각 지자체에서 귀농 귀촌을 권장하고 농업분야의 창업을 권장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들을 추진하고 있으나 정책의 수혜자들에게 노출되지 않아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거나, 지원체계가 혼란스러워 적절한 지원이 이뤄지지 않고 있는 문제점을 노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농업분야에서의 창업현황을 살펴보고 농업벤처 창업과 6차산업 창업으로 구분하여 해당 분야에 중심이 되는 '6차 산업 창업지원 체계화 방안'과 '6차산업 사업단계별 맞춤형 지원 방안', 그리고 '농식품 벤처창업생태계 활성화대책'을 중심으로 농업분야 창업 지원을 위해 정부와 각 기관에서 시행중인 정책들을 살펴보았으며, 경영체의 설문조사를 통해 창업과정에서 발생한 문제점들과 보완할 사항들에 대해 살펴보았다. 특히 대부분의 정책들을 농림축산식품부에서 담당하고 있으나 창업관련 정책은 농촌진흥청에서 기획을 하면서 '농식품 가공' 중심의 창업이 활성화되고 상대적으로 홍보나 판촉 및 유통, 농촌관광 등 서비스업 분야의 지원은 취약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창업 지원정책에 대한 세밀한 분석과 경영체별 설문조사를 토대로 실제 창업에 도움이 되기 위해서는 준비단계부터 경영체별로 맞춤형 지원이 필요하다는 점과 이론 교육보다는 실제 창업준비를 위한 상담이나 멘토링의 제도를 활성화시키는 것이 실질적인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한 각 시행 기관별 연계를 강화하기 위해 농림축산식품부가 컨트롤타워 역할을 수행하며 각 지자체 중심의 단일화된 지원 창구가 되어 창업단계별로 필요한 지원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 PDF

창업지원 정책 개선 방안 연구

  • Gil, Un-Gyu;Sim, Yong-Ho;Bae, Hong-Beom;Kim, Seo-G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457-457
    • /
    • 2017
  • 창업활성화와 중소기업의 안정적인 성장을 유도하기 위해 다양한 지원 정책이 추진되고 있다. 정부에서는 조세 금융의 직접적인 방법과 지원 사업을 통한 간접적인 방법으로 효과적인 지원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정부의 창업정책에 대한 견해는 여전히 팽팽하다. 지원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공감하고 있으나. 지원 방식과 지원사업의 실효성에 대해 논의가 이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정부 창업지원 사업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를 평가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정부 창업지원 사업을 경험한 ICT 창업 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을 수행하였으며, 이 중 128개를 대상으로 GAP 분석 및 ISA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실제 지원 사업을 체감한 기업의 의견을 반영하여 현실성 있는 보완책을 제언하고자 한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정부 창업지원 사업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언하여, 정부 창업지원사업의 질적 수준을 개선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 PDF

예비창업자의 농업관련산업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 Gong, Won-Gyu;Heo, Cheol-Mu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9.11a
    • /
    • pp.143-152
    • /
    • 2019
  • 현재 우리나라 농업은 인구의 고령화, 농촌인구의 도시 유출, 기후온난화 등의 영향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정부에서는 각종 지원정책을 통해 농업관련산업을 지원하고 있으나 뚜렷한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으며 농업으로의 창업에서도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정부에서는 농업관련 기관을 통해 농업관련산업 내 창업에 대한 지원사업을 확대하고 있으며 다양한 컨텐츠를 접목시켜 양을 늘리고 질적인 성장을 꾀하고 있다. 농업관련산업 창업에 대한 검토와 함께 차별화된 정책이 필요하며, ICT와 소프트 웨어 중심의 창업지원 정책에서 새로운 성장 컨텐츠를 더하는 변화가 요구된다고 하였다. 따라서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다양한 기술들이 농업관련산업에 접목되고 있으며 예비창업자들의 대부분이 큰 기대와 함께 창업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는 농업관련산업의 관심이 있는 예비창업자를 대상으로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여러 가지 영향중에 내적개인특성, 창업지원, 외부환경특성 등의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농업관련산업 내 예비창업자들에게 도움이 되고 관련 기관이 지원정책을 수립합에 있어 도움이 될것으로 기대한다.

  • PDF

The Effect of the Government's Entrepreneurial Support Policy on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정부의 창업지원정책이 창업가의 기업가정신 및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 Park, Nam-Gue;Kim, Myung-Sook;Ko, Jong-Wook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0 no.6
    • /
    • pp.89-98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Government's entrepreneurial support policy(educational support, financial support and marketing support) on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This study examined educational support, fund support and marketing support as the The Government's entrepreneurial support polity variables and innovativeness, progressiveness and risk-taking as entrepreneurship variables. The sample of this study was composed of 331 existing and potential entrepreneurs selected from the national panel of a online web survey research firm.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administerd structured questionnaires and analyzed employing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techniques. This study found that three entrepreneurship variables(innovativeness, progressiveness and risk-taking) had positive direct effects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and that three Government's entrepreneurial support policy variables (educational support, financial support and marketing support) had positive direct effects on entrepreneurship, whereas these three variables had positive indirect effects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were discussed and the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suggested.

  • PDF

Established business start - up support Impact on The youth of business performance (창업지원이 청년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 Jeon, In-Oh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0 no.11
    • /
    • pp.103-114
    • /
    • 2012
  • The study is analyzed that policy support impact on youth entrepreneurship and to purpose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the policy support, would like to empirical study on support performance by start-up support program through education level of the founder, performance of the establishment enterprises and an empirical study of start-up support. This study reported that start-up support should be different from impact of performance of support by young founder to participate in the success of entrepreneurship incubator package or preliminary young founders and is focused on study of policy support. Examines the literature of associated young founder's characteristics and entrepreneurship support policies at domestic and foreign, and the government's support policie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survey research as the basis of the model was set. This study surveyed to university student which were trained nationwide entrepreneurship program in order to validate the research model. The survey targeted engineering students who is practical technology foundation possible during from June 1, 2012 to June. 15, 2012, the way of data collection was directly surveryed to engineering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entrepreneurship program. and an empirical analysis were collected each 157 call.

A Study on the Influence of Personal Characteristics, Business Management Factors, and Capital Factors on Entrepreneurial Performance: In the Center of Ameliorating Small Businesses Supporting Policy by Government in Beauty Service Industry (창업가 기업가정신 요인, 경영 관리적 요인, 자본적 요인이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미용서비스업 분야 소상공인지원정책의 개선방향 중심으로)

  • Kwak, JinMan;Yang, YoungSeok;Kim, MyungSuk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2 no.3
    • /
    • pp.119-133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beauty services owners 'support policy on entrepreneurship performance in the beauty service industry through the effects of entrepreneurs' personal characteristics, managerial factors, capital factors and store factors on entrepreneurial performance. As a factor affecting the start - up performance of beauty service companies, it was analyzed that human resource management which is a sub - variable of managerial management factors, capital factors at start - up and store factors influenced entrepreneurship performance. The study on the effect of funding policy, education support policy, and consulting support policy on the start-up achievement of beauty service companies is as follows. The government funding policy, educational support policy, and consulting support policy have no effect on human resources management, start - up capital, and store factors which have significant effect on start - up performance. This is because institutional support for funding is not an institutional support for proving the policy effect but an effective support plan for creating entrepreneurial achievement is needed. Educational support policy and consulting support policy are reflected in the politic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beauty service companies and realistic Education support and consulting support are necessary. In particular, it needs to be expanded to reflect the actual management activities and performance creation processes of other beauty service companies, which are different from the policy support of existing small business owners.

  • PDF

A Study on the Operation and Plan for Revitalizing Start-up Performance of Micro-enterprise - Focused on 'New Business Start-up Academy'- (소상공인 창업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신사업창업사관학교'를 중심으로-)

  • Lee, Siwoo;Lee, Hyunsoo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6 no.12
    • /
    • pp.11-20
    • /
    • 2018
  • This research investigates comparisons and characteristics of government's startup polices between startup for micro-enterprise and technology based startup. In particular, revitalization plans of "New Business Start-up Academy (NBSA)" which is supported by a governmental organization, are proposed. Currently, korean government's startup polices are focusing on more technology based startup than startup for micro-enterprise. In order to overcome this issue, this research examines the current issues of the startup policies for micro-enterprise and the detailed plans for revitalizing micro-enterprises' startups. As detailed research studies, the current program and supporting mechanism of NBSA are analyzed. Then, these are compared with several startup policies of Korea government and the detailed action plans are proposed. The proposed results contributes to the criteria and the references for vitalizing micro-enterprises' startups.

성공적인 사내 분사창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정부 지원 프로그램 케이스 스터디

  • Meyer, Marc H.;Lee, Chae-Won;Kim, Ga-Yeong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2.04a
    • /
    • pp.17-24
    • /
    • 2022
  • 국내 창업연구 결과에 따르면 사내벤처 기업의 생존률 및 성과가 일반 창업기업 대비 더 높게 나타난다는 연구결과들이 제시되고 있다. 이에 우리 정부는 2017년부터 사내벤처 및 분사창업기업 육성을 위한 지원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정부의 개입이 분사창업기업의 창업과 성장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2019년 1차년도 사내벤처 육성프로그램에 참여한 7개의 기업 중 11개의 분사기업팀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주된 영역은 (1)분사 칭업자의 특성에 따른 기업가적 의도 및 (2) 모기업의 지원정책, (3) 정부의 정책 개입에 따른 분사창업과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3개월의 이노베이션 부트캠프 과정 이후 2022년까지 해당기업의 CEO 인터뷰 및 기사를 통해 추적한 결과, 사내벤처팀 모두 모기업의 지원정책과 본인의 업무를 기반으로 창업을 시작하였으며, 모기업 및 유통파트너를 첫 소비자로 하는 경우가 다수를 차지하였다. 모기업은 재정직 지원 제공하는 한편, 정부에서 요구한 '실패시 재입사 가능'의 조항을 준수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정부의 정책개입은 중소기업의 사내벤처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정부의 사내혁신을 통한 혁신창업 활성화에 이론적, 실무적, 정책적 제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Improvement the Start-up Support Policy: Focused on the ICT Start-up (창업기업 지원 정책 개선 방안 연구: ICT 창업기업을 중심으로)

  • Gil, Wungyu;Bae, Hongbeom;Sim, Yongho;Kim, Seokyun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3 no.4
    • /
    • pp.117-128
    • /
    • 2018
  • Various government support policies are being promoted in order to stimulate growth of SMEs. The government is striving to provide effective support through direct methods of tax, finance and indirect methods through support programs. However, the view on the government's startup policy is still tense. We are sympathetic with the need for support, but discussions continue to be made on the effectiveness of support projects and support projects. Therefore, this study evaluates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the government start-up support project. For this purpose, we conducted questionnaires on ICT start-ups who have experienced government start-up support projects. Of these, 128 were analyzed for GAP analysis and ISA. As a result of the GAP analysis of the government start - up support project, the degree of satisfaction (4.408) was lower than the degree of importance (5.221), confirming that the beneficiary's evaluation on the start-up support project was negative. As a result of the importance-satisfaction analysis, 'R&D' and 'commercialization' are located in the maintenance area, and 'government funding', 'marketing, overseas advancement' projects are included in the concentrated area. In the low-ranking areas, there are 'entrepreneur events and networks' items. Finally, there are 'facilities and spaces', 'mentoring and consulting', and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the surplus areas.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R&D', 'entrepreneurial education', and 'government funding' influenced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it will contribute to improving the quality level of the government start-up support project by establishing the support policy for the ICT start-up enterprises and improving the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