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창업지원서비스

Search Result 165,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창업실패관련 개인평가와 사업실패로 인한 손실경험이 재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Kim, Ha-Gyeong;Kim, Jong-Taek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7.11a
    • /
    • pp.63-69
    • /
    • 2017
  • 2015년 기업생멸 행정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최근 5년 동안('2010~2014년) 연평균 창업은 77만개, 폐업은 69만개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15년 한해에만 개인사업자로 106만8313명이 창업을 하고 73만9420명이 폐업을 했다. 이는 하루 평균 3000명이 창업을 하고 2000명이 문을 닫는 셈이다. 실패를 경험한 기업인들은 여러 가지 심리적, 경제적 어려움에 직면하게 된다고 연구 보고되고 있다. 이같은 결과는 사업실패를 경험한 기업인들에 대한 케어의 필요성을 보여준다. 지난 2010년부터 정부가 실패기업인들에 대한 재기지원사업에 나서고는 있으나 재창업지원제도의 효과성에 대해서는 보장하기 어려운 상태다. 일각에서는 재창업지원이 양적인면에서는 활성화됐으나 질적으로는 아직 미흡하다고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같은 상황에 착안하여 본 연구는 사업실패를 경험한 기업인들이 겪게되는 심리적 특성과 재기를 하고자 할 때 방해요소로 작용하는 감정요인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따라서 선행연구를 통해 사업실패를 경험한 기업인들의 감정메카니즘을 규명한 모델(건강신념 모델:Health Belief Model)을 적용한 창업실패관련 개인평가와 사업실패경험(재무적 손실, 비재무적 손실)이 재창업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고자 한다. 감정요인인 창업실패관련 개인평가는 지각된 심각성, 지각된 취약성, 지각된 장애로 구성했다. 또 창업실패관련 개인평가와 재창업의도 사이, 사업실패경험과 재창업의도 사이에 재창업지원정책, 창업자기효능감이 각각 조절작용을 하는지 유의미한 관계성을 알아보고자한다. 연구 대상은 정부 재창업지원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는 중소기업진흥공단, 서울산업진흥원, 재도전지원센터등 기관의 재창업지원을 받은 기업인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이들이 재창업지원서비스를 받기 전과 후에 대한 측정을 통해 실증분석을 하려고 한다.이 연구가 설정한 가설이 맞을 경우, 시사점으로는 정부의 재창업지원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대한 검증이 될 것이다. 또 창업실패관련 감정메카니즘 규명으로 사업실패 기업인들의 재기를 도울 수 있는 재창업지원정책의 고도화가 가능해 질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n Empirical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Incubator's Service and BI Performance by the Moderating Effect of Business Incubation Competency (BI(창업보육센터)의 업무역량이 보육지원서비스와 BI 성과간에 미치는 조절효과에 관한 실증연구)

  • Yang, Dong-Woo;Park, Man-Hee;Kwon, Young-Seok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0.11b
    • /
    • pp.646-650
    • /
    • 2010
  • 최근 들어 고용없는 성장 및 청년 실업율이 높아지면서 기술을 기반으로 한 창업의 산실인 창업보육센터(Business Incubator : BI)의 역할이 주목을 받고 있다. 이와 더불어 이에 대한 연구들로서 BI의 효율적인 운영과 성과측면에도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져 왔다. 국내외 선행연구들은 크게 BI의 지원서비스유형 및 정도가 입주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 과 입주 기업의 특성유형 및 정도가 성과에 미치는 영향으로 대분된다. 즉 BI의 성공요소들(Critical Success Factors), BI의 지원서비스, BI 내부조직 등과 BI 성과와의 상관관계분석 등에 초점이 맞추어 졌다. 또한 입주기업들이 BI 입주시 지니고 있는 잠재적인 역량 즉, 사업아이템 경쟁력이나 CEO역량, 기술 사업화 역량들이 기업들의 사업화성공률 향상과 BI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BI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업무시스템 관여정도와 매니저의 역량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측면이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들을 연구하기 위하여 첫째, BI가 제공하는 보육서비스 특성과 이러한 특성들이 BI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둘째, BI의 업무역량이 보육지원서비스와 BI 성과에 미치는 조절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 PDF

Impact of Youth Start-Up Business Incubating System On the Start-Up Business Performance (청년창업보육센터 입주기업 성과에 미치는 지원 요인에 관한 연구)

  • Hwangbo, Yun;Kim, Jae Hyoung;Bang, Jung Hyuk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8 no.1
    • /
    • pp.149-160
    • /
    • 2013
  • This aims to study impact of the youth start-up business incubating system by government's or local autonomous governments' center on start-up business performance. This focus on Youth Start-Up Business Support Program operated by Seoul Metropolitan City and explore practical alternatives. In this study, young entrepreneurs are defined as those who are aged between 20 and 40, and start-up is defined as an act by such entrepreneur that establishes an organization or system that produces any goods or services selected as business idea by utilizing capital in order to create profits. The empirical results are as follow;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cale of capital in initial stage by young entrepreneur graduating from Start-Up Business Support Center and start-up success satisfaction by young entrepreneurs. There i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number of obtained intellectual properties before moving into Start-Up Business Support Center and start-up success satisfaction by young entrepreneurs. There i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satisfaction on start-up activity support fund for young entrepreneur in Start-Up Business Support Center and start-up success satisfaction by young entrepreneurs. There i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satisfaction on promotion and territorial cultivation support activities for young entrepreneur in Start-Up Business Support Center and start-up success satisfaction by young entrepreneurs. There i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satisfaction on collaboration support among member firms for young entrepreneur in Start-Up Business Support Center and start-up success satisfaction by young entrepreneurs. There i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overall satisfaction on start-up business support program for young entrepreneur in Start-Up Business Support Center and start-up success satisfaction by young entrepreneurs. The study has an implication that it provides a basic data on policy support strategies by central and local autonomous governments that facilitate young entrepreneurs to achieve start-up business goals by understanding the factors that affect the business performance of young entrepreneurs. In addition, the study offers an effective direction for young entrepreneurs in a way that promotes the start-up performance by young entrepreneurs, which expects to contribute to core factors of new employment opportunity creation as well as national and local economies, so that the author expects the study to play a role of raising the necessity of start-up business support for young entrepreneurs.

  • PDF

Analysis of Startup Process based on Process Mining Techniques: ICT Service Cases (프로세스 마이닝 기반 창업 프로세스 분석: ICT 서비스 창업 사례를 중심으로)

  • Min Woo Park;Hyun Sil Moon;Jae Kyeong Kim
    • Information Systems Review
    • /
    • v.21 no.1
    • /
    • pp.135-152
    • /
    • 2019
  • Recently there are many development and support policies for start-up companies because of successful venture companies related to ICT services. However, as these policies have focused on the support for the initial stage of start-up, many start-up companies have difficulties to continuously grow up. The main reason for these difficulties is that they recognize start-up tasks as independent activities. However, many experts or related articles say that start-up tasks are composed of related processes from the initial stage to the stable stage of start-up firms. In this study, we models the start-up processes based on the survey collected by the start-up companies, and analyze the start-up process of ICT service companies with process mining techniques. Through process mining analysis, we can draw a sequential flow of tasks for start-up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m. The analysis of start-up businessman, idea derivation, creating business model, business diversification processes are resulted as important processes, but marketing activity and managing investment funds are not. This result means that marketing activity and managing investment funds are activities that need ongoing attention. Moreover, we can find temporal and complementary tasks which could not be captured by independent individual-level activity analysis. Our process analysis results are expected to be used in simulation-based web-intelligent system to support start-up business, and more cumulated start-up business cases will be helpful to give more detailed individual-level personalization service. And our proposed process model and analyzing results can be used to solve many difficulties for start-up companies.

Analysis on Information Use Behaviors of Pre-entrepreneurs and Startups (예비창업자 및 스타트업의 정보이용행태 분석)

  • Yoo, Suhyeon;Park, Boyana;Kim, Wanjong
    •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 /
    • v.7 no.10
    • /
    • pp.91-101
    • /
    • 2017
  • Nation-wide support is being strengthened to vitalize pre-entrepreneur and startup initiatives. However, it is found that they have been suffering from the lack of necessary information in preparation for the start-up operation. In order to support more proactive and robust start-up process in aspect of contents or service, it is necessary to carefully analyze their information needs and information seeking behaviors.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analysis is a method for improving information services in accordance with the information needs of the information service users in libraries and information service institutes. This study analyzed information seeking behaviors of pre-entrepreneur and startup. Focus-group interview as the representative method of exploring information seeking behaviors was conducted. Content analysis was introduced to search the business-establishing process, information-seeking status, and utilization level of startup-related information resources and their perception. It is expected that contents and services for pre-entrepreneur and startup would be improved by reflecting their information seeking behavior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창업보육센터 입주기업 마케팅 활성화 방안 연구

  • Jang, Seok-Ju;Yun, U-Gyu;Mun, Yeong-Si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4a
    • /
    • pp.253-301
    • /
    • 2008
  • 본연구는 우리나라의 창업보육센터가 태동기, 양적 기반 확충기를 거쳐 이제 질적인 성장을 고려해야 할 성숙기의 단계에 접어들고 있는 시점에서 중소 벤처기업의 가장 어려운 난관인 Marketing 취약점을 제도적으로 지원함으로써 BI 입주기업의 성공을 도와 지역경제를 회생시키고 나아가 국가경제의 부흥을 도모할 필요가 있어 BI입주기업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분석 하였으며, 그 결과를 토대로 해결방안을 모색하였다. 조사 분석 결과 BI입주기업은 기술력과 사업성은 우수하나, 대외 인지도 및 마케팅능력 부족 등으로 매출신장은 미흡한 실정이고, 일부 BI 입주업체를 위한 마케팅 교육, 전시회 참가 및 홈페이지 제작 등을 지원하고 있으나, 그 성과는 극히 미홉하며, 기존 중소기업을 위한 판로지원 시책은 그 지원규모가 영세하고 또한, 기업의 성장단계 면에서 볼 때 초기 단계에 있는 BI입주기업이 이들 시책을 활용하기에는 애로가 있다. 경영자원의 부족에 따른 판매성과 미흡, 이에 따른 신규 경영자원 확보 실패와 계속적 판매 부진의 악순환을 탈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이에 해결방안으로는 BI 입주기업에 대한 마케팅 지원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BI 입주기업만을 대상으로 하는 사업과 예산의 확보가 절대 필요하며 이를 시행함에 있어서는 수요자인 BI 입주기업이 필요로하는 서비스에 최우선을 두면서 소요 예산을 감안하는 것이 필요하다. 지원대상에 있어서는 BI 입주기업 전체를 지원하는 것은 예상되는 사업 비용상 불가능하며 차등적 지원을 통해 성공모델을 육성하는 것이 필요하리라고 전망된다.

  • PDF

정보통신관련 창업절차 해설

  • Gang, Il-Taek
    • 정보화사회
    • /
    • s.113
    • /
    • pp.65-69
    • /
    • 1997
  • 개인이 기업을 창업한 후 건전한 경영관과 경영이념에 입각하여 지속적인 성장.발전을 이룩하기란 결코 쉬운일이 아니다. 특히 기업의 내부환경과 외부환경은 정확한 예측이 불가능하므로 이를 극복하면서 기회로 인식하기에는 기업들의 자생력이 매우 미약한 실정이다. 최근 고임금, 고물가, 고금리, 고물류비의 4고는 기업을 더욱 어려운 상황으로 이끌고 있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의 기업이 처해 있는 여건이 불안하다고 하지만 매년 새로운 기업이 창업하여 지역경제 및 국민경제에 일익을 담당하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정부에서도 국내기업의 경쟁력.생산력 약화의 현상을 직시하면서, 일연의 기업의 활성화 방안 및 창업기업(벤처기업 포함)에 대한 범정부적인 지원을 위해 1997년 8월 개통을 목표로 현재 종합기업서비스지원(Inno-NET)시스템 구축을 준비중에 있어, 향후 창업을 희망하는 사람들은 자기가 계획한 사업과 관련된 자료나 정보를 쉽게 수집할 수 있게 되었으며, 과연 어디에서부터 시작을 해야 되는지? 하는 과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되었다. 물론 그동안 전혀 창업희망자에게 창업관련 자료나 정보를 제공하는 기관이나 단체가 없었던 것은 아니나 다만, 이를 통합, 일원화하겠다는 것이다.

  • PDF

Effectiveness Analysis of Startup Support Policy of Early Start-ups: Moderating Effect of the Industry and Growth Stage of the Start-ups (초기 창업기업 창업지원정책의 효과성 분석: 창업업종 및 창업성장단계 조절효과)

  • Jung, kyung-hee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5 no.1
    • /
    • pp.59-70
    • /
    • 2020
  • This study was proceeded to empirically identify the start-up support policy as an element that affects the performance of the early start-ups and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the current start-up support policy, in order to suggest the direction future policies according to the study. To accomplish this the influence of the start-up support policy on the early start-ups was analyzed, and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industry and growth stage of the start-ups, 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art-ups, were identified. The research subjects collected real data of 297 start-ups of the past three years that were selected for the Initial Start-Up Package project, and perform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 the influence between variable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on moderating effects. The summary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identifying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between the start-up support policy and the performance of the start-up, sales had mad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start-up fund, start-up mentoring, and start-up infrastructure(space), while start-up education failed to show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crease in sales. In terms of employment, start-up mentoring was the only field that showed a significant influential relationship. Second, as a result of identifying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start-up's industry and growth stage, the industry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but the interactive effect was seen in start-up education. To be more specific in terms of the sales relationship of each industry, knowledge services turned out to be helpful in improving sales, while manufacturing turned out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sales regardless of being supported with start-up mentoring and start-up infrastructure (space). The sales relationship regarding the start-up growth stage was identifi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preliminary stag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while providing start-up mentoring and start-up funding were effective for start-up stage and growing stage,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employment did not perform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tart-up growth stage.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iveness the start-up support policy for early start-ups, identifies the need in differentiated support polici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art-ups, and suggests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 in which future policies should be made towards.

Service Design for Utilizing Government Information -Focusing on the Case of Gov3.0 Design Group for East North Statistics- (정부 정보의 활용을 위한 서비스디자인 -동북지방통계청의 국민디자인단 사례를 중심으로-)

  • Lee, Yun-Ju;Baek, Su-hyun;Kim, Sun-Ah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6 no.6
    • /
    • pp.335-341
    • /
    • 2018
  • This study is to innovate policy service development by utilizing beneficiary - centered service design to public information and public data and services that citizens can experience. The Gov 3.0 Design Group operated by the Dongbuk Regional Bureau of Statistics in Daegu in 2015, proposed a 'start-up decision support service' for pre-founders, using data mining on the GIS spatial information held by the Statistical Office and real-time settlement information of credit card companies. For this, service design process and methodology were adopted and participation of various stakeholders. This study suggests that national design activity based on service design is effective in transforming public service based on government information disclosure. It is also worthwhile as an approach that can be considered when the government wants to release or open information or public data in useful form to the public.

소상공인 창업자의 자금공급 확대를 위한 빅데이터 활용 방안연구

  • Lee, Ju-Hui;Dong, Hak-Rim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8.04a
    • /
    • pp.67-74
    • /
    • 2018
  • 소상공인 창업자들이 자금조달의 대부분을 은행 대출에 의존하고 있는 가운데 소규모 자금 조달을 필요로 하는 이들을 위해 핀테크 기반의 새로운 금융서비스를 통해 소상공인 창업자의 금융 공급을 확산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환경 변화 패러다임에서 본 연구는 빅데이터와 핀테크 솔루션의 활용이 소상공인의 매출과 금융지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실제로 공공과 민간의 상권빅데이터자료를 수집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소상공인에 대한 금융혜택 증대를 위한 사업장의 매출증대 등 소상공인 창업자의 사업성 평가에 필요한 주요변수들을 상권빅데이터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특히 자금의 대부분을 정책자금을 통해 조달하는 소상공인들이 일반 은행에서도 중소기업 대출의 하나로 비중 있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기존에 활용되지 못한 빅데이터 변수들을 탐색하여 소상공인의 경쟁력 향상을 위한 효율적인 금융지원이 가능함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소상공인 창업자의 대출 등 금융지원 확대를 위한 사업성 평가에 상권빅데이터의 활용 가능성이 있는지를 중심으로 문헌적 연구방법 연구와 실증적 분석을 병행하였다. 본 연구는 핀테크와 빅데이터의 활용이 향후 소상공인 자금 조달의 발전 방향이 어떻게 되어야하는지를 모색해야하며, 소상공인을 포함하는 중소기업 신용평가방식의 발전 방향을 구체적으로 모색되어야 할 시점임을 의미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