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창업연구

Search Result 2,810,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독립창업자의 기업가정신과 환경요인이 프랜차이즈 가맹본부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Go, Byeong-Uk;Kim, Jong-Taek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7.11a
    • /
    • pp.53-61
    • /
    • 2017
  • 최근 창업분야에서 나타나는 현상을 보면, 창업자에게 창업기회가 일생에 한번만 오는 것이 아니라 몇 차례의 창업을 시도한 창업자를 많이 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창업자의 성공과 실패에 대한 과거의 창업 경험이 이후에 진행되는 창업의 성패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을 창업에 있어서 주된 현상으로 관찰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와 같은 현상에 주목하여 1차 창업을 한 독립창업자가 사업을 더욱 성장시키기 위한 전략으로 2차 창업을 계획하고 진행하는 현상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한다. 연구를 통해 1차 창업을 진행한 독립창업자가 2차 창업이라고 할 수 있는 프랜차이즈 가맹본부의 창업을 성장전략으로 고려할 때, 어떤 요인이 영향을 주는지를 살펴보고, 이 요인들 사이에는 어떤 관계를 갖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는 기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한 이론적 배경으로 연구를 진행하고자 독립창업자의 기업가정신과 환경요인을 독립변수로, 프랜차이즈 가맹본부 창업의지를 종속변수로, 창업자의 창업경험과 프랜차이즈 가맹본부 창업교육을 매개변수로 설정한 이후에, 각 변수 간에 어떤 영향을 주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모델에 대하여 크게 4가지의 가설을 설정하고 이에 대한 실증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살펴 보면, 독립창업자의 프랜차이즈 가맹본부 창업의지가 높아지기 위해서는 1)독립창업자의 기업가 정신이 높고, 환경요인이 우호적일수록 프랜차이즈 가맹본부 창업의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게 되고, 2)독립창업자의 창업경험을 통해서 자기효능감이 높아짐으로써 프랜차이즈 가맹본부 창업의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게 되고, 3)프랜차이즈 가맹본부 창업교육의 참여 기회를 통해 프랜차이즈 가맹본부 창업의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게 됨을 제시하고 있다.

  • PDF

창업가역량이 창업 및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창업멘토링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곽병욱;양영석;김명숙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3.11a
    • /
    • pp.111-116
    • /
    • 2023
  • 중소벤창업기업 중 대다수가 처음 창업을 도전하기 때문에 생존도 어렵고 경영성과를 만드는데 더 큰 어려움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정부는 이의 해결 대안으로 창업가의 본원적인 역량을 보완해 이를 해결하기 위한 창업 멘토링 강화에 지원정책의 초점을 두고 있는데, 이의 효과 창출이 중대한 시대적 과제가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창업멘토링의 조절효과로 창업가역량이 창업 및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창업기업의 성과를 높이기 위한 실효성 있는 정책방향의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주요내용은 첫째, 창업가역량, 창업멘토링, 창업성과와 경영성과에 대한 고찰, 둘째, 창업가역량에 따른 창업 및 경영성과의 영향관계 연구, 셋째, 창업멘토링의 창업가역량과 기업성과에 대한 조절효과 연구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업가의 개인적, 사회적, 전문적역량은 창업기업의 창업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창업기업의 창업성과는 기업의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창업멘토링은 창업가역량과 창업성과와의 관계에서 정(+)의 조절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결과 기존 선행연구 대비 다음과 같은 기여를 하고 있다. 첫째, 국내외 정책자료와 선행연구를 통해 창업가 자체에 초점을 둔 본원적인 창업가의 역량에 대하여 재정의하고, 둘째, 창업멘토링을 창업행동모델의 구성 요소로 설정하여 연구하였으며, 셋째, 선행연구들에서 창업기업의 성과를 경영성과에 국한되어 평가했던 것을 창업기업의 초기창업 성과와 기업의 전반적인 경영의 성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아울러, 본 연구결과의 정책적 시사점은 첫째, 창업기업의 성과향상을 위한 창업지원사업의 실효성 있는 정책방향을 결정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였고, 둘째, 창업멘토링 효과의 유의성을 입증하였다는데 그 의미가 있다.

  • PDF

대학생들의 창업가정신과 창업동기, 창업효능감과 창업의지와의 구조적관계모형

  • Kim, Yeong-Dae;Bae, Byeong-Yu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0.06a
    • /
    • pp.85-93
    • /
    • 2020
  • 본 연구는 전국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창업의지의 선행 변수을 규명하기 위해 구조모형으로 실증분석 하였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창업가정신을 독립변수로, 창업동기와 창업효능감을 매개변수로, 창업의지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였다. 진취성이 높을수록 창업동기에 정(+)의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1은 기각되었다. 혁신성이 높을수록 창업동기에 정(+)의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 2는 채택되었다. 위험감수성이 높을수록 창업동기에 정(+)의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 3은 채택되었다. 진취성이 높을수록 창업효능감에 정(+)의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 4는 채택되었다. 혁신성이 높을수록 창업효능감에 정(+)의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 5는 채택되었다. 위험감수성이 높을수록 창업효능감에 정(+)의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 6은 기각되었다. 진취성이 높을수록 창업의지에 정(+)의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 7은 기각되었다. 혁신성이 높을수록 창업의지에 정(+)의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 8은 채택되었다. 위험감수성이 높을수록 창업의지에 정(+)의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 9는 기각되었다. 창업동기가 높을수록 창업의지에 정(+)의 영향을 가설 10은 채택되었다. 창업효능감이 높을수록 창업의지에 정(+)의 영향을 가설 11은 채택되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창업교육이나, 창업동아리활동, 창업경진대회 등의 활동경험이 없는 전국대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는 점이 선행연구와의 차별점이다. 또한 대학생들의 창업가정신, 창업동기 및 창업효능감, 창업의지와의 구조관계를 실증 연구하였다는 것이 선행연구의 차별점이다. 실증연구 결과를 통해 창업의지를 높이기 위한 방안이 무엇인지를 규명하고 제시하였다.

  • PDF

창업교육이 창업기회를 매개로 대학생의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 Kim, Yun-Seon;Lee, Il-Ha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1.11a
    • /
    • pp.47-55
    • /
    • 2021
  • 최근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성장 둔화는 청년 취업률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취업난이 극심한 가운데 더 이상 대학의 교육이 청년 취업을 위한 관문이 아닌, 창업을 통한경제 활동의 창구역할과 기회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국내의 창업교육 커리큘럼은 단편적, 달발적인 양상을 보이며, 대부분 단일차원에서 창업교육을 정의하는 한계를 보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창업교육을 전문성과 다양성의 다차원적 개념을 적용하고, 대학생의 창업의도를 높이는데 효과적인 요인을 확인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창업교육을 전문성과 다양성의 다차원적 개념을 적용하여 창업교교육의 특성을 확인하고, 대학생의 창업의도를 높이는데 효과적인 요인을 밝히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창업교육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를 창업기회(창업기회인식, 창업기회발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진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창업교육이 창업기회를 증진하고, 증진된 창업기회가 창업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연구 가설을 설정하고 인과적 경로를 검증하였다.

  • PDF

여성창업 활성화를 위한 여성창업가의 특성요인에 관한 연구: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 Kim, Yun-Seon;Lee, Il-Ha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2.11a
    • /
    • pp.71-76
    • /
    • 2022
  •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여성 창업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여성창업가의 특성 요인을 다면적, 실증적으로 연구를 실시하여 도출하고, 이를 통해 지속가능한 여성창업의 활성화를 위한 이론적·실무적 인사이트를 제시하여 경쟁력 있는 여성 창업기업의 발굴 및 육성에 대한 제언을 궁극적으로 함에 있다. 이를 위해 여성창업활성화를 여성창업가의 특성과 역량을 파악하고자 심층 인터뷰를 토대로 탐색연구를 실시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8명의 여성창업가를 대상으로 한 심층 인터뷰를 통해서 창업태도(독립욕구, 개발욕구, 호의적여건), 창업진입률, 창업동기, 창업활동과 제약조건 등에 관한 주요 내용을 분석해 보았다. 연구의 독창성과 연구적 가치를 위해 여성 기업가, 창업가 8명을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여성창업가의 보편적 특성을 객관적으로 확인코자 남성창업가 8명을 비교집단으로 심층인터뷰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고성장,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벤처 창업생태계에서 수적 열세를 보이고 있는 여성의 창업활동 참여와 활성화를 위한 이론적, 실무적 인사이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 PDF

직장인의 자본유형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창업 내재적·외재적동기를 조절효과로

  • 조진아;하규수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3.04a
    • /
    • pp.63-66
    • /
    • 2023
  • 최근 경기침체와 고용 없는 성장, 그리고 실업률을 극복하기 위해 다각적인 해법을 찾고 있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 창업을 통한 일자리 창출을 중요히 여기는 정부는 창업을 적극적으로 권장, 지원하고 있다. 창업관련 기존의 연구는 주로 청년과 대학생, 시니어 창업과 관련한 창업의도에 미치는 선행변수에 대한 연구들과 독립창업, 가맹점 창업, 소상공인 창업 등 창업형태에서 창업에 대한 영향관게 연구들이 주류나 직장인들을 대상으로한 창업의도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본 연구의 목적은 창업의도를 향상하기 위한 주요한 방법으로 창업내·외적 동기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심리적 자본, 사회적 자본, 인적자본, 경제적 자본이 창업의도 사이에서 매개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지 탐색적으로 분석하는데 있다. 직장인의 여러 자본요인 중 주요 자본 요인을 도출하여 정부창업지원제도 개선 방안 마련과 창업환경 조성을 통해 창업 성공률을 제고하고자 한다.

  • PDF

Meta-analysis about the study related with foundation: As the center from 1998 to 2013 treatises (창업 관련 연구에 대한 메타분석: 1998년~2013년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 Yoo, Jun Ho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9 no.1
    • /
    • pp.51-67
    • /
    • 2014
  • The study is aimed to recognize the meaning of foundation study through understanding history and flow of foundation study in Korea. The analysis period is from 1998 when there was first boom of venture foundation in Korea after IMF to 2013 September when the latest thesis was made, and the analysis intends total 382 dissertations the online. The analysis was conducted in the fields of foundation study, foundation support, foundation steps, founding company forms, founder's demographic features, and from the analysis, the following conclusion could be drawn out. First, the field actively carrying out foundation studies is the business management & economics field, but the foundation is dealt as an object of study across the all industries. It could be identified that of the all industries, especially IT industry, food service industry, and contents industry are the fields showing much interest about the foundation. Second, the field attracting most keen attention among the fields of foundation support was the field related with the founders. Third, the main problem relevant to foundation study was that the foundation was judged in comprehensive viewpoint, not being judged with strategies, in detail. Fourth, investing from the company's form aspect, it was found that during the starting period, the main foundation trend was the venture firm foundation, but recently the foundation-relevant attention is focused on the small business foundation and the most dominant founder type is the youth including college students, and the women's foundation is paid continual attention and senior foundation is being actively discussed. According to these analyzed results, future foundation studies should actively promote the general foundation studies, the specified foundation studies reflecting each industry's specialities, the fusion studies.

  • PDF

창업가 특성과 창업코칭 활동이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의식전환을 매개로

  • Jeon, Eun-Ji;Yang, Yeong-Seok;Kim, Myeong-Suk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8.11a
    • /
    • pp.159-162
    • /
    • 2018
  • 대다수의 창업 기업들이 창업 초기 단계에 만족할 만한 창업성과를 이루지 못하고 좌절하는 경우가 있기에 창업 기업의 창업 준비단계 및 초기 단계가 매우 중요하다. 이처럼 대부분의 초기 창업가들은 경험의 부족으로 인하여 창업성과를 내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의 창업 멘토링 선행연구와 차별성을 두어 코치와 피코치(창업가) 간의 협력관계를 통하여 창업코칭 활동으로 창업가의 의식전환을 매개로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창업가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 실증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창업코칭 활동이 창업성과 향상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창업코칭 활동 연구 확산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 PDF

대학의 학생창업에 미치는 창업동아리의 역할

  • Won, Chi-Un;Bae, Tae-Ju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9.11a
    • /
    • pp.87-93
    • /
    • 2019
  • 본 연구는 최근 창업에 대한 관심이 대학 내에서 확산되고 성공한 학생창업가들이 배출되고 있는 시점에서 대학 내 창업동아리 활동이 실제로 학생창업으로 이어지는지 국내 4년제 대학 169개를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대학의 창업동아리는 학생창업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으로써 정부와 대학은 매년 창업동아리에 필요한 예산과 교육 등 적극적인 지원을 하고 있지만 창업동아리 활동이 학생창업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국내에서는 학술적으로 연구된 바가 극히 드물다.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에서는 대학의 창업동아리가 학생창업 증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선행연구에서 강조한 바와 같이 창업동아리 활동이 학생창업에 미치는 영향을 대학의 창업지원과 교육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실증분석 한다. 분석결과 첫째, 대학의 창업동아리가 실제로 학생창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창업동아리 활동이 활발한 대학일수록 학생창업이 많이 이루어진다는 것을 시사한다. 둘째, 학생 창업지원과 교육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대학의 실습형 창업강좌는 창업동아리 활동과 학생창업 간의 관계를 정(+)의 방향으로 조절한다는 증거가 발견되었다. 즉, 창업동아리 활동이 학생창업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은 실습형 창업강좌의 비중이 높은 학교일수록 긍정적인 관계가 강화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경험적 학습을 통한 동아리 활동과 실습형 교육 간 연계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따라서, 창업 동아리 활동을 통한 학생들의 창업활동을 분석함으로써 대학의 창업 동아리 활동의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현실적인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 내 활발한 창업 동아리 활동의 질적 향상과 실제 창업 동아리 활동을 경험한 학생들이 창업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현실적인 창업 교육에 기여할 수 있는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창업을 위한 대학의 새로운 역할: WoW! Valley Model과 협업체계 구축 방안

  • Kim, Tae-Gyeong;Im, Seon-Hong;Kim, Yeong-Chul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7.04a
    • /
    • pp.40-40
    • /
    • 2017
  • 국내 대학은 연구 및 교육 기관으로서의 중요성과 함께 창업에 기여해야 할 사회적 책무를 지고 있다. 대학이 축적한 각종 지식 성과와 함께 연구와 개발 인프라를 활용하고 대학생 및 대학원생의 창의적 아이디어의 활용 가치를 높여 경제 활성화를 위한 새로운 성장 엔진을 개발해야 한다. 또한 창업연구와 창업지원 사업에 대한 사회적 요구에 맞추어 대학은 창업기능을 구조 혁신의 도구로 삼을 기회를 가지게 되었다는 점도 주목해야 한다. 본 연구는 한국 대학의 창업지원 기관의 역할 정립을 위한 학술적 지식을 되짚어 보고 창업을 중심으로 한 대학의 적극적인 창업지원단 구축 모델에 대한 논의를 담고 있다. 창업교육과 창업지원에 관한 기존의 연구와 2차 통계자료를 기반으로 창업지원 방향에 관한 시사점을 획득하고 대학 혁신을 위한 창업지원 모델인 WoW! Valley Model을 제안한다. 본 모형은 창업지원단의 역할 정립에 도움을 주고 대학 창업지원의 정책 수립의 기초를 제공할 것으로 본다. 국내외 경제 여건의 악화와 글로벌 경제 침체 속에서 창업의 사회적 중요성은 점차 커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대학의 창업 활성화는 시대적 과제라 할 수 있다. 체계적인 창업 지원 정책을 대학이 주도하고 현실 학문적 성격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체질을 개선하는 일이 시급하다. 본 연구는 대학의 창업지원단 활동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이미 국내의 많은 대학들이 창업지원을 위한 센터나 지원단을 운영하고 있으며 독자적인 체계를 갖추고 있다. 그러나 창업지원을 중심으로 대학의 기능을 재편하는 등의 혁신 체계로서의 창업지원단 운영 모델은 수립 및 시행된 경우가 드물다. 본 연구는 창업교육과 창업지원에 관한 기존의 연구 성과를 되짚어 보고 국내 대학의 창업지원을 위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한다. 창업 지원단의 수립 및 운영 모형에 관한 논의가 절실한 시점에서 본 연구는 연구자와 대학 운영자 및 정책 입안자에게 의미 있는 시사점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한편, 본 연구는 개념적 디자인을 제시하는 수준이므로 디자인을 평가하여 새로운 지식을 얻는 등의 후속 과정을 거쳐 보완될 필요가 있다. 다중 사례 연구와 실행 연구(Action Research) 등의 실증 방법을 통해 본 연구의 후속 결과가 요구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