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창업성과만족도

Search Result 96,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An Empirical Study of Factors Affecting Entrepreneurship Education (단기 창업교육프로그램 교육성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Kim, Yong-Tae;Choi, Myeong-Gil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9.05a
    • /
    • pp.170-173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지방자치단체에서 실시하고 있는 단기 창업교육프로그램 참가자들의 학습동기와 창업의지, 교육 만족도, 자기 유능감이 창업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문헌적으로 고찰하였으며, 설정된 연구가설의 검증을 위하여 서울시와 인천시가 주관하는 단기 창업교육프로그램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실증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단기 창업교육프로그램 참가자의 학습참여 동기는 교육만족도와 자기유능감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단기 창업교육프로그램 참가자의 창업의지는 교육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참가자의 교육 만족도는 자기유능감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넷째, 학습자의 만족도와 자기유능감은 교육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지방자치단체의 단기 창업교육프로그램 참가자의 학습 참여 동기와 창업의지가 높을수록 창업에 대한 다양한 지식과 기술 습득을 의미하는 자기 유능감과 만족도가 높아지며, 아울러 단기 창업교육프로그램에 대한 학습자의 교육성과 또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가 시사하는 바는 최근 들어 증가하고 있는 지방자치단체의 단기 창업교육프로그램이, 비교적 장기간에 걸쳐 진행되는 정규교육기관의 창업교육과는 달리, 짧은 기간 내에 효과적인 창업교육 성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교육 참가자들의 학습동기 및 창업의지 등 개인적 특성을 사전에 충분히 파악하여 적합한 대상자를 선발하여야 하며, 교육내용에 대한 만족도 제고를 통해 예비 창업자들이 스스로 다양한 창업관련 지식과 기술 등에 관한 자기 유능감을 향상시키는 데 주안점을 두어야 한다는 점이다.

  • PDF

The Effect of Success Factors of Foodservice Business Start-up on Management Performance and Entrepreneurial Satisfaction -Focused on Daegu·Gyeongbuk Area- (외식창업 성공요인이 경영성과와 창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경북지역을 중심으로-)

  • Lee, Heui-Hyeok;Yoo, Young-Ji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9 no.5
    • /
    • pp.233-248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success factors of foodservice business start-up on management performance and entrepreneurial satisfaction and to analyse the mediating effect of management performa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uccess factors of foodservice business start-up and entrepreneurial satisfaction.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PSS 22.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uccess factors of foodservice business start-up consists of location, service, facilities, and food. Among success factors, location, service, facilities, and food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management performance and entrepreneurial satisfaction. Second, management performanc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entrepreneurial satisfaction. Third, management performance had a mediating effect between success factors of foodservice business start-up and entrepreneurial satisfaction. The conclusion section suggested strategic implications to induce success factors, management performance and entrepreneurial satisfaction based on the findings.

개인의 특성이 창업만족도와 성과에 미치는 영향: 성격 5요인을 중심으로

  • An, Seung-Gwon;Jeon, Hye-Ji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9.04a
    • /
    • pp.135-141
    • /
    • 2019
  • 신(新)산업 발굴 및 신(新)고용창출을 위한 대안으로 창업정책이 확대 및 확산되어 지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 속에서 창업의 성공을 높이기 위한 교육이나 연구가 계속 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직업을 선택하거나 새로이 창업을 하고 조직에서 각자의 역할을 진행하는 과정에 개개인이 타고나고 특성들에 대한 고민이 함께 되어야한다. 경제성장 및 정량적 고용창출의 목적을 넘어 창업가들이 직업적 가치를 위한 자아실현 관점에서 창업가 육성을 고민해야 할 시점이 될 것이다. 이러한 만족스러운 직업을 갖게 하는 것이 진정한 의미에서의 국가의 역할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창업가 육성에 관한 관점을 소유권과 시장보호 및 개척의 관점을 넘어 국민의 생애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창업교육과 정책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창업 시 만족도와 성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창업가의 개인적 특성 중 성격 5요인(BIG5)을 중심으로 기업가정신과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봄으로서 개인의 어떠한 특성이 주요하게 작용하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내 창업의 다수를 차지하고 있으면서도 어려움을 겪고 있는 소상공인 중 외식업, 의류업, 커피전문점, 미용업 등의 자영업자를 대상으로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를 통해 창업성과를 높이기 위해 성격 5요인이 모두 중요하게 작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개방성과 친화성을 바탕으로 만족도를 높은 창업자를 육성하고 외향성과 성실성을 높인다면 실질적인 재무성과로 연결시킨다면 창업의 성공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 창업교육과 정책 방향의 토대를 마련하기 위한 창업자 개인의 특성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시도되어야 할 것이다.

  • PDF

입주기업의 성장단계별 창업보육센터 지원서비스가 서비스 만족도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Sin, Gyo-Seong;Yang, Yeong-Seok;Kim, Myeong-Suk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7.04a
    • /
    • pp.43-43
    • /
    • 2017
  • 본 연구는 창업보육센터 입주기업을 대상으로 지원서비스가 성장단계별로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정과 입주기업이 느끼는 만족도와 그에 따른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정 하에 입주기업의 니즈(needs)를 반영한 성장단계별 차별화된 효과적 지원서비스로 입주기업의 만족도와 경영성과를 높임으로써 창업성공률을 제고하기 위한 이론적 기여와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검증을 위하여 가설1 성장단계별 지원서비스는 정(+)의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2 성장단계별 만족도는 정(+)의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3 성장단계별 경영성과는 정(+)의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를 ANOVA 분석을 실시하였고, 가설4 지원서비스가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5 지원서비스가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6 만족도가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선행연구와 같이 지원서비스는 입주기업의 경영성과와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창업보육센터의 성장단계별 지원서비스가 서비스의 만족도와 경영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중소기업청 지정 창업보육센터 입주기업 174개를 표본으로 SPSS 22.0을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증분석을 통하여 얻은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장단계별 지원서비스의 차이에 대한 차이분석 결과 정(+)의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장단계별 만족도의 차이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장단계별 경영성과의 차이 중 투자유치는 정(+)의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창업보육센터에서 제공하는 지원서비스가 입주기업의 경영성과와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입주기업의 만족도도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를 종합해보면 창업보육센터의 지원서비스가 아직도 행정지원과 자금지원 등에만 국한되어 지원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입주기업의 성장단계에 적합한 다양한 서비스의 제공이 필요함을 주지시켜 주고 있다. 또한, 성장단계별 입주기업의 만족도는 매출증가와 고용증가로 이어졌지만 아직 투자유치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모든 입주기업에게 획일적인 지원서비스가 아닌 차별화된 지원서비스가 필요하며, 이를 위하여 창업보육센터 매니저들이 엑셀러레이터로서의 역할을 하기 위한 창업보육역량 고도화가 필요하고, 창업보육사업은 기업의 성장단계와 관련이 있으므로 입주기업의 성장단계 및 창업보육센터의 지원하는 역할과 기능에 따른 창업보육모델의 진화를 고려한 3세대, 4세대 보육모델로서의 발전된 운영정책 수립이 요구된다.

  • PDF

The Effect of Government's Fairness as the Entrepreneur's Satisfactions & Managerial Performance: Focusing on the Differences between Start-up Companies' Growth Stage (정부의 창업지원 공정성이 만족도 및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창업기업의 성장단계별 차이를 중심으로)

  • Jang, Younghye;Lee, Jeonghye;Kim, Pansoo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5 no.4
    • /
    • pp.109-120
    • /
    • 2020
  • This study examines how the government's fairness in entrepreneurship support affects satisfaction and management performance, and examines whether these influences are different for each growth stage of start-up companies. For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for start-up companies that received government support for start-up within the past 5 years. Total 611 copies of the data were used in this stud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and AMOS. The fairness used in this study was divided into three types, procedural fairness, interactive fairness, and distributed fairness. The effect of the three fairness on the satisfaction of start-up support project was analyzed. In addition, the effect of business support satisfaction on business performance was analyzed, where the business performance was evaluated by the questioner's satisfaction with their business. The start-up phase was divided into the start phase, early growth phase, stagnant phase, and high-level growth phase, and the moderating effect between the fairness and satisfaction of the government-supported projects by start-up phase was analyz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every concept of fairness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 satisfaction of the entrepreneurship support project, and the satisfaction of the entrepreneurship support project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 management performance. The concept of procedural fairness in the start phase, procedural fairness in the early growth phase, interactive fairness, and the concept of all fairness in the stagnant phase influenced the satisfaction of the start-up support project. In this study, the fairness and effect of government-supported projects affecting the management performance of start-ups were identified by growth phase of start-ups.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will help build a systematic system for entrepreneurship support and for start-ups, it will also greatly contribute to finding differentiated growth plans by growth stages of start-up companies.

기술창업 성과 제고를 위한 예비창업프로그램 도입에 관한 연구

  • Gil, Un-Gyu;Sim, Yong-Ho;Kim, Seo-Gyu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6.04a
    • /
    • pp.79-83
    • /
    • 2016
  • 기술창업에 대한 관심과 기대가 증가하며, 다양한 정책이 마련되었다. 창업 이후에는 다양한 지원이 마련되어 있으나, 창업 이전에 성공적인 창업을 유도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기술 창업의 성과를 제고하고, 기업가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해 예비창업프로그램 도입을 제안한다. 예비창업프로그램 도입의 근거로 본 연구에서는 예비창업프로그램의 만족도와 창업기업의 성과 간의 인과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단순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E 연구원의 예비창업프로그램을 거치고 법인을 설립한 기업을 대상으로 만족도 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창업기업의 성과로서 고용 지표를 선택하였다. 분석 결과 예비창업프로그램이 창업기업의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예비창업프로그램 도입은 출연연 또는 대학의 연구원들에게 창업 성공을 촉진하는 기제로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Impact of Business Incubator's Support Service and Manager's Capabilities on the Start-Up Performance (창업보육센터 지원서비스와 매니저 역량이 입주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Bae, Young Im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1 no.2
    • /
    • pp.145-155
    • /
    • 2016
  •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impact of business incubator's support service and manager's capabilities on the start-up economic performance. BI's support services consist of physical infra, management/legal service, networking service, financial service, technical service, and education/training service. The results show that most BI's support services(except education/training service)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start-up economic performance. This study also analyzes the gap between the importance and the satisfaction of BI's services. The results show that the satisfaction of BI's services is much lower than the importance. It can be explained that the start-ups' expectations are not able to meet. In conclusion, BI's services have a major impact on the start-up economic performance, but actually they didn't meet the expectation of the start-ups. In the future, the quality level of BI's services and manager's capabilities needs to be improved. The improvement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survival and growth of the startups.

  • PDF

창업자의 다중지능 영역별 발달 특성이 창업 행동 및 창업 분야에 미치는 영향 연구

  • Lee, Seon-Hui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8.11a
    • /
    • pp.31-34
    • /
    • 2018
  • 다중지능은 하워드 가드너가 제시한 개념으로, 지능이 단일한 지적 능력을 나타내는 구조(construct)이라기 보다는 다차원적인 복수의 하위 능력들로 구성된 것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Gardner는 다중지능의 구성을 음악지능이나 신체운동지능, 논리수학지능, 언어지능, 공간지능, 인간친화지능, 자기성찰지능 그리고 자연친화지능 등과 같은 상호독립적 능력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각 개인은 각 능력 영역에서 다른 발달 수준을 가지고 있다고 본다. 본 연구는 창업자의 다중지능의 영역별 발달 특성이 창업 실행 행동, 창업 분야, 창업 성과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것을 통해 예비 창업자들이 본인의 적성과 재능에 적합한 분야에서의 창업 가능성을 탐색하도록 돕는 지도자들에게 시사점을 제공하고, 향후 창업가 육성 프로그램의 구성 개선안을 마련하는 데에 기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18년 중소기업진흥공단 청년창업사관학교에 입교한 만 39세 이하의 청년창업자 200인을 대상으로 다중지능검사와 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창업 특성에 대해 묻는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Pearson 상관계수 및 다변량분산분석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할 예정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가설은 다음의 3가지이다. 가설 1. 창업자의 다중지능 영역별 발달 수준과 창업 실행에는 정적인 상관이 있을 것이다. 가설 2. 창업자의 다중지능 영역별 발달 수준에 따라 창업자가 선택한 창업 분야에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3. 창업자의 다중지능 영역별 발달 수준에 따라 창업자의 창업 성과 만족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 PDF

Impact of Start-Up Incubator Service On the Start-up Performance (창업기업 성과에 미치는 창업보육 지원 서비스 연구)

  • Hwangbo, Yun;Kim, Jae Hyoung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1 no.5
    • /
    • pp.57-66
    • /
    • 2016
  • The study aims to examine the impact of Start-Up Business Incubator System on Performance of the Start-up Graduated from the Business Incubator. This has analyzed 813 startups which had supported by Seoul Metropolitan City in particular from 2009 to 2010. Empirical analysis has choosed business room for free, startup grant for operation, education & coaching support, consulting support by practitioner, promotion & new market opening support and collaboration support among startups in the business incubator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also implemented startup success satisfaction degree as a depentent variable. The results shows that the degree of satisfaction on start-up activity support fund for entrepreneur a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on collaboration support among firms in the business incubator have statistical significant impact on start-up success satisfaction degree. The study has an implication that it provides a basic data on policy support strategies by central and local autonomous governments that facilitate entrepreneurs to achieve start-up business goals by understanding the factors that affect the business performance of entrepreneurs. In addition, the study offers new directions for entrepreneurs in a way that promotes the start-up performance by business room for free, education & coaching support, consulting support by practitioner, promotion & new market opening support which were investigated as statistical insignificant constructs, so that the author expects new studies about more effective business incubator system to enhance the performanc of start-up in business incubator.

  • PDF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Success of Start-up in Korea (업종별 창업 성공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업종별 창업자의 사업소득 및 창업만족도 결정요인 분석)

  • Nam, Jung Min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9 no.5
    • /
    • pp.13-20
    • /
    • 2014
  • This study drew a conclusion about the current situation and the trend of start-up in Korea by understanding the convenience of start-up and startup outcome(business satisfaction and income after startup) by year, and by analyzing the trend of the convenience of start-up by each detail items and by industry. In addition to, the key factors of successful business start-up are demonstrated by synthetically examining how the factors influence the outcome of startup, including human capital, business characteristics, economic feature, and situational/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as well a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result, business satisfaction after startup by year and business income have gradually increased from 2005, but the convenience of start-up has constantly decreased. Based on the industry, the convenience of start-up shows a statistical significance. Lastly,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outcome of business start-up are complexly turned up as human capital, business characteristics, economic feature, and situational/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as well a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