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창업만족

Search Result 306,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대학의 창업교육서비스품질이 교육만족과 창업역량,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 Gwak, Dong-Sin;Jeong, Hwa-Yeong;Yang, Yeong-Seok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6.04a
    • /
    • pp.108-117
    • /
    • 2016
  • 본 연구는 대학의 창업교육 서비스 품질이 교육만족과 창업역량,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이다. 대학에서 다양한 창업교육이 진행되고 있지만 창업성과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창업성과를 높이기 위한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창업교육의 서비스 품질이 교육만족과 창업역량,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첫째, 창업교육 서비스 품질을 측정하기 위해 서비스 품질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유형성, 신뢰성, 반응성, 확신성, 공감성 등 5개 요소 21개의 문항을 설정하고, 설문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창업교육 서비스 품질이 교육만족과 창업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둘째, 고객 만족에 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창업교육 수강생의 교육만족을 정의하고, 창업역량의 요소 중 성취역량, 창의성역량, 개념화역량, 사회적 역량 등에 미치는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 셋째, 교육만족과 창업역량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창업교육 서비스 품질은 기존의 연구와 다르게 유형성과 신뢰성이 하나의 요인으로 분석되어 반응성, 확신성, 공감성 등 4개 요인으로 확인되었고, 4개의 요인으로 구성된 창업교육 서비스 품질이 교육만족과 창업역량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창업역량 요인을 4개로 정의하여 설문을 분석한 결과 성취역량과 창의성역량이 하나의 요인으로 분석되어 개념화역량, 사회적 역량과 함께 3가지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교육만족에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창업의지는 창업역량에 영향을 받았지만, 교육만족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교육만족이 창업역량을 통하여 창업의지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차후 연구에서는 대상을 여러 지역 혹은 전국으로 확대할 필요성이 있으며, 다른 변수와의 접근 방법을 가지고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 PDF

시니어의 노후준비도와 창업교육 만족도가 자기효능감 및 창업기회인식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한승현;양영석;김명숙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3.11a
    • /
    • pp.53-59
    • /
    • 2023
  • 국내 베이비붐 세대 은퇴가 본격화하며 국내 시니어들의 은퇴후 평생직업 대안에 대한 수요가 폭증하며 창업이 그 대안으로 부상하였지만 주로 자영업창업 중심이어서 효과적인 대안이 되지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본 논문은 시니어들이 노후 대책으로 재대로 된 창업을 준비하도록 창업교육을 통한 만족도 제고를 통해 창업기회를 인식하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시니어의 노후준비도와 창업교육만족도가 자기효능감과 창업기회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 연구로서 각 변인에 대한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시니어의 노후준비도가 자기효능감과 창업기회인식에 미치는 영향관계와 둘째, 창업교육만족도가 시니어의 자기효능감과 창업기회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다. 가설검증 결과로 첫째, 시니어의 노후준비도는 하위 변위에 따라 차이는 있을 수 있으나 시니어의 자기효능감과 창업기회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예상된다. 둘째, 시니어의 창업교육만족도가 자기효능감에는 영향을 미치나 셋째, 시니어의 창업교육만족도가 창업기회인식에는 영향을 미치지 안는 것으로 예상된다. 본 논문은 시니어 창업에 영향을 주는 요인 중 하나로 노후준비도를 살펴봄으로써 시니어가 가진 노후준비 특성이 창업기회인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정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시니어의 창업 활성화 및 노동력 활용 방안으로 창업교육의 확대 필요성과 시니어 창업 교육 프로그램의 확대 등 창업을 준비할 수 있는 사회 분위기와 제도적 지원 및 프로그램 설계 필요성을 시사한다.

  • PDF

대학생의 창업교육 만족도와 창업지원제도인식, 창업멘토링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창업효능감을 조절효과로

  • Yu, Yeong-Cheol;Lee, Won-Il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2.11a
    • /
    • pp.53-57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에서 직·간접적으로 수행하고 있는 창업교육, 창업지원제도, 창업멘토링의 매개를 통하여 창업의지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고 대학생의 창업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과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대학 창업교육 만족도, 창업지원제도인식, 창업멘토링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서 창업효능감에 따라 창업의지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채택한 변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창업교육 만족도, 창업지원제도인식, 창업멘토링을 독립변수로 지정하였고, 둘째, 창업의지를 종속변수로 지정하였으며, 셋째, 대학 창업교육 만족도, 창업지원제도인식, 창업멘토링과 창업의지 사이에서 창업효능감을 조절변수로 지정하였다. 넷째, 창업지원제도인식은 정부창업지원정책과 대학창업지원사업으로 창업멘토링은 멘토링 기능(문제해결 기능, 네트워킹 기능, 의사소통 기능, 동기부여 기능)과 멘토 신뢰(인지적 신뢰, 정서적 신뢰)로 구분하였다.

  • PDF

A Effects of Start-up Preparation, Start-up Support Policy And Accelerator Support on Business Satisfaction (창업준비, 창업지원 및 액셀러레이터 지원활동이 창업만족에 미치는 영향)

  • Lee, Kyeong-Ho;Ha, Kyu-Soo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20 no.4
    • /
    • pp.333-342
    • /
    • 2022
  •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start-up preparations for start-ups, start-up support for start-ups, and accelerator support on business satisfaction for start-ups. For this purpose, an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on 308 founders. The main empirical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Start-up preparation, start-up support, and accelerator support have positive(+) significance in the start-up satisfaction of start-up companies. Among the variables that had a significant effect, the preparation of the start-up team was found to have the greatest influence. These results are considered to be consistent with the view that the importance of the private start-up support system is gradually increasing in the start-up ecosystem, and that the composition of the start-up team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start-up.

A Study on the Effect of Small Business Start-up Education Service Quality on Learner Satisfac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소상공인 창업교육 서비스 품질이 학습자 만족과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Choi, Se-Chul;Kown, Yong-Ju
    • Culinary science and hospitality research
    • /
    • v.20 no.4
    • /
    • pp.86-99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ausative relationship of small business start-up education service quality with 'learner satisfaction' and 'willingness to start a business(start-up intens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a basis for satisfying the desire of small business start-up entrepreneurs for high quality startup education service and seek the suggestions in terms of selection and concentration of the business start-up education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based on the outcomes derived from the empirical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quality of small business start-up education service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relationship with learner satisfaction. Next, the quality of small business start-up education service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relationship with start-up intension. Last, it was found that learner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tart-up intension.

창업보육센터의 교육서비스품질이 교육만족, 조직문화 및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 김보윤;황보윤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3.11a
    • /
    • pp.187-192
    • /
    • 2023
  • 1990년대 후반 정부는 경기부양의 일환으로 창업보육센터(Business Incubatir: BI)를 전국에 설치·운영하도록 지원하였다. 창업보육센터를 통해 벤처기업이 스스로 자생력을 갖출 수 있는 시기까지 시설, 기술, 행정, 경영지원 뿐만 아니라 입주지원까지 다양한 지원 역할을 수행해오고 있다. 특히 창업보육센터의 교육프로그램은 입주업체들의 기업 성장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창업보육센터의 교육프로그램이 기업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최근 조직문화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조직문화는 스타트업을 움직이는 심장이며 그 영향력은 실핏줄을 타고 회사의 가장 사소한 결정에까지 미친다. 조직문화마저 없다면 스타트업은 제품, 브랜드 무엇 하나 제대로 갖추지 못한 그저 꿈을 쫓는 집단에 지나지 않을 것이다. 본 연구는 창업보육센터의 교육프로그램 서비스품질 구성요인 인 유형성, 신뢰성, 반응성과 스타트업에게 중요한 원동력이 되는 실천중심설계가 교육만족, 조직문화 및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 아울러 교육만족이 조직문화에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를 진행하고 가설을 검증함으로써 학문적, 실무적으로 유용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 PDF

The Effect of University Entrepreneurial Education Service Quality on Education Satisfaction, Entrepreneurial Capability,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대학의 창업교육 서비스 품질이 교육만족과 창업역량,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 Kwak, Dong Shin;Jung, Hwa Young;Kim, Myung Seuk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1 no.4
    • /
    • pp.37-48
    • /
    • 2016
  • This study explored how university entrepreneurial education service quality affects education satisfaction, entrepreneurial capability,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Although the various university entrepreneurial educations have been provided, current state of education support for entrepreneurial achievement is quite insufficient. In order to analyze factors for the entrepreneurial achievement enhancement, this study examines how university entrepreneurial education service quality affects education satisfaction, entrepreneurial capability,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measure the entrepreneurial education service quality on the basis of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service quality, we set twenty one (21) questions for five (5) factors as follows: materiality, reliability, reactivity, certainty, consensuality. And then, impact of the entrepreneurial education service quality on education satisfaction and entrepreneurial capability was evaluated based on the survey results. Second, on the basis of previous studies of customer satisfaction, we gave the definition of education satisfaction for students in entrepreneurial education, and analyzed the causation that affects some elements of entrepreneurial capability (i.e. fulfillment capability, capacity of creativity, conceptualization capability, and social competence) by the aforementioned definition. Third, we analyzed the causation that affects entrepreneurial intention by education satisfaction and entrepreneurial capability. As a result, unlike the previous studies, there are only four (4) factors were confirmed for the entrepreneurial education service quality because the materiality and the reliability were founded as single element under the analysis. And it was identified that the entrepreneurial education service quality which is comprised of four (4) factors affects the education satisfaction and the entrepreneurial capability. In addi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under defining four (4) factors of entrepreneurial capability, the fulfillment capability and the capacity of creativity were founded as single element, and it was confirmed there is only three (3) factors, including the conceptualization capability and the social competence. With this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entrepreneurial education service quality is influenced by the education satisfaction. Therefore, although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is influenced by the entrepreneurial capability, it is not directly affected by the education satisfaction.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education satisfaction affects indirectly to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through the entrepreneurial capability that affected by the education satisfaction.

  • PDF

재직자의 기업가정신, 보상만족, 지속학습, 고용가능성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혁신행동 매개효과 중심으로

  • Im, Jae-Seong;Yang, Dong-U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1.11a
    • /
    • pp.135-142
    • /
    • 2021
  • 20년 3월부터 본격화된 코로나 팬데믹은 전세계경제에 큰 충격으로 불확실성은 더욱 커져 경제생태계 대변혁의 시대를 맞이하고 있는 가운데 고령 인구의 증가, 생산인구의 감소와 더불어 20년 12월 기준 직장의 폐업과 정리해고, 경영부진 등 비자발적인 일자리를 떠난 사람이 19년 대비 48.9%(2020 통계청) 증가, 직장인의 퇴직 평균연령도 51.7세로 직장인 의지와 관계없이 조기 은퇴가 불가피한 상황이다. 한편 직장 근로자 10명중 8명은 창업할 의지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이제는 직장인의 창업은 선택이 아닌 필수로 인식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직장인의 기업가정신과 지속학습, 보상만족, 고용가능성이 창업의지와 어떠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가를 조사하고 혁신행동이 매개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분석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직장 재직자의 기업가정신과 직장생활 과정에서 지속학습, 보상만족, 고용가능성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를 혁신행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진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재직자의 기업가정신과 지속학습, 보상만족, 고용가능성이 혁신활동을 증가시키고, 증가된 혁신활동이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인과적 경로를 검증하고자 한다. With Corona의 불확실한 경제여건에서 조직은 생존을 위한 끊임없는 변화를 추구함에 따른 재직자의 고용불안은 가중될 것이며, 100세 시대를 준비해야 하기에 창업은 필수적 상황으로 창업의지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 PDF

Classifying Latent Profiles in Job Satisfaction of Youth Entrepreneurs (청년창업가의 일자리만족도에 대한 잠재프로파일분석)

  • Kim, Youngseo;Hong, Sehee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6 no.1
    • /
    • pp.37-53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ypes of latent profiles depending on the job satisfaction of youth entrepreneurs in South Korea and examine the influence of related variables. Latent profile analysis (LPA) was conducted using data from the 12th year of the Youth Panel Study.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that there were five latent profiles based on job satisfaction among young entrepreneurs: lowest job satisfaction, mid-low job satisfaction, middle job satisfaction, mid-high job satisfaction, and highest job satisfaction. By applying multinomial logistic analysis, the influencing factors for each latent profiles have been derived. Gender, marital status, subjective health, self-esteem, entrepreneurial motivation, difficulty in start-up, person-job fit, intrinsic or extrinsic job values, business scale, income, work hour, education or training, and labor insurance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youth entrepreneurs' job satisfac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article discusses practical implications that can enhance the job satisfaction of young entrepreneurs.

The Effect of Government Star-up Support Project on Business Performance: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Start-up Satisfaction (정부의 창업지원사업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창업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Hwang, Gyun Jeong;Qing, Cheng-li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9 no.6
    • /
    • pp.85-90
    • /
    • 2021
  • This research focused on four areas of government-sponsored start-up support projects: facility support, funding, education support, and mentoring support, and examined the effects of business performance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business start-up satisfac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verified that the facilities, education, funds and mentoring support of the start-up support projec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business performance of the founders, and the partial mediating role of the start-up satisfaction was also verifi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art-up support project and the business performance.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support programs such as facilities, education, funds, and mentoring in government-sponsored start-up support projects are suitable factors to improve the business performance of founders. Finally,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presented and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