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창업마케팅특성

Search Result 84,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A Study on the Influence of Founder Characteristics on the Performance of Establishment by Marketing Capability (창업자 특성이 마케팅 역량에 따른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Song, In-Am;Jeon, Gye-Sik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5 no.8
    • /
    • pp.59-68
    • /
    • 2017
  • This study is a study on the entrepreneurial characteristics of entrepreneurship by marketing competency.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entrepreneurs and their marketing competence, and examines the effects of these characteristics on entrepreneurial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show that the characteristics of entrepreneurs influence on entrepreneurship performance. Second, marketing competence affects entrepreneurial performance. Third, it is foun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entrepreneurs influence the entrepreneurial performance according to marketing competence. Therefore,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entrepreneurs and marketing competence affect the performance of entrepreneurship, an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entrepreneurs influence the entrepreneurship performance according to marketing competence. Therefore, It is significant to provide theory and implications.

The Effect of Marketing Characteristic on Business Performance (창업마케팅특성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 Jeon, In-oh;An, Un-Seok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1 no.3
    • /
    • pp.97-109
    • /
    • 2016
  • In Korea, the survival rate of start-up of 5-year after foundation is as low as 29.6% of the country. This low survival rate is from because of insufficient resources in start-ups compared to those of mid-sized companies. Therefore, the marketing characteristics of entrepreneurship has emerged as a major cause. Therefore, In this study, because learning orientation, marketing experience, competition orientation and etc are differently owned in start-ups, marketing impact to marketing strategy in start-up companies are differently investigated. Therefore, the relationship of learning orientation, marketing experience, competition Orientation with marketing strategies was examined. Based on this, Business performance was examined to suggest contents related to eco-system of start-up companies to representative of start-up companies. For this study, Survey was conducted for 250 start-up entrepreneurs within 3 and half year since foundation from Nov. 20 to Dec. 20, 2015. In result of data-cleaning, 207 meaningful samples were gathered. Based on these, conclusion was obtained. Using SPSS 20.0 statistical program,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in the impact of marketing environment of Phase 1 start-up companies on marketing strategy, product strategy, distribution strategy and promotion strategy were positively affected by learning orientation, marketing experience and competition orientation. Second, in the effect of 2nd phase marketing strategy to business performance, the financial performance and the non-financial performance. Were positively affected by product strategy, distribution strategy and promotion strategies. Third, The effect of learning orientation, marketing experience and competition orientation to financial performance was positively mediated by product strategy and distribution strategy among 3rd phase meditation strategies. the effect of learning orientation, marketing experience and competition orientation to non-financial performance was positively mediated by products strategy. In comprehensive summary, in order to increase business performance in start-up companies, marketing strategy should be applied in. Especially, the role of learning orientation and marketing experience is vital. In increasement of business performance to characteristics of star up marketing, financial performance can be increased by product strategy and distribution strategy. And, both of financial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can be increased by product strategy. Therefore, in conducting of marketing characteristics of start-up, to increase business performance, the apply of marketing strategy to marketing characteristics of start-up should be required.

  • PDF

서비스업 소상공인 창업자의 배경적 특성과 기술 지향성이 재무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 검색엔진최적화와 온라인마케팅 채널 운영을 조절변수로

  • Choe, Taek-Hu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8.11a
    • /
    • pp.97-101
    • /
    • 2018
  • 우리나라 폐업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소상공인들은 서비스 또는 제품의 노출 부족으로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고 이는 높은 폐업율로 이어지고 있다.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은 소상공인들은 비용, 시간, 인력 등의 문제로 활발한 마케팅 활동을 펼치지 못하고, 지역적인 상권내에서 전통적인 오프라인 영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우리나라 검색 시장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네이버와 구글의 경우 소규모 사업자들이 적극적으로 온라인 마케팅을 펼칠수 있도록 자신들의 검색엔진최적화 가이드를 만들어서 제공하고 무료 교육도 실시하고 있으며, 각종 SNS 서비스 제공 회사들도 자사의 서비스 확대나 광고 수익을 올리기 위해 자세한 매뉴얼을 제공하고 있음에도 여전히 많은 소상공인들은 온라인 마케팅 채널 운영과 검색엔진최적화를 하지 못해 자신의 서비스나 상품을 잘 노출시키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서비스업 소상공인의 배경적 특성과 기술지향성이 온라인 마케팅 채널 운영과 검색 엔진 최적화라는 조절변수를 거쳐 경영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서비스업 소상공인들의 매출 증대를 위한 온라인 마케팅 확산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PDF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ial Competency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of SME Worker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tart-Up Efficacy and Start-Up Mentor (중소기업 종사자의 창업역량과 창업의도 간의 영향 관계: 창업효능감과 창업멘토링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 Oun Ju Lee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8 no.6
    • /
    • pp.201-214
    • /
    • 2023
  •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impact of individual entrepreneurial capabilities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targeting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 employees, and sought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entrepreneurial efficacy and entrepreneurial mentoring between entrepreneurial capabilities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The sub-variables of entrepreneurship competency were analyzed separately into creativity, problem solving, communication, and marketing. 368 questionnaires collected from employees at small and medium-sized manufacturing companies located across the country were used for empirical analysis. A parallel dual mediation model with no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arameters was used for empirical analysis using SPSS v26.0 and PROCESS macro v4.2.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among the start-up competencies, creativity, communication, and marketing were confirme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start-up efficacy. Second, among the start-up competencies, creativity, communication, and marketing were teste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start-up mentoring. Third, both startup efficacy and startup mentoring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startup intention. Fourth, among start-up capabilities, creativity and marketing were confirme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start-up intention. Fifth, startup efficacy and startup mentoring were found to have a mediating effect on startup intention except for problem solving among startup competencie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in order to strengthen the intention to start a business among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 employees, start-up efficacy and start-up mentoring are important factors, and that marketing and creativity have an important influence among individual start-up capabilities, so education and prior preparation for these are necessary. As follow-up research, it will be necessary to apply multivariate models, analyze time series data, research considering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and test the difference between start-up capabilities and performance considering detailed population characteristics.

  • PDF

블로그, 키워드검색광고, SNS채널 운영이 온라인쇼핑몰의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소비자 개인특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Kim, Min-Gap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8.11a
    • /
    • pp.93-96
    • /
    • 2018
  •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자영업 폐업률은 전년 대비 10.2% 포인트 높은 87.9%를 기록했다. 자영업 4개 업종인 도소매업, 음식, 숙박업은 지난해 48만 3985개가 새로 생겼으며 반면 42만 5203개가 문을 닫았다. 2018년 8월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전년 동월 대비 19.6% 증가했고, 모바일쇼핑 거래액도 모바일 이용 확산과 간편 결제 서비스 발전 등에 힘입어 전년 동월 대비 29.7% 증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소매업인 온라인 쇼핑몰은 매년 20%대의 성장률을 보이고 있는 점에 주목해서 온라인 쇼핑몰의 매출 성과와 연관이 있는 방문 의도에 미치는 변수를 연구하고자 한다. 해마다 판매자가 증가하고 있는 온라인 쇼핑몰 업계는 치열한 경쟁과 늘어나는 마케팅 비용을 감당하지 못해 폐업의 수순을 밟고 있는 경우가 많다. 온라인쇼핑 운영자들이 하고 있는 대표적인 마케팅 방법인 블로그, 키워드 검색광고, SNS 채널 마케팅이 온라인 쇼핑몰의 방문 의도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연구 조사하고자 한다. 특히 온라인 쇼핑몰에 방문하는 사람들의 개인적 특성인 충동구매 성향, 다양성 추구 성향, 자기조절 성향을 조절 변수로 하여 개인 성향에 따라 각 독립변수들과의 방문 의도 상관관계를 알아보려 한다. 독립변수들이 방문 의도와의 관계를 실증 분석하여 온라인쇼핑몰의 준비하는 예비창업자나 기창업자들에게 보다 지속적인 기업성장과 매출성과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PDF

디저트카페 물리적환경,선택속성,모바일쿠폰 특성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감성지능을 조절변수로

  • Kim, Hyeong-Nam;Park, U-Ji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8.11a
    • /
    • pp.85-92
    • /
    • 2018
  • 최근 커피 전문점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카페와 디저트의 결합 형태인 디저트카페가 활성화 되었으며,이 또한 치열한 경쟁상황에 놓여 있는 관계로 경쟁에서 보다 유리한 위치를 확보하기 위한 고객맞춤형 마케팅전략이 필요함으로 본 연구를 수행한다. 최근, 연구방향이 디저트카페의 서비스품질, 브랜드이미지, 물리적환경 및 선택속성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고객의 감성 지능과 연계한 연구는 없었던 관계로 본 연구에서는 고객의 감성지능과 연관된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또한,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모바일쿠폰이 매우 활성화 되어 있음으로 디저트카페의 환경과 모바일쿠폰의 특성이 어떠한 영향관계를 보이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디저트카페의 물리적환경(심미성,공간효율성,청결성,쾌적성,편의성),선택속성(서비스,맛과향,가격,다양성,독창성),모바일쿠폰(획득용이성,사용편의성,유희성,경제성)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다. 또한 고객의 감성지능이 조절효과로서 각각의 요인들에 대하여 고객만족도에 어떠한 관계를 가지게 되는지 살펴보며, 본 연구를 통하여 기존의 마케팅전략에서 고객의 감성지능 맞춤형 마케팅전략을 구사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이고 목표를 명확화 함으로써 마케팅 비용과 노력을 줄이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 PDF

창업가의 경험적 특성과 사업성과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 Hwang, In-Gyu;Lee, U-Ji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7.04a
    • /
    • pp.33-33
    • /
    • 2017
  • 최근 세계경제의 중장기적 불황과 성장률의 하락을 경험하고 있는 가운데, 새로운 상품이나 서비스를 탄생시키고 생산방식의 변화와 혁신을 통해 경제적 효율성을 높이는 창업에의 관심이 날로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분위기에서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의 창업은 한 국가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다는 것을 모두 공감하고 있으며, 이러한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들이 생계형 창업을 넘어 기업의 성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지속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 역시 창업가들의 경험적 특성과 사업성과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여 중소기업들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변수를 분석 하는데 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창업자의 개인적인 특성 중 사업성공에 필요한 경험적 특성을 중점적으로 고려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창업자가 사업성공을 위해 가져야 할 특성에는 창업자의 배경적 특성(학력, 창업관련 강좌 수강, 가족이나 지인의 주변창업, 창업자의 과거 창업경험 등) 창업자의 심리적 특성(성취욕구, 위험감수성향, 모호함에 대한 인내력), 창업자의 관리적 역량(창업자의 관리적 능력, 기업가적 능력, 기술적-기능적 능력) 창업자의 전략적 성향(제품-서비스 혁신 차별화 전략 성향, 마케팅 차별화 전략 성향, 비용 우위 전략 성향)이 있다. 이러한 다양한 변수들 중 창업가의 배경적 특성에 속하고 있는 개인의 경험적 특성이 사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중점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 PDF

Influence of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Background Characteristics on Entrepreneurship and Perceived Business Performance in Entrepreneurs as Independent Business Owners of Network Marketing (네트워크 마케팅 독립사업자 창업가의 개인 특성, 배경 특성이 기업가정신과 인지된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Yoon, Hae Sook;Song, In Bang;Kim, Yeon Jong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3 no.4
    • /
    • pp.233-244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awareness of network marketing business in South Korea, which takes a quite negative view of network marketing, to raise awareness of "starting up a business" as independent business owners, to assist them in building their own subjecthood in network business and entrepreneurial identity, and ultimately to give some suggestions on how to improve their self-directed entrepreneurial competency and the quality of their business management. To make an empirical analysis of 121 independent business owners of Korean native network marketing, the personal and background variables of the entrepreneurs were selected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entrepreneurship was selected as a mediator variable. The selected dependent variables were financial and non-financial business performances.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by inputting the variable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It produced an effect of more financial performance when the innovation of the independent business owners of network marketing was better, and this innovation was possible to have only when they improved in entrepreneurial efficacy and locus of control. In contrast, only authenticity had an effect on boosting non-financial business performance among the factors of entrepreneurship. To have authenticity, it's necessary to strengthen achievement needs and awareness of locus of control among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he independent business owners of network marketing. Among the factors of entrepreneurship, there was better authenticity when their personal networks were broader among their background characteristics. In addition, self-efficacy that was one of personal characteristics made a direct contribution to the enhancement of non-financial performance. As a result, independent business owners of network marketing are required to hold a strong belief in their own business, to be active in business activities and to have a high efficacy as spontaneous principal agents, and they also are required to have more adventurous, planned, active and propulsive achievement needs that enable them to attain the goals of their business and keep moving forward. Besides, they should foster their locus-of-control competency that is to control, endure and be responsible for a variety of phenomena or incidents that they face, and there will be better financial performance or non-financial performance only when they demonstrate their self-belief and confidence and when they have faith in and conviction about themselves. For independent business owners of network marketing, a consumer-centered thinking that entails authenticity and trustworthiness and touches the hearts of customers is a more effective marketing strategy than an egocentric thinking as sellers when they approach customers. And they are expected to make progress in terms of the quality of business management when their business attachment or enthusiasm is great enough to match their own efficacy with entrepreneurial identity or strike a balance between them.

직장인의 Hybrid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Gang, Yeong-Cheol;Ha, Gyu-Su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1.04a
    • /
    • pp.131-136
    • /
    • 2021
  • 산업 패러다임과 트랜드의 변화 속에서도 저성장, 고령화는 뉴 노말 시대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각자도생이 필요하며, 결국 창업이 대세인 시대가 되었다. 성공적인 창업을 위해서는 많은 준비와 실패 노하우의 축적이 필요하나 실패를 용납하지 않는 우리 사회분위기상 이는 쉽지 않다. 조사에 따르면 창업 장애요인으로 '창업실패 및 재기에 대한 두려움', '창업 준비부터 성공까지의 생계유지'가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장애요인을 줄이는 방법으로 Hybrid창업을 제시할 수 있으나 국내 많은 기업이 직장인의 겸직을 제한하는 탓에 Hybrid창업이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고 관련 연구도 거의 없는 수준이다. 그러나 52시간 근무제로 직장인이 투잡(two-job)을 통한 수익창출 기회는 증가하였고, 고용불안과 은퇴이후를 고민하는 직장인들이 우회 창업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이러한 Hybrid창업 현상은 조기은퇴, 고령화의 영향으로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관련 연구를 축적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직장인의 Hybrid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탐색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직장인의 창업가 특성, 창업역량, 경력지향성과 Hybrid창업의도간의 관계와, 직장인의 조직불안 인식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 PDF

경기도 문화콘텐츠분야 창업보육센터 지원서비스가 입주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창업아이템의 사업타당성을 중심으로

  • Hong, Dae-Ung;Lee, Il-Ha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7.04a
    • /
    • pp.41-41
    • /
    • 2017
  • 연구에서는 기존의 업종구분 없이 창업보육센터의 서비스와 입주기업의 성과와의 상관관계 분석과 관련된 연구들을 문화콘텐츠 분야의 기업 관점에서도 유의미한지 재 검증해보고, 또한 문화콘텐츠 기업의 특성상 아이템의 사업성이 입주기업의 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검증하고자 한다. 그래서 문화콘텐츠 분야의 창업보육 시 필요한 서비스를 발굴하고 빠르게 변화하는 문화콘텐츠 시장의 성장에 따른 아이템의 사업성 평가에 따른 차별화된 창업보육 서비스를 통해 성과가 도출될 수 있도록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문화콘텐츠 분야의 창업보육시스템 구축의 중요성에 대해서 논의하고자 한다. 실증분석을 위하여 설문조사는 경기도 문화콘텐츠분야 창업보육센터 입주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설문 데이터의 실증분석 방법으로는 SmartPLS 2.0를 이용해 빈도분석(頻度分析), 신뢰도분석(信賴度分析), 그리고 구조모형을 통하여 가설검증을 실시하였다. 가설검증을 통해 분석한 결과를 다음과 같다. 첫째, 경기도 문화콘텐츠 분야 창업보육센터의 지원서비스 수준이 창업아이템의 사업타당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에서는, 공간 및 부대지원서비스, 경영지원서비스, 기술지원 서비스는 창업아이템의 사업타당성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적지원 서비스 및 마케팅 지원 서비스는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둘째, 경기도 문화콘텐츠 분야 창업보육센터의 지원서비스 수준이 입주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에서는, 공간 및 부대지원 서비스, 인적지원 서비스 및 마케팅지원 서비스는 입주기업의 재무적 성과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나, 경영지원 서비스, 기술지원 서비스는 입주기업의 재무적 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간 및 부대지원 서비스, 경영지원 서비스, 인적지원 서비스 및 마케팅지원 서비스는 입주기업의 비재무적 성과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나. 기술지원 서비스는 입주기업의 비재무적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기도 문화콘텐츠 분야 창업아이템의 사업타당성이 입주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미치는 것을 분석한 결과 창업아이템의 사업타당성이 입주기업의 성과(재무적,비재무적) 성과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