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창업교과과정

Search Result 44,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A Study for Curriculum Design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University (창업교육의 대학교과과정 설계 방향에 관한 연구)

  • Mok, Young-Du;Choi, Myeong-Gil;Chun, Min-Ju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9.05a
    • /
    • pp.178-181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창업교육을 하나의 사회 시스템으로 인식하고 고등학교 창업교육부터 대학 및 대학원의 창업교육, 예비 창업자들에 대한 일반 창업교육까지를 연계한 체계적인 창업교육의 설계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특히도 창업의 저변확대를 위해 가장 핵심적 영역인 대학 학부의 창업교과과정의 바람직한 설계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 창업교육에 대한 학자들의 관점, 국내대학 창업교육의 현황, 국내외 대학원의 창업교육 현황 등의 검토내용을 기반으로 대학 학부의 창업교과과정을 공통기초과정과 전공선택과정으로 나누어 설계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아울러 전공선택과정은 전공영역(major area)과 집중영역(concentration area)으로 나누어 설계할 것을 제언한다.

  • PDF

A Study on the Entrepreneurship Curriculum Development Model to Systemize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Entrepreneurial Graduate School (AHP를 활용한 창업대학원 교과목 선호도 평가요인별 중요도에 관한 연구: 창업대학원 재학생을 대상으로)

  • Lee, Il han;Kim, Hyun sook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1 no.6
    • /
    • pp.131-142
    • /
    • 2016
  • Since global circumstances have become competitive, entrepreneurship has been regarded as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economic revitalization not only in korea but also internationally. According to these changes, public entrepreneurship education has been started from the year of 2004 establishing Entrepreneurial Graduate School as a part of governmental plan. Although entrepreneurship education history is not long enough in korea, but the need for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social is now going ahead of the public education systems such as universities and graduate schools. Therefore, this study i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drawing the subject frame for systematized integration curriculum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through evaluating the importance of the subjects by Analytic Hierarchy Process analysis after being composed of 6 modularity in the Entrepreneurship subjects. This was structured based on studying the current status for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domestic universities and graduate schools. The research findings under the condition of Judgement consistency ratio 0.1 are as follows. The most important factors are in order as following; "Entrepreneurial Issues for Fund"(.242), "Entrepreneurship Plan"(.195), "Entrepreneurship & Entrepreneurship mindset"(.161), "Entrepreneurial Issues for Growth & Development"(.160), "Management Skill & Strategy"(.150), and "Special Entrepreneurship"(.093). Then, these findings also represent subfactors as well.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the practical guidelines where the curriculums needed for the entrepreneurship education at graduate schools by suggesting consistency for the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curriculum design. It was reflected the survey result from the graduate students taking the entrepreneurship subjects. Therefore, it will contribute the foundation of the present curriculum of Entrepreneurial Graduate School.

  • PDF

Development on Education Course for Entrepreneurship;in University and Graduate School(Case of Babson College) (대학의 창업교육 교과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Babson College 사례)

  • Cho, Kwon-Rae;Hong, Hyo-Seog;Yoon, Byung-Seop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 no.2
    • /
    • pp.67-100
    • /
    • 2006
  • The entrepreneurship education for promoting the entrepreneurship is(has been) rapidly proceeded in recent year. In spite of increasing importance of entrepreneurs for successful new venture creation, structured educational programs for entrepreneur development are very limited in Korea. This paper is to develop the new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universities and graduate schools. For this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the survey is designed to Babson College which is voted "The Entrepreneurship Education's Best College" by US News & World report thirteen years in a row. Program development model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dicates an entrepreneurship education model, a subject model and a curriculum model through the analysis of a syllabus, the interviews with students, a fieldwork. Based on these literature review was organized research papers, documentary records, small and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research data. And program designing and implementing stage was composed of analyzing each subject of plan and education training, interviewing with Babson College's students. And observing the field. In addition, the tool of analyzing was collected a course in entrepreneurship education, related matters, a learned society, a research institute at Babson College and some books on pedagogics.

  • PDF

Development on Education Course for Entrepreneurship;in University and Graduate School (Case of Babson College) (대학의 창업교육 교과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Babson College 사례)

  • Cho, Kwon-Rae;Hong, Hyo-Seog;Yoon, Byung-Seop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4a
    • /
    • pp.279-311
    • /
    • 2007
  • The entrepreneurship education for promoting the entrepreneurship is(has been) rapidly proceeded in recent year. In spite of increasing importance of entrepreneurs for successful new venture creation, structured educational programs for entrepreneur development are very limited in Korea. This paper is to develop the new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universities and graduate schools. For this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the survey is designed to Babson College which is voted "The Entrepreneurship Education's Best College" by US News & World report thirteen years in a row. Program development model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dicates an entrepreneurship education model, a subject model and a curriculum model through the analysis of a syllabus, the interviews with students, a fieldwork. Based on these literature review was organized research papers, documentary records, small and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research data. And program designing and implementing stage was composed of analyzing each subject of plan and education training, interviewing with Babson College's students. And observing the field. In addition, the tool of analyzing was collected a course in entrepreneurship education, related matters, a learned society, a research institute at Babson College and some books on pedagogics.

  • PDF

대학 창업교육과정 만족도가 기업가적 기민성, 기회인식,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 교육과정특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Han, Won-Hui;HwangBo, Yu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0.06a
    • /
    • pp.75-84
    • /
    • 2020
  • 2010년 이후 정부는 일자리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해 창업활성화를 국정과제로 내세우고 있다. 새로운 기회와 가치창출을 통한 창업활성화를 위해 창업의지는 필수적인 요소지만 창업의지를 높이기 위한 방법론 적에 대하여는 많은 연구들의 견해가 엇갈리고 있다. 본 연구는 창업활성화의 첫걸음으로 창업의지를 꼽았으며 창업의지를 가지기위한 선행조건으로 기업가적 기민성·기회인식 역량을 갖추어야 하며 이러한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현재 중점 추진되고 있는 정부주도의 대학 창업교육과정의 역할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창업교육과정별(교과과정 VS 비교과과정) 비교를 통해 향후 나아가야 할 창업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문헌연구와 이를 토대로 한 실증연구 결과는 대학 창업교육과정이 창업에 필수적인 창업의지를 키우기 위한 기업가적 기민성과 기회인식 역량을 증대 및 영향을 끼치는 것을 시사하며 교육 만족도에 따라 그 효과는 변화된다는 것을 보여 준다. 또한, 창업교과과정(학점) 보단 창업비교과과정이(비학점) 창업의지에 더욱 영향을 끼치는 것을 나타내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대학창업교육과정이 기업가적 기민성과 기회인식의 역량을 증대 시킬 수 있는 창업교육으로 커리큘럼을 수립해야 할 것이며 이론과정 보단 실습 위주의 교육으로 나아가야 한다는 방향성을 보여준다.

  • PDF

A Study on Curriculum Design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Undergraduate School (창업교육의 대학교과과정 설계방향에 관한 연구)

  • Mok, Young-Du;Choi, Myeong-Gil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1 no.1
    • /
    • pp.320-334
    • /
    • 2010
  • Due to the global economic crisis and jobless growth, the problem of employment is becoming an important social issue. Fostering potential entrepreneurs with systematic education can be an alternative for resolving the jobless growth problem. Therefore, this study presents entrepreneurship subjects which are needed for designing a curriculum of the systematic entrepreneurship education. This study develops a questionnaire based on prior researches, and executes the survey of two focused groups comprised with a group of researchers lecturing subjects related with entrepreneurship and a group of executing an entrepreneurship consulting. The result of the study can be applied to design and run the curriculum in the universities, which consider introducing stage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This study help a entrepreneurship department to bear the curriculum, and a direction of specialization.

A Study on the Convergence Entrepreneurship Curriculum Development (융·복합 창업교육 교과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 Kim, Heung-Su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3 no.5
    • /
    • pp.79-88
    • /
    • 2015
  • Creative economy has been characterized by ideas popularized commercialization. The commercialization of the idea is to develop a creative economy virtuous circle tool, entrepreneurship and start-ups for this serves as a key driver of the creative economy. Convergence, complex thinking and creative planning ability is always a lot from the 20s came a young man. So young age of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is easily capable of founding a new culture is created by the right products and services they lead the more outstanding talent in the way of entrepreneurship creates even young and energetic national economy. Such a wide range of system implementat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to complete the creative economy with ecology is also a very critical situation. The development of a systematic entrepreneurship curriculum that promote creative thinking and planning ability for creative convergence of economic times is a top priority. The present study considered that the early stages of convergence entrepreneurship program presents a convergence proces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through a process-oriented research based on statistics.

창업교육프로그램의 현황 및 개선방안;창업대학원 교과과정을 중심으로

  • Jeong, Jong-Seo;Min, Gyeong-Se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11a
    • /
    • pp.201-225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새로운 창업교육프로그램의 모델을 도출하여 창업대학원의 사례에 적용시켜 개선방안을 도출하는데 있다. 먼저 국내학자들이 창업교육에 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외학자들의 창업교육에 대한 관점을 이론적 배경으로 하였으며, 미국의 창업교육대학원과 일본의 창업교육대학원의 교육프로그램을 분석하여 새로운 창업교육프로그램의 모델을 도출하였다. 창업교육프로그램의 모델은 창업교육의 이론적 범위, 교육체계 및 실천적 모델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창업대학원의 사례에 적용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교육기관의 교육목적 및 교육대상에 따라 세부교과목은 변경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창업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과정에 대한 지침을 제공해 줄 수 있으며, 특정 목적에 합당하게 체계화된 교육의 교과과정을 개발하는데 적용시킬 수 있는 통찰력을 제공해 줄 수 있다.

  • PDF

대학의 창업교육체계 구축이 창업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 연구-K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 Kim, Byeong-Guk;Kim, Chang-Wa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7.04a
    • /
    • pp.39-39
    • /
    • 2017
  • 정부는 대학발 창업에 대한 기본계획을 확정하고 그동안 산재되어 있는 창업지원기능을 대학중심으로 전환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업가 정신을 확산하고 창업성과와 연계하기 위한 대학의 창업교육과정 및 창업지원체계 구축이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종단적으로 분석을 시도한다. K대학은 1998년 지역 내에서 가장 먼저 창업보육센터로 지정을 받았고 이후 2011년 창업선도대학, 2012년 LINC사업, 2013년 사관학교식 창업선도대학 및 2014년 글로벌창업대학원 지원사업 선정 등 각종 정부지원사업을 통해 창업인프라를 구축하여 왔다, K대학은 학부생,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창업수준 4단계, 기술분야별 교과과정 체계를 구축하였다. 또한 아이디어 도출부터 기업설립까지 창업 과정을 실질적으로 경험해 볼 수 있는 창업동아리와 이를 지원하는 비교과 프로그램과 창업친화형학사제도가 갖추어져 있다. 또한 창업 활동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대학 내에 산재한 창업지원기관을 통합하고 본부 조직화하였다. K대학은 이를 통해 창업교과 수강학생 수 및 창업동아리 수에서 2배 수준의 증가와 창업자 수는 2013년에 비해 7배의 성장을 이루었다. K대학의 창업교육과 창업지원체계 및 창업성과를 종단적으로 분석하여 대학에서의 창업시스템이 단계별로 구축될 필요성과 대학 내 구성원의 창업에 대한 인식전환과 성과도출까지 적응기간의 필요성을 도출하였다.

  • PDF

4차산업혁명전문대학원 설립방안 연구

  • Bae, Ho-Yeong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8.04a
    • /
    • pp.23-25
    • /
    • 2018
  • 본 연구는 우리나라가 글로벌 시장에서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주도하는데 필요한 4차 산업혁명 전문가 양성에 초점을 두고, 4차산업혁명전문대학원 설립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국내 타특수대학원인 창업대학원과 컨설팅대학원을 비교고찰하였고, 해외 타전문대학원인 일본 회계전문대학원과 일본 법학전문대학원을 비교고찰하였다. 그 결과, 4차 산업혁명 전문가 양성을 위하여 4차산업혁명전문대학원 설립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4차산업혁명전문대학원은 4차 산업혁명 전문가 양성을 위한 차별화되고 융합화된 교과과정으로 2~3년제 전문대학원 석박사과정으로 운영될 필요가 있다. 둘째, 4차산업혁명전문대학원은 전문석(박)사 학위과정이므로 교육의 내실화를 위하여 야간보다는 주간과정으로 운영될 필요가 있으며, 트랙제를 적극 활용하여 경영학, 회계학, 법학, 창업학, 공학 등 학제간 융합적 교과과정으로 설계되어야 한다. 또한 이론교육과 실무교육의 균형적 교과과정으로 실무교육이 전체 교육과정에 30% 이상이 되도록 해야 한다. 셋째, 4차산업혁명전문대학원은 정부(중소벤처기업부)의 전략적인 재정 지원이 필수적이며, 재정 지원과 함께 교육의 질에 대한 평가인증을 지속적으로 받아야 할 것이다. 또한 장기적으로는 중소벤처기업부의 창업대학원 및 컨설팅대학원이 4차산업혁명전문대학원으로 통합될 필요가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