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창업가의 개인특성

Search Result 67,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창업자의 특성이 창업기업의 비재무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창업팀 역량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Eom, Seung-Gwon;Hwang, Bo-Yu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9.04a
    • /
    • pp.167-170
    • /
    • 2019
  • 최근에는 거의 모든 분야에서 ICT와 같은 기술기반 산업과의 융합을 통한 창업현상이 두드러지고 있어, 이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개인 수준뿐만 아니라 팀 수준의 특성을 함께 살펴보는 것이 더 현실적인 상황을 반영하고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해 줄 것으로 판단된다. 팀창업일 경우 기업의 성과는 개인-팀 역량의 혼합 결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기존 선행연구에서는 창업기업의 성공과 실패를 가름하는 다양한 요인들을 제시해왔으나, 이러한 요인은 창업자의 개인적 특성, 보유하고 있는 자원 등에서 찾는 선행연구가 대부분이다. 관련 연구들을 종합하면 창업기업의 성장은 창업가 특성, 자원, 전략, 산업, 그리고 조직 구조 및 시스템의 함수로 정리된다. 그러나 창업팀에 대한 연구는 제한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초기 창업기업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요인으로 창업가의 특성인 창업역량(entrepreneurial competency)에 초점을 두고, 창업팀의 역량에 따라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살펴본다. 개인의 특성에 집중해온 기존 연구에서 더 나아가 창업역량의 영향력을 창업가 개인 수준 및 팀 수준으로 구분하여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예비 창업가 및 초기 창업기업이 안정적인 사업화를 위해 팀구성을 어떻게 해야하는지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정부 지자체 민간 등에서 창업지원사업 운영 시 팀구성이 잘 된 창업기업을 선발하는 기준을 수립하기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개인의 특성이 창업만족도와 성과에 미치는 영향: 성격 5요인을 중심으로

  • An, Seung-Gwon;Jeon, Hye-Ji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9.04a
    • /
    • pp.135-141
    • /
    • 2019
  • 신(新)산업 발굴 및 신(新)고용창출을 위한 대안으로 창업정책이 확대 및 확산되어 지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 속에서 창업의 성공을 높이기 위한 교육이나 연구가 계속 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직업을 선택하거나 새로이 창업을 하고 조직에서 각자의 역할을 진행하는 과정에 개개인이 타고나고 특성들에 대한 고민이 함께 되어야한다. 경제성장 및 정량적 고용창출의 목적을 넘어 창업가들이 직업적 가치를 위한 자아실현 관점에서 창업가 육성을 고민해야 할 시점이 될 것이다. 이러한 만족스러운 직업을 갖게 하는 것이 진정한 의미에서의 국가의 역할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창업가 육성에 관한 관점을 소유권과 시장보호 및 개척의 관점을 넘어 국민의 생애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창업교육과 정책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창업 시 만족도와 성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창업가의 개인적 특성 중 성격 5요인(BIG5)을 중심으로 기업가정신과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봄으로서 개인의 어떠한 특성이 주요하게 작용하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내 창업의 다수를 차지하고 있으면서도 어려움을 겪고 있는 소상공인 중 외식업, 의류업, 커피전문점, 미용업 등의 자영업자를 대상으로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를 통해 창업성과를 높이기 위해 성격 5요인이 모두 중요하게 작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개방성과 친화성을 바탕으로 만족도를 높은 창업자를 육성하고 외향성과 성실성을 높인다면 실질적인 재무성과로 연결시킨다면 창업의 성공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 창업교육과 정책 방향의 토대를 마련하기 위한 창업자 개인의 특성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시도되어야 할 것이다.

  • PDF

Impact Analysis of Coaching Activities over Entrepreneur with respect to Entrepreneurs' Personal Characteristics on the Performance of Startups: Focusing on Entrepreneurs's Awareness Conversion Effect (창업가 특성요인과 창업코칭활동이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의식전환을 매개로)

  • Jeon, Eunjee;Yang, Youngseok;Kim, Myungseuk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4 no.1
    • /
    • pp.47-58
    • /
    • 2019
  • This paper is brought to analyze an impact of coaching activities over entrepreneur with respect to entrepreneurs' personal characteristics on the performance of Startups focusing on entrepreneur's awareness conversion effect. In particular, the situation of falling focus of serious startup failure on uncoachable obstinate entrepreneur among the several causes of startup failures, this paper define the research mission of reducing this risk by inducing coaching types of cooperations between senior entrepreneur having serial successful startup experiences and beginning entrepreneur. This paper carry out literature reviews chiefly on startup coaching researches rather than mentoring studies because coaching stressing on self-oriented problem defining and solving by entrepreneur actively tend to be more effective than mentoring relying on mentor's guideline passively as solving startup's main upcoming problems. This paper implement four related researches. First, the impact analysis of entrepreneur's personal characteristics on coaching activities, second, influences of entrepreneurs environmental factors on them, Third, impact of coaching activities on entrepreneur's awareness conversion effect, Fourth, how strongly this conversion effect contributing on the performance of startup. As results of empirical research, first, this paper prove that entrepreneur's environmental factors impact positively on coaching activities over entrepreneur although failing on validating on significant impact of entrepreneur's personal characteristics on coaching activities. Second, this paper prove that coaching activities positively influence on entrepreneur's awareness conversion, hence ultimately positively on the performance of startups. As conclusion, this paper validate that coaching activities over entrepreneur through inducing on the conversion of entrepreneur's awareness lead entrepreneur to setting the bar high and accountable planning of business milestone. This paper contribute on delivering policy implication that government initiatin action-oriented training program for entrepreneurs should accept the module of coaching session to produce more effective results.

창업가의 경험적 특성과 사업성과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 Hwang, In-Gyu;Lee, U-Ji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7.04a
    • /
    • pp.33-33
    • /
    • 2017
  • 최근 세계경제의 중장기적 불황과 성장률의 하락을 경험하고 있는 가운데, 새로운 상품이나 서비스를 탄생시키고 생산방식의 변화와 혁신을 통해 경제적 효율성을 높이는 창업에의 관심이 날로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분위기에서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의 창업은 한 국가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다는 것을 모두 공감하고 있으며, 이러한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들이 생계형 창업을 넘어 기업의 성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지속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 역시 창업가들의 경험적 특성과 사업성과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여 중소기업들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변수를 분석 하는데 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창업자의 개인적인 특성 중 사업성공에 필요한 경험적 특성을 중점적으로 고려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창업자가 사업성공을 위해 가져야 할 특성에는 창업자의 배경적 특성(학력, 창업관련 강좌 수강, 가족이나 지인의 주변창업, 창업자의 과거 창업경험 등) 창업자의 심리적 특성(성취욕구, 위험감수성향, 모호함에 대한 인내력), 창업자의 관리적 역량(창업자의 관리적 능력, 기업가적 능력, 기술적-기능적 능력) 창업자의 전략적 성향(제품-서비스 혁신 차별화 전략 성향, 마케팅 차별화 전략 성향, 비용 우위 전략 성향)이 있다. 이러한 다양한 변수들 중 창업가의 배경적 특성에 속하고 있는 개인의 경험적 특성이 사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중점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 PDF

Effect of Entrepreneur's Characteristics on the Intention of Entrepreneruship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Entrepreneurship Mentoring in Korean- (창업가의 특성요인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국내 창업 멘토링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 Yook, Chang-Hwan;Jeon, In-Oh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4 no.10
    • /
    • pp.661-676
    • /
    • 2014
  • Due to current economic recessions, interest on entrepreneurship and/or business start-up is getting increased beyond sex and ages. Currently business start-up of university students and retirement to age limit in silver generation are getting increased day by day. As a part of preparation against those phenomenons, this investigation try to show the effect of characteristic factors of entrepreneurs on the will of business establishment In this study, in order to analyse effects on business establishment, survey was conducted for 328 pre and existed entrepreneurs. For collected datas,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via spss20 statistical program and lastly, through regression analysis,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At first, the will of business establishment was effected by personal characteristic and environmental factor. in second, the mentoring of business establishment was effected by personal characteristic and environmental factor In particular, the will of business establishment was controlled by mentoring of business establishment which was effected by environmental factor.

An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business start-up related personal characteristics variables and psychological factors on the satisfaction of business start-up (창업관련 개인적 특성변수와 심리적 요인들이 창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 Kim, Young-Bu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0 no.2
    • /
    • pp.180-189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entrepreneurial satisfaction of entrepreneur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entrepreneurial firms. For this purpose, we tried to derive the psychological factors besides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he entrepreneurs as the factors affecting the entrepreneurial satisfaction, which is the result of much research. Psychological factors were empirically analyzed by satisfaction with job and work environment through entrepreneurship, satisfaction with economic employment stability and income factors, and individual development potential, autonomy, and social reput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ample consists of entrepreneurs who have been engaged in entrepreneurship activity in Busan for 3 years. Through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hypotheses about entrepreneurship satisfaction were verified and meaningful results and implications could be derived. Based on this, it can be extended to include research on firm capacity variables such as financial indicators and technological power that were not reflected in this study in the future.

The Impact of Entrepreneurial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Social Entrepreneurship on Social Entrepreneurial Intention (창업자의 개인적 특성과 사회적기업가정신이 사회적기업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 Jo, Hyejung;Kim, Mi Ri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5 no.5
    • /
    • pp.157-174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social entrepreneurship on social entrepreneurship intention, and to determine whether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influenc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social entrepreneurship. In order to achieve these research objectives,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affecting social entrepreneurship were identified with moral obligation, self-efficacy, and emotional intelligence. Also, prior studies on social entrepreneurship and social enterprise entrepreneurship intention were reviewed. As a result of the study, we find that moral obligation, self-efficacy, and emotional intelligence all had a positive effect on social entrepreneurship. Second, social entrepreneurship had a positive effect on social enterprise entrepreneurship intentions. Third, analyzing the moderating effect of men and wome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social entrepreneurship,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value of the path coefficient represen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oral obligation and social entrepreneurship. However, there was no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emotional intelligence, and social entrepreneurship by gender. Therefore, this study is expected to serve as a reference for people who want to start a social enterprise in the future to verify their characteristics and use them as a way to improve their social entrepreneurship.

자기효능감, 창업기회인식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문화적 특성의 조절효과

  • ;;Marc H. Meyer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3.04a
    • /
    • pp.93-99
    • /
    • 2023
  • 경기 침체와 더불어 고용 불안, 그에 따른 사회의 혼란 속에서 국가의 성장 동력의 대안 중 하나로 창업 활성화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우리나라를 비롯한 많은 국가에서 창업 활성화를 중장기 목표로 설정하고 다방면으로 노력하고 있다. 이에 따라 창업의도를 높일 수 있는 요인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고, 특히 자기효능감과 창업기회인식 등의 개인적 역량 요소가 창업의도를 높인다는 연구 결과들이 지속적으로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창업의도를 높일 수 있는 자기효능감, 창업기회인식을 고취시키기 위해 학계의 연구활동 뿐 아니라 정부의 정책적 접근 또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창업교육 활성화부터 사회적 환경 조성을 위한 창업 롤모델 활용, 미디어를 통한 창업 활동 홍보 등 긍정적인 창업 경험을 공유하도록 하기 위한 연구 역시 계속되고 있다. 그러나 개인적 역량 요소와 사회적 환경 조성 외에 문화적 특성이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였다. 본 연구는 문화적 특성이 창업의도를 높일 수 있는 요인으로 개인적 역량 요소와 사회적 환경 조성과 함께 의미가 있을 것이라는 물음에서 시작하였다. 가설 검증을 위하여 SPSS 26버전을 활용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 하였고 GEM KOREA의 2017년 데이터를 분석하였으며, 자기효능감과 창업기회인식은 창업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기존 연구 동일한 결과가 나왔다. 본 연구의 특징은 문화적 특성을 집단주의와 관계주의로 구분하여 자기효능감, 창업기회인식과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는 것이다. 문화적 특성 중 집단주의 특성은 유의하지 않았으나 관계주의 특성이 유의하여 조절효과를 가진다는 결과를 얻어냈다. 이는 국가에 새로운 성장 동력이 필요한 상황에서 창업의도가 없거나 낮은 개인들도 관계주의 특성을 활용하여 창업의도를 높일 수 있다는 연구 결론으로 이어진다. 지금까지 알려진 바와 달리 한국은 집단주의 보다 관계주의가 강하기 때문에 관계주의 문화 특성을 고려하여 선배 창업가 또는 로컬 창업가들과의 관계를 만들고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정책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하지만 이미 설계된 GEM 데이터를 활용하였다는 점, 문화적 특성이 각기 다른 국가들과의 비교연구가 필요하다는 점 등은 본 연구의 한계라고 할 수 있다.

  • PDF

보건계열 대학생의 창업가 특성이 창업교육과 창업지원제도에 따라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 Lee, Gang-Im;Jeong, Hwa-Yeong;Kim, Myeong-Suk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7.11a
    • /
    • pp.109-112
    • /
    • 2017
  • 성공적인 창업을 위해서는 창업자 개인의 기본적인 역량뿐만 아니라 체계적인 창업교육과 학습을 통해 창업자가 되기 위한 필요역량을 습득해야 한다(최서윤, 2017). 대학생의 창업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분야를 전공하고 있는 대학생의 학문적 특성을 고려하고 그들의 전공 및 학문적 특성을 고려하여 창업교육 및 창업지원을 통해 대학생의 창업의지를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이우진 김진수 김용태, 2013). 창업의지는 창업에 대한 행위적 태도를 의미하며, 창업이라는 긴 과정의 첫 단계이고, 개인의 태도와 경험을 창업이라는 행동으로 매개하는 역할을 한다(윤방섭, 2004). 대학이 학생들에게 창업교육 및 창업공간, 멘토링, 컨설팅, 사업화를 위한 창업지원을 하고, 대학생들은 이러한 창업교육 및 창업지원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일수록 창업의지가 높아져 취업이 아닌 창업을 선택할 가능성이 높아질 것이다. 조사대상은 전국의 보건계열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이다. 자료수집 방법은 보건계열 재학 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이메일 설문지가 발송되었고, 자기보고식 작성방법에 따라 설문조사 되었다. 총735개의 설문지가 발송되었고 그 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설문을 제외한 총 675개의 설문을 최종 설문으로 사용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17년 10월 9일부터 2017년 10월 18일까지 10일간 이루어졌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2.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보건계열 대학생의 창업가 특성이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지, 창업교육과 창업지원제도는 기업과 특성과 창업의지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미치는지를 확인하였다. 보건계열대학생의 창업가 특성인 성취욕구, 자기효능감, 위험감수성 중 위험감수성만이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창업교육, 창업지원제도인 대학창업지원활동, 정부창업지원정책 중 창업가 특성과 창업의지 간의 관계에서 대학창업지원제도만 조절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창업자역량과 정부의 창업지원정책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멘토링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Kim, Yeong-Tae;Heo, Cheol-Mu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0.11a
    • /
    • pp.55-59
    • /
    • 2020
  • 정부는 고용 없는 성장이 이어지는 현재의 경제구조에서 국가 경제의 활력을 위한 실마리를 찾고자 한다.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고 기업 활동에 새로운 혁신을 도입하여 국가 경제의 성장과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으로 창업을 활성화하는 정책개발과 지원에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많은 국가들이 창업을 촉진하여 일자리를 제공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역시 창업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정부 차원에서 창업 지원정책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창업 활성화를 위해서는 창업을 기회로 인식하거나 지지하는 문화가 성숙하는 개인의 창업에 대한 인식 개선과 더불어 창업의지 함양 등이 필요하다. 이들 요인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개인적 특성, 심리적 특성, 기업가정신, 창업 교육, 멘토링, 창업지원 프로그램 등의 요인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 왔다. 이들 개별적인 요인들과 창업 의지와의 관계를 잘 확인하기 위해서 자기효능감, 위험감수성, 실패부담감, 환경적 요인 등을 확인하는 연구가 다수 시도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예비창업자의 창업의지에 미치는 창업지원정책과 창업가 역량을 중심으로 실증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또한 창업지원정책과 창업가 역량과 창업의지의 관계에서 멘토링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