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창구화

검색결과 106건 처리시간 0.02초

국내 지상파 방송 콘텐츠의 창구화 메커니즘 분석 (Mechanism of Windowing of Domestic Free TV Programs)

  • 이문행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8호
    • /
    • pp.190-197
    • /
    • 2009
  • 국내 지상파 방송사들은 제작사이면서 동시에 플랫폼이라는 특성 때문에 1차 창구로서의 광고 수익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자사 인터넷 다시보기 서비스와 계열 케이블 채널, 그리고 지상파 DMB 수익도 확보해야한다는 당면 과제를 안고 있다. 그러나 최근 들어 선행 창구인 지상파 방송사의 광고 수익이 감소하면서 후속 창구 유통에 대한 회의론까지 일고 있다. 이에 따라 선행 창구와 후속 창구간의 홀드백을 적절하게 유지하면서 유통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 창구화(windowing) 전략이 절실한 시점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지상파 방송 콘텐츠의 창구화 메커니즘을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 쟁점이 되는 이슈들과 함께 적절한 창구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지상파 방송 콘텐츠는 대개 1주일이내에 동시 다발적으로 유통되는 것으로 나타나 배급 주기가 매우 짧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창구화 전략으로는 창구 다각화를 통해 누적 수익을 극대화하는 방안과 함께 배급의 순차보다는 개별 창구의 수익성 규모에 중점을 두고 특정 창구로 유통을 집중화시키는 전략이 있다. 방송 콘텐츠의 속성상 생명주기가 짧고, 창구별 배급 기간 중복율도 높기 때문에 방송 콘텐츠를 대상으로 일관된 창구화 전략을 실현한다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따라서, 개별 콘텐츠와 각 창구의 특성이 고려된 적절한 창구화 전략이 그 어느 때보다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국내 지상파 방송 드라마의 창구화 차이에 대한 연구 (Determinants of Windowing: Case Study of Korean Television Drama)

  • 이문행;이현숙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34권
    • /
    • pp.98-131
    • /
    • 2006
  • 이 연구에서는 개별 드라마의 시청률과 주제 유형, 드라마 형식, 제작 주체 등의 특성에 따라 해외 판매 및 국내 케이블TV, 인터넷 VOD서비스, DVD 판매 여부에 어떠한 차이가 발생하는지 분석해 보고자 한다. 분석대상은 2000년에서 2004년 상반기까지 국내에서 제작되어 방송된 드라마이며, 연구방법으로는 각각의 프로그램 특성 요인과 개별 창구 유통간의 교차분석 방법을 채택하였으며, 시청률에 따른 창구별 유통에 대해서는 일원변량 분석을 추가적으로 실시하였다.

  • PDF

교섭창구단일화가 참여.협력적 노사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분석 (Empirical Study on Effects of Single Party Bargaining System on Cooperative and Participative Labour Relatios)

  • 김정원;권종욱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0권1호
    • /
    • pp.129-158
    • /
    • 2011
  • 조직경쟁력의 강화가 한국경제와 사회의 경쟁력 제고를 의미하는 것이라고 할 때, 이는 무엇보다도 조직구성원들의 자발적 참여와 협력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보다 본질적으로 노동의 인간화를 촉진하기 위한 핵심적 과제로서 참여적 협력적 노사관계가 인식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한 잠재적 방안은 교섭창구단일화와 같은 단체교섭의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관리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이원화되고 복수의 교원노조 체제로 구성된 교직단체에서 보다 합리적인 교섭구조를 마련하기 위한 방안으로서의 교섭창구단일화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이루어졌다. 연구결과를 보면, 우선 교섭창구단일화에서의 자주성의 보장과 교섭창구단일화에서의 대표성의 인정 및 교섭창구단일화에서의 필요성의 인지는 모두 참여 협력적 노사관계 형성에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비록 교직단체별 유형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참여 협력적 노사관계 형성에 관련해서 공통적 수준과 의미가 더 많음을 보여주었다. 이와 함께, 교직단체별 유형의 조절효과의 유의성은 없지만 노사관계의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모든 교직단체들에게 대표성의 인정이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 PDF

영업보고 프로세스의 개선 (Reengineering on reporting system)

  • 이순철;천정락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경영과학회 1996년도 추계학술대회발표논문집; 고려대학교, 서울; 26 Oct. 1996
    • /
    • pp.65-68
    • /
    • 1996
  • 은행 영업점 직원은 창구고객을 응대하는 것이 주업무이나 그 밖의 부수적인 업무에도 많은 시간을 할애하고 있다. 고객의 금전을 취급하는 특성으로 매일 시재의 검사와, 일일결산을 위하여 일일 항목별 보고서를 출력해서 결제를 받아야 하고 주기적으로 본부 부서에 보고서를 작성해서 보내야 한다. 그러나 보고서 관련 업무의 비중이 높아지면 영업점직원의 업무 부담이 과중해서 창구 응대에 소홀해질 우려가 있다. 이에 따라 보고업무의 능률화, 보고 경로의 개선, 온라인 업무의 개발로 영업점 보고서 업무가 재구축되어 관리업무를 최소화하고 고객서비스 업무에 투여할 수 있는 시간을 증대시켜야 한다.

  • PDF

소매금융을 중심으로 한 은행 창구 프랜차이즈화 전략 (The Strategies of Francaise Business Model in Banking Services)

  • 한선호;이정규;우종필
    • 한국프랜차이즈경영연구
    • /
    • 제1권1호
    • /
    • pp.87-103
    • /
    • 2010
  • 요즘 시중의 은행들은 전국적으로 확산된 지점망으로 많은 고객에게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관련 분야의 높은 경쟁으로 인해 서비스의 양과 질은 향상됨은 물론 고객의 돈을 다루는 업종의 특성상 높은 신뢰도를 바탕으로 고객을 유치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발전에도 불구하고 소매금융을 주로 다루는 영업점에서의 은행창구 업무는 고객의 수요와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은행 창구의 문제점에 주목하고 은행 창구 업무를 프랜차이즈 사업으로 확대하여 은행과 가맹점간의 협력적 이익을 형성하여 영업점에 대한 영업비용의 절감을 추구하고, 점차 증가하는 고객 욕구에 대한 높은 수준의 만족을 제공하며,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제 3 금융권에 대한 소비자의 인색을 재정립하는 등 소비자의 바람직한 금융문화 인식의 향상에 기여하고자 다음과 같은 제안을 하였다. 본 제안을 통해 은행본사와 가맹점간의 상호 협력으로 은행은 창구에 대한 영업비용의 절감과 고객 서비스의 질 향상, 고객은 편리하고 신속한 금융 서비스를 제공받고, 소상인의 금융산업으로 진출의 기회, 서민층에 대한 제 3 금융권의 피해 축소 등 사회적인 이익도 고려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또한 은행은 창구의 영업비용을 여유자금으로 전환하여 사업 범위를 확장하거나 기존의 약점을 보완할 수 있고, 고객은 현재 소매금융의 한정적인 부분에 효율적인 요소를 가미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방송장비의 국산화 산업동향 (Industry Trend of Korean Broadcast Equipments)

  • 김영철;손성찬;이한범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6-17
    • /
    • 2013
  • 최근의 방송은 고화질, 고품질, 실감화 등으로 방송통신융합과 신규 서비스가 나오게 됨으로서 멀티플랫폼으로 발전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디지털 전환에 따른 방송장비의 진화로 장비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국내는 주로 방송장비산업체가 중소기업 위주로 이루어져 있어, 정부차원의 적극적인 지원과 국내 외의 표준화를 통한 국산 방송장비의 원천 기술 확보 및 방송사업자의 적극적인 활용을 통한 검증으로 경쟁력 강화가 함께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정부의 지원으로 기 개발된 장비는 개도국과 선진국으로 분류하여 차별화된 방송장비로 공략하고, 개도국에 중복된 지원을 단일 창구화하여 공략할 수 있도록 정부차원의 정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PDF

최신 영화 VOD 이용자의 선호도에 대한 컨조인트 분석 (The Conjoint Analysis of Users' Preference on the VODs of the Newly-released Movies)

  • 임정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191-198
    • /
    • 2013
  • 본 연구는 최신 영화의 VOD에 대한 이용자 선호도와 관련된 속성변인들의 중요도를 컨조인트 분석방법으로 분석했다. 그 결과는 요금(44.6%)이 최신영화 VOD 선택에서 가장 중요한 변인으로, 그 다음으로는 이용기기(24.5%), 최근성(18.0%), 생산국(12.9%)의 순으로 나타났다. 응답자들은 '최근성'에서는 현재 극장상영중인 영화가, '생산국'에서는 한국영화가, '요금'에서는 3,000원이, '이용기기'에서는 텔레비전이 가장 높은 효용을 준다고 답했다. 최근에 전통적인 창구화 전략과는 달리 홀드백이 무시되기도 하고 극장보다 높은 요금이 부과되기도 하는 VOD 시장이 등장했지만, 이용자들은 여전히 저렴한 요금에 민감하게 반응했고, 오히려 최근성을 상대적으로 덜 중요하게 고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