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착용형

Search Result 476,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A Study on Performance Evaluation for Electrocardiography Signal Measurement Electrode based on Conductive Fabric (전도성 섬유 기반 심전도 전극의 성능 평가에 관한 연구)

  • Kang, Bo Kyu;Yoo, Sun Kook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 /
    • v.50 no.2
    • /
    • pp.210-220
    • /
    • 2013
  • Recently, as we move toward a society with an increasingly aged population, wearable U-health devices in various shapes with smart wear have been developed in order to conveniently measure health variables without using hands in daily life or at home. However, the problem is that only supply of the wearable U-health devices is focused and its applicable devices are studied and developed, which has resulted in lack of awareness of importance of performance evaluation. In this study, two electrodes were fabricated using conductive fabric which can be used as electrode if attached to wearable U-health devices or smart wear in order to measure ECG signal. Two electrodes those were fabricated using conductive fabric were compared the correlation, impedance and CMRR with patch typed Ag-AgCl electrode-normally used for measurement of ECG signal, so that the study would find out if the fabricated electrode can be used with the wearable U-health devices by testing and evaluating performances.

Gaze Interaction Using Half Blink Selection and The Wearable AR System (반 깜박임 선택을 이용한 응시 상호작용과 착용형 AR 시스템)

  • Park, Hyung-Min;Lee, Jae-Young;Lee, Seok-Han;Choi, Jong-Soo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P
    • /
    • v.46 no.5
    • /
    • pp.91-100
    • /
    • 2009
  • In this paper, we propose a wearable augmented reality system using gaze interaction. Gaze interaction has been considered to be the potential of easy, natural and fast way of interaction and becomes a suitable way in optical see-through HMD based wearable AR. Our system recognizes user's gaze point, half blink motion and displays the information of object seen by user to HMD. Half blink selection technique avoids the Midas touch problem and represents user's intention correctly. We've developed a AR annotation system and estimated the usability of gaze interaction. The accuracy and robustness of our technique is verified on the experimental results.

Development of an EMG-based Wireless and Wearable Computer Interlace (근전도기반의 무선 착용형 컴퓨터 인터페이스 개발)

  • Han, Hyo-Nyoung;Choi, Chang-Mok;Lee, Yun-Joo;Ha, Sung-Do;Kim, Jung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2a
    • /
    • pp.240-244
    • /
    • 2008
  • This paper presents an EMG-based wireless and wearable computer interface. The wearable device contains 4 channel EMG sensors and is able to acquire EMG signals using signal processing. Obtained signals are transmitted to a host computer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EMG signals induced by the volitional movements are acquired from four sites in the lower limb to extract a user's intention and six classes of wrist movements are discriminated by employing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ANN). This interface could provide an aid to the limb disabled to directly access to computers and network environments without conventional computer interface such as a keyboard and a mouse.

  • PDF

Heel Trajectory Analysis Method of Walking using a Wearable Sensor (착용형 센서를 이용한 보행 뒤꿈치 궤적 분석 방법)

  • Hee-Chan Kim;Hyun-Jin Choi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8 no.4
    • /
    • pp.731-736
    • /
    • 2023
  • Walking is a periodic motion that contains specific phases and is a basic movement method for humans. Through gait analysis, various musculoskeletal health conditions can be identified. In this study, we propose a calf wearable sensor system that can perform gait analysis without space limitations. Using a ToF(: Time-of-Flight) sensor that measures distance and an IMU(: Inertial Measurement Unit) sensor that measures inclination the heel trajectory of walking was derived by proposed method. In case of abnormal gait with risk of fall, gait is evaluated by analyzing the change pattern of the heel trajectory.

Development of an electric kick-board helmet recognition system based on deep learning (딥러닝 기반의 전동킥보드 헬멧착용 인식시스템 개발)

  • Park, Joon-Ho;Hwang, Ji-Min;Go, Yu-Jeong;Kim, Se-Ha;Lee, Hyun-Se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01a
    • /
    • pp.281-282
    • /
    • 2022
  • 현재 전동 킥보드 헬멧 미착용으로 인한 사고가 끊임없이 야기되고 있다. 개인형 이동장치 이용자 수가 증가함에 따라 법 개정을 통하여 헬멧 착용이 의무 사항이지만 여전히 낮은 착용률을 나타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모든 공유 킥보드 회사에서 사용 가능한 딥러닝 기반의 전동킥보드 헬멧 착용 인식시스템을 제시한다. 타 공유 전동킥보드 회사 앱에서 본 논문의 결과물을 사용할 때는 사용자가 타사 앱에서 헬멧 인식 요청 시 자사 앱에서 헬멧 착용 여부를 인식하여 결과를 전송한다. 자사 앱 사용자는 인식 기록을 조회할 수 있고, 타사 관리자는 사용자의 정보를 조회 및 관리할 수 있다. 본 시스템을 통해 전동킥보드 이용 시 헬멧 착용을 장려하여 착용률 증가와 사고 시 인명피해 감소를 기대한다.

  • PDF

Implementation of Wearable 2-lead ECG Measurement System for Healthcare Monitoring during Daily Life (일상생활 중 모니터링이 가능한 착용형 2-Lead 심전도 계측 시스템의 구현)

  • Kim, Byung-Joo;Jeong, Do-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2.05a
    • /
    • pp.358-359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범용적인 건강 모니터링에 활용할 수 있는 생체신호인 심전도를 일반 가정 내에서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 중에서도 실시간으로 편리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초소형 저전력의 착용형 심전도 계측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이를 위하여 표준 12-lead법이 아닌 모바일 또는 휴대용 장치에 적합한 2-lead법을 사용하여 심전도 계측부를 구현하였고, 심전도 계측부를 베이스 노드로 하여 심전도 신호를 가정 내 또는 실외에서도 무선으로 전송 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먼저 가정 내에서는 저 전력 무선센서노드를 이용하여 심전도 신호를 실시간으로 PC에 전송하여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구현 하였고, 실외에서는 저전력 통신 방식인 Bluetooth 2.0을 사용하여 스마트폰으로 심전도 신호를 실시간으로 전송해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 PDF

응급 상황에서 휴대전원 공급을 위한 착용형 자가 발전기의 구현

  • Yeo, Jeong-Jin;Yang, Yun-Seok;Hong, Jeong-Pyo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4 no.6
    • /
    • pp.58-64
    • /
    • 2017
  • 공공안전을 위한 ICT 시스템에 있어서 응급 상황의 전력 지원은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특히 전력 인프라가 취약한 산악 지역 등 야외 환경에서 발생하는 안전 사고의 빈도를 고려하면, 공공 안전을 목적으로 하는 ICT 응용 기술은 비상시의 전력 공급을 반드시 염두에 두고 개발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고에서는 효과적인 에너지 변환 방법에 기반한 양질의 전력 생성과 더불어, 휴대성과 사용 편의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착용 형태의 동적 에너지 수확기를 제안하였다. 개발된 착용형 에너지 수확기의 프로토타입은 최대 3W, 평균 0.3W 수준의 양질의 출력이 가능하며, 무엇보다 사용자가 모바일 기기를 사용하는 데 불편함을 주지 않으면서 동시에 전기에너지 생성이 가능함을 입증하였다. 향후 연구를 통해 공공 안전의 여러 이슈에 대응 가능한 응급 상황 지원 기술로 개발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