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착색도

검색결과 754건 처리시간 0.032초

천연 및 합성 착색제의 첨가가 브로일러의 육성성적, 착색도 및 육색 변화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Dietary Natural and Synthetic figments on Growth Performances, Skin Pigmentation and Color Difference in Broiler Chicks)

  • 김창혁;김혜정;함영훈;이성기;이규호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35-40
    • /
    • 2003
  • 본 시험은 천연 및 합성 착색제의 첨가가 브로일러의 사양성적, 착색도 및 기계적인 색도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시험 기간중 이용된 사료는 단백질과 에너지를 동일한 수준으로 배합하였으며, 사료내 xanthophylls 함량은 약 8.54g/ton이었다. 본 시험에 이용한 브로일러는 총 450수로 10처리, 처리당 15수씩 3반복하였으며, 총 6주간 시험하였다. 시험 결과 증체량, 사료섭취량 및 사료효율은 천연 및 합성 착색제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착색제 첨가에 따른 폐사율은 착색제 첨가수준이 높을수록 낮았으며, 합성착색제보다 천연착색제가 우수하였다. 착색도 첨가에 따른 도체율, 복강지방 및 근위무게는 처리간 차이가 없었다. 정강이 피부의 착색도는 착색제 첨가수준이 증가할수록 높았으며(P<0.05), 합성착색제가 천연착색제보다 착색효율이 우수하였다. 정강이육과 피부에 있어서 기계적 색도는 착색도와 일정한 연관성이 없었다. 본 시험의 결과만으로 미루어 착색제 첨가는 육색에 대한 소비자들의 선호도를 감안한다면 첨가하는 것이 효율적이라고 판단된다.

산란계 사료에 천연 및 합성착색제 첨가가 산란성적, 난질, 난황의 지방산 농도에 미치는 영향

  • 김창혁;이성기;이규호
    • 한국가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가금학회 2002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 /
    • pp.113-115
    • /
    • 2002
  • 본 시험은 시판 착색제의 형태 및 혼합 수준에 따른 산란성적, 난황 착색도 및 난황 지방산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실험 1과 2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실험1과 실험2에서 사료섭취량, 산란율, 난중 및 사료효율은 착색제의 첨가에 따른 영향이 없었으며, 난질에 있어서도 난백고와 haugh unit은 착색제 첨가와 전혀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1에서 난황착색도가 Roche color fan 12∼13에 근접하기 위한 천연 red 착색제 첨가 수준은 25∼30ppm이었고, 합성 red 착색제는 15∼20ppm이었으며, 본 시험의 조건에서는 천연착색제보다 합성착색제의 착색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2에서 착색제 혼합에 따른 착색 효과는 천연 red 착색제를 첨가한 TM2구와 동일한 양의 합성 red 착색제를 첨가한 TM6구를 비교하였을 때, 천연 red 착색제 보다 합성 red 착색제의 착색효과가 우수하였다. 난황내 지방산 함량은 착색제 첨가로 인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 PDF

확산법칙을 이용한 착색렌즈에서의 농도분포와 확산깊이의 분석 (Analysis of Concentration Distribution and Diffusion Depth in Tinted Lenses Using the Law of Diffusion)

  • 최은정;이신의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403-408
    • /
    • 2011
  • 목적: 확산법칙을 이용하여 착색렌즈에서의 농도분포와 확산깊이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방법: Fick의 제2확산법칙을 바탕으로 유도된 이론적 맞춤곡선을 측정값에 맞춤한다. 결과: 맞춤곡선은 측정값과 매우 잘 일치하였으며, 그 결과로서 착색렌즈의 내부로 확산되어 들어간 단위면적당 착색용액의 질량과 착색시간 사이의 관계, 착색렌즈 내 착색염료에 대한 농도분포, 확산깊이 등을 평가할 수 있었다. 결론: 착색렌즈의 착색기전은 확산법칙으로 잘 설명될 수 있다.

산란계 사료에 천연 및 합성착색제 첨가가 산란성적, 난질 및 난황의 지방산 농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atural or Synthetic Pigment Supplementation on Egg Production, Egg Quality and Fatty Acid Contents in the Egg Yolk of Laying Hen)

  • 김창혁;이성기;이규호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71-278
    • /
    • 2002
  • 본 시험은 시판 착색제의 형태 및 혼합 수준에 따른 산란성적, 난황 착색도 및 난황 지방산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시험 1과 2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실험사료는 에너지와 단백질 수준이 동일하게 배합하였으며, 시험 1의 옥수수 0%사료는 xanthophylls 이 함유되지 않았으며, 시험2의 옥수수 54% 사료는 xanthophylls 수준이 19.34 ppm이었다. 시험 1에서 갈색산란계 480수는 각 처리당 60수씩 8처리로 구분하여 4주간 옥수수가 함유되지 않은 사료에 여러 수준의 천연 및 합성 착색제를 첨가하여 시험에 이용하였다. 시험 2에서는 갈색 산란계 600수를 각 처리당 60수씩 10처리로 구분하여 옥수수가 54%함유된 사료에 천연 및 합성 착색제를 혼합 첨가하여 4주간 시험하였다. 시험 1과 시험 2에서 사료섭취량, 산란율, 난중 및 사료효율은 착색제의 첨가에 따른 영향이 없었으며, 난질에 있어서도 난백고와 haugh unit은 착색제 첨가와 전혀 관련이 없는것으로 나타났다. 시험 1에서 난황 착색도가 Roche color fan 12∼13에 근접하기 위한 천연 적색착색제 첨가 수준은 25∼30 ppm이었고, 합성 red 착색제는 15∼20 ppm이었으며, 본 시험의 조건에서는 천연착색제보다 합성착색제의 착색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험 2에서 착색제 혼합에 따른 착색 효과는 천연 적색착색제를 첨가한 TM2구와 동일한 양의 합성 적색착색제를 첨가한 TM6구를 비교하였을 때, 천연 적색착색제보다 합성 적색착색제의 착색효과가 우수하였으나, 첨가 수준이 높은 TM3와 TM8를 비교하였을 때에는 천연 착색제의 착색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난황내 지방산 함량은 착색제 첨가로 인한 영향이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FS-338 액비의 엽면시용이 하우스 밀감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S-338 Foliar Spraying on the Fruit Quality of Satsuma Mandarin in the Plastic Film House)

  • 김용호;한승갑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1998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논문 발표요지
    • /
    • pp.140-147
    • /
    • 1998
  • 과육선숙 경향이 있는 온주밀감에서는 착색시에 수확을 하여 인공착색(북천, 1974)을 하는 경우도 있지만 시장가격이 높게 형성되는 시기에 수확이 집중되어 소비자나 시장관계자의 불평을 사는 일이 있다. 이러한 연유로 인해서 실제 재배에서는 착색저해나 착색지연 등의 제 요인을 제거(고교, 1965 : 송본, 1975)하는 것 이외에 오히려 적극적으로 착색촉진을 목적으로 한 비배관리나 착색촉진제 등(광뢰 등, 1970 : 암원, 1979 : 암원등, 1979)이 사용되어져 왔다. (중략)

  • PDF

다양한 색상의 착색렌즈와 치과용 팁의 청광차단율 비교의 융합적 연구 (Convergence study of comparison of blue light blocking rate between colored lenses of various colors and dental tips)

  • 이숙정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7호
    • /
    • pp.61-67
    • /
    • 2021
  • 일상생활과 치과 광중합 레진 충전 시에도 편리하게 청광에 의한 피해를 줄일 수 있도록 다양한 색들 중 청광차단에 효과가 있을 안경렌즈의 색깔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안경렌즈 착색기의 개별 용기에 오렌지, 브라운, 회색, 노랑, 빨강, 로사의 각 색깔 염료를 녹여 무착색안경렌즈 6개를 90도 온도에서 1시간 담궈 착색하였다. 착색된 안경렌즈와 광중합기용 팁의 청광투과율을 비교한 결과, 오렌지색 착색렌즈의 청광투과율이 0.82%로 청광 차단효과가 가장 우수하였다. 브라운과 회색 착색렌즈는 청광차단율이 우수하였으나 착색 농도가 짙어 렌즈를 통한 사물의 인지가 어려웠고, 노란색 착색렌즈는 농도가 팁과 비슷하게 착색될 경우 효과가 있을 것으로 나타났다. 로자색 착색렌즈는 청광 투과율이 15.10%로 다른 착색렌즈들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실험 연구 결과는 다양한 색상의 안경착색렌즈별 청광투과율을 인지하고 개개인에 맞는 청광차단렌즈의 색 선택 및 청광 유해자극 차단을 위해 노력하는 행동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착색렌즈의 농도와 색상에 따른 조절기능 변화 (The Change of Accommodative Functions by Difference Density and Color)

  • 장정운
    • 대한시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53-459
    • /
    • 2018
  • 목적 : 본 연구에서는 착색렌즈 농도와 색상에 따라 눈의 조절기능에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연구대상자는 폭주값이 정상, 안위이상과 색각이상, 안질환이 없으며, 안과관련 수술 경험이 없는 20대 남녀 대학생 31명을 대상으로 무착색렌즈와 50%, 80%로 농도로 착색된 gray, blue, brown렌즈를 착용하고 조절기능을 측정하였다. 조절기능검사는 조절력, 조절효율, 양성 음성 상대조절검사 및 조절래그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 본 연구 대상자들은 착색렌즈를 착용 하였을 때 조절력과 조절래그가증가하였으며, 음성상대조절력은 무착색렌즈 착용 시 보다 착색렌즈 착용하였을 때 양안, 단안, 좌안에서 증가하였다. 양성상대조절력은 blue 50%착용 시 크게 나타났다. 또한, 착색렌즈를 착용 하였을 때 조절용이성은 증가하였으나, 착색렌즈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조절용이성은 감소하였다. 결론 : 착색렌즈의 농도에 따라 조절기능의 변화가 나타나므로 착색렌즈 농도 및 색상 선택 시 작업거리, 착색렌즈 착용 환경 등을 고려하여 선택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에스렐과 Ca제제의 엽면살포에 의한 하우스 밀감의 착색촉진 효과 (Effects of Ethephon Mixed with Calcium Formulae Foliar Spray on the Peel Coloration of Satsuma Mandarin (Citrus unshiu Marc.) in the Plastic House.)

  • 김용호;한승갑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1999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논문발표요지
    • /
    • pp.39-42
    • /
    • 1999
  • 온주밀감중에서 극조생 계통은 과육은 선숙되어도 착색이 되지않은 상태에서 출하되거나 수확후 에스렐 처리에 의해서 인위적으로 착색시켜 출하됨으로서 상품성이 떨어지고 있다. 고온에 의해 착색이 지연되어 수확이 늦어지는 감귤에 있어서도 상품성을 높이려고하는 차원에서 착색촉진에 관해 여러 가지 시험이 진행되어 왔다. (중략)

  • PDF

에스렐과 탄산칼슘에 의한 하우스 밀감의 착색 촉진 (Ethephon mixed with Calcium Carbonate accelerate Coloration of Satuma mandarin (Citrus Unshiu Marc.) in the Plastic Film House)

  • 김용호;문영일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1998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논문 발표요지
    • /
    • pp.131-139
    • /
    • 1998
  • 여름철 고온기를 지나는 하우스 밀감은 착색이 되기 전에 과육이 선숙되는데, 일반적으로 착색은 고온에 의해 지연된다(Goldschmidt, 1988). 소비자들은 충분히 착색되지 않고 녹색을 띤 밀감은 성숙이 안된 것으로 생각하고 있기 때문에 수확 후 에테폰 처리에 의해 착색을 촉진시키고 있으나(Jimenez-Cuesta 등, 1983) 과경부의 꼭지가 쉽게 건조되고 짙은 오렌지색으로 발색되지 않고 연한 노란 색으로 되어 상품성이 높지 못하다. (중략)

  • PDF

아스팔트 포장의 착색제 및 착색공법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a Coloring Method for Asphalt Pavement)

  • 박성기;박창우;편준범;천승한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10년도 정기 학술발표대회
    • /
    • pp.47.1-47.1
    • /
    • 2010
  • 도로의 기능은 사람이나 물품을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신속하게 이동하기 위한 통로로 이용되어져 왔으며, 이로 인하여 도로이용자들은 도로의 기능적인 측면, 즉 내구성 및 공용성이 중시되어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삶의 질의 향상으로 인해 기능적인 편리뿐만 아니라 도로에서도 심미적인 고려의 필요성이 제기되어왔다. 따라서 도로연구자들은 다양한 방법 등으로 경관포장 연구를 추진하였으며, 이의 결과물로 칼라블록, 칼라아스팔트포장 등의 경관포장재의 개발이 이루어졌다. 하지만 기존 기술 등은 표현 및 내구성의 한계로 인하여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에서는 새로운 착색기초재 및 이를 활용한 착색포장공법을 소개하고자하며, 이를 통해 새로운 경관포장공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