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차세대 통합망

Search Result 156,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IMS 기반의 차세대 네트워크 컨버젼스를 위한 서비스 제어 기술

  • Jo, Gi-Seong;Kim, Hwa-Suk;Kim, Dong-Hwi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4 no.12
    • /
    • pp.39-46
    • /
    • 2007
  • 초기에 3세대 이동통신망의 IP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해 개발된 IMS는 현재 All IP 기반의 차세대 통신 환경에서 새로운 서비스의 제공과 유 무선 망의 통합 제어 플랫폼으로 자리잡고 있다. 본고에서는 3GPP에서 이동통신망의 제어를 위해 개발되고, TISPAN의 NGN에 의해 유선망에 적용될 수 있도록 수정 보완 되었으며, ITU-T NGN 구조에도 반영되어 IP 기반의 유무선 통합망에서의 표준 플랫폼이 된IMS의 기술동향을 살펴보고, IMS 망을 이용하여 유 무선 통합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통신 방송 융 복합 서비스를 제어하기 위한 통합제어 기술에 대해 기술한다.

Standardizations on IP Mobility Management for Future FMC Network (차세대 유무선통합망에서의 IP 이동성 기술 표준화 동향)

  • Jung, H.Y.;Park, W.G.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4 no.3
    • /
    • pp.13-23
    • /
    • 2009
  • 유선통신망과 이동통신망은 그 동안 개별적으로 발전되어 왔으나 망 운영자의 강한 요구에 따라 차세대 유무선통합망으로 발전하고 있다. 차세대 유무선통합망은 IP 기반의 All-IP 망으로서 사용자는 다양한 액세스 망을 통하여 자유롭게 접속하며, 무선 액세스의 활성화로 고정 사용자보다는 이동 사용자가 주가 되는 망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망 환경에서 가장 중요한 요구사항 중의 하나가 다양한 액세스망 간을 이동하는 사용자에 대한 심리스한 서비스 제공이다. 이러한 다양한 이기종 액세스망 간의 이동은 기본적으로 IP 이동성 지원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최근 IP 이동성 지원 기술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따라서 IP 기술의 대표적인 기관인 IETF 뿐만 아니라 유선통신망과 이동통신망의 대표적인 표준화 기관인 ITU-T, 3GPP에서도 관련 표준화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은 IP 이동성 지원 기술에 대하여 주요 표준화 기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표준화 동향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대응방안에 대하여 논한다.

차세대 통신망의 상호운용성 시험 동향

  • 최영일;박유미;임종철;이병선
    • The Magazine of the IEIE
    • /
    • v.31 no.7
    • /
    • pp.43-57
    • /
    • 2004
  • 통신, 방송, 인터넷이 융합된 품질보장형 광대역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언제, 어디서나 끊김없이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차세대 통신망에 대한 구축이 광대역 통합망 (Broadband convergence Network : BcN) 이라는 국가적인 프로젝트로 구체화되고 있다. 광대역 통합망에서는 차세대 통신망에 대한 기본적인 요구사항으로 제시되고 있는 구조, 즉 서비스 계층을 제어 및 전송 계층으로부터 분리하며, 이들 계층간에 표준화된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통신망 하부구조에 독립적으로 새로운 통신 서비스를 생성 및 관리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도록 추진되고 있다. (중략)

  • PDF

Design of Integrated Address Analysis Mechanism for the Next-Generation Integrated Network (차세대 통합 망을 위한 통합형 주소분석 메커니즘 설계)

  • 신현순;조기성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TC
    • /
    • v.41 no.11
    • /
    • pp.39-45
    • /
    • 2004
  • This paper proposes an algorithm of address analysis for the next-generation networks. That is, we present integrated address analysis of the Numbering Plans of public telecommunication networks such as those of the ATM network. The purpose of implementing software for integrated address analysis is to actively and flexibly cope with a large change of information while operating the system and the network. By designing and implementing a database structure and an address analysis algorithm, interworking is possible among part (local) networks that each have a different Addressing Plan within an integrated network. Proposed relational model database structure has effect that do to manage address information of complicated network efficiently. Also, apply in real environment and proved excellency through interworking test to verify mechanism that propose.

A Study on the Telecommunications Management Network for Power Utility (전력통신망 통합 관리방안 연구)

  • Park, Myung-Hye;Yoon, Jun-Cheol;Hyun, Duck-Hwa;Kim, Won-Tae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4.07d
    • /
    • pp.2571-2573
    • /
    • 2004
  • 기존 망관리구조와 달리 차세대 망관리에서 요구되는 새로운 개념으로는 QoS관리, 망관리 분산화가 고려된다. 이에 핵심적 차세대 망관리구조의 핵심요소는 SLM(Service Level Management), TMN(Telecommunication Management Network)이다. 선진국을 중심으로 TMN 관리표준 업무처리 절차를 수립하여 이를 시스템화하여 솔루션으로 공급하고 있으나, 국내실정에 적합하지 않으며, 특히 전력분야에 적합한 전력통신망 통합관리를 위한 체계적인 표준 업무처리전차에 대한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전력 산업분야의 전력통신망 통합관리를 위한 표준절차의 부재로 기존 투자된 시스템의 효율성을 향상함에 있어 어려움을 가지고 있을 뿐 아니라 향후에 확장 도입되는 Management 솔루션에 있어서 불필요한 중복투자 가능성이 상존하고 있으므로 체계적이며 표준화돤 관리체계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전력통신 설비별로 운용중인 다수의 NMS 통합 및 유지관리용 전산설비와의 유기적인 결합을 통한 최적의 전력통신 망 종합관리체계 구축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전력연구원에서 수행하고 있는 연구과제와 관련하여 차세대 전력통신망 관리방안에 대해 기술하였다.

  • PDF

차세대 전기통신망 및 서비스 플랫포옴 구축방안 -지능망과 TMN-

  • 이병철
    • TTA Journal
    • /
    • s.37
    • /
    • pp.71-92
    • /
    • 1995
  • 통신망에 대한 고객의 요구는 음성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기간통신망은 독점을 유지하였으나, 통신 모드(비음성, 데이터, 화상 등)에 대한 고객의 요구가 다양해지고 통신망은 개방과 경쟁이라는 새로운 위치에 놓이게 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변화에 대처하기 위하여 전세계적으로 차세대 통신망 및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수행되어지고 있다. 이 가운데 가장 중요한 개념은 망요소(network element)를 기능화하고 서비스 빌딩블럭(generic service independent building block)의 집합에 의하여 다양한 미래 통신 서비스에 대한 유연하고(flexible), 일관성(uniform)있는 서비스 제공을 목표로 하는 지능망 구조(Intelligent Network Architecture)와 미래 통신망 및 서비스를 운용, 조절, 유지보수에 필요한 일련의 지원시스팀(support systems) 이상의 관리기능 영역을 제공하기 위한 ITU-T의 TMN(Telecommunication Management Network)이다. 본 연구는, 이 두 개념의 기본적 생각의 간결한 설명 후에, IN과 TMN의 공통점을 분석하고 일반적 통신망 환경에서 미래정보 네트워킹 구조를 위한 기초로써 제공되는 통합 망 및 서비스 관리에 대하여 가능한 통합분야를 명시할 것이다. 즉 지능망의 개념모형(INCM : In Conceptual Model)을 이용하여 TMN과의 상호 연계방안, 지능망 능력 증대 방안 그리고 ETSI 표준화 내용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지능망 사업 및 통신망 관리 운용 시스팀 구축을 통한 차세대 전기통신망 및 서비스 플랫포옴 구축방안 연구에 도움을 주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 PDF

Handoff Mechanism in Integrated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 Based on MCoA (이기종 무선 통합망에서의 MCoA 기반 핸드오프 방안)

  • Shin, Choong-Yong;Kim, Kwon-Taek;Cho, Jin-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7.05a
    • /
    • pp.1268-1269
    • /
    • 2007
  • 차세대 이동통신 네트워크는 3G 진화망, 차세대 무선랜, WiMAX/WiBro 등 다양한 무선 접속 기술이 All-IP 기반 핵심망에 연결되어 통합되는 형태로 발전하고 있으며 무선 접속 기술의 커버리지에 따라 이기종 무선망이 중첩되어 운영될 수 있으나, 이에 대한 사항은 고려되고 있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따라 4G 를 위한 차세대 네트워크와 현존하는 이기종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서비스 프레임워크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사용되는 MIPv4 를 기반으로 하는 이기종 무선서비스 프레임워크를 위한 Hand-off 상황에 따른 패킷손실을 최소화 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 PDF

신뢰성있는 차세대 네트워크 보안 시스템

  • 남택용;김숙연;이승민;지저훈;손승원
    • Review of KIISC
    • /
    • v.13 no.1
    • /
    • pp.1-12
    • /
    • 2003
  • 차세대 네트워크 보안 시스템(NG-NSS: Next Generation Network Security System)은 현재 네트워크 보안이 가지고 있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각 지역망에 대한 보호뿐만 아니라 공중망에 대한 총체적인 보호를 목표로 한다. 본 고에서는 신뢰성있는 차세대 네트워크 보안 시스템 (NG-NSS)을 정의하고 그 특성과 주요 기술을 제시한다. 신뢰성있는 차세대 네트워크 보안 시스템이란 공격, 취약성, 침입에도 불구하고 일정 수준 이상의 차세대 네트워크 보안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신뢰성있는 차세대 네트워크 보안 시스템은 자율적 보호, 자체 복원과 능동적인 대응 특성을 가지며, 네트워크의 보안성, 안정성, 견고성 및 생존성을 높이기 위하여, 시스템 및 네트워크 보안기술과 네트워킹 기술을 통합하여 제공. 한다. 이러한 신뢰성있는 차세대 네트워크 보안 시스템은 ISP(Internet Service Provider) 등과 같은 공중망이나 증권, 은행, 보험 업계의 전산망 뿐만 아니라, 국방망, 행정전산망과 같은 국가의 중요 네트워크에 적용되어 신뢰성있는 네트워크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A Configuration Design of Integrated Gateway System for Wireless-Internet Service in cdma2000 and W-CDMA (동기식/비동기식 IMT-2000 에서 무선인터넷 접속을 위한 통합 게이트웨이 시스템의 형상 설계)

  • Kim, Soon-Choul;Ryu, Jae-Hong;Ryu, Won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3.07a
    • /
    • pp.577-580
    • /
    • 2003
  • 최근 차세대통합네트워크(NGN), ALL-IP 망 진화 방향과 함께 동기식과 비동기식 IMT-2000 망의 통합(Convergence) 또는 연동(Harmonization)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으며, 이동통신 망의 개방화에 대한 분위기가 점차 무르익어 가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UMTS, cdma2000, WLAN 과 같은 서로 다른 방식의 무선 액세스 망으로부터 요구되는 무선인터넷 접속 요구를 하나의 통로로 연결하고 수용할 수 있는 모바일 액세스 통합 게이트웨이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차세대 네트워크 발전 방향과 이동통신 망 개방의 흐름에 맞추어 동기식 망과 비동기식 IMT-2000 망에서 동시에 무선인터넷 서비스 접속을 제공하는 통합 게이트웨이 시스템(A-MiDAS)을 개발하기 위한 형상 설계 방법과 시스템 개발 시 고려사항 등에 대해서 기술한다.

  • PDF

TA Study of Deployment Strategies and The Next Generation Convergence Networks Telecom Service Model (차세대 통합망의 텔레콤 서비스 모델 및 진화 방향에 대한 고찰)

  • 김동일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8 no.6
    • /
    • pp.1228-1233
    • /
    • 2004
  • Character of the technology that is going to lead the next generation convergence network which has been discussed recently can be represented by Integrating and Convergence. As Wireless Telecommunication and Broadband Transport Technology make rapid progress for several years, and those of two important technical advance, Integrating, Convergence will combine with the latest terminal technology. so it becomes a big issue of utmost importance. This paper, therefore, investigates the network deployment strategies and relating technology toward Broadband Convergence Network(BcN) and makes a survey of up-to-date technique based on Telecom Service businesses which have been requi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