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 통신망의 상호운용성 시험 동향

  • 최영일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통합망핵심기술연구그룹) ;
  • 박유미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통합망핵심기술연구그) ;
  • 임종철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통합망핵심기술연구그) ;
  • 이병선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통합망핵심기술연구그룹)
  • Published : 2004.07.01

Abstract

통신, 방송, 인터넷이 융합된 품질보장형 광대역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언제, 어디서나 끊김없이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차세대 통신망에 대한 구축이 광대역 통합망 (Broadband convergence Network : BcN) 이라는 국가적인 프로젝트로 구체화되고 있다. 광대역 통합망에서는 차세대 통신망에 대한 기본적인 요구사항으로 제시되고 있는 구조, 즉 서비스 계층을 제어 및 전송 계층으로부터 분리하며, 이들 계층간에 표준화된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통신망 하부구조에 독립적으로 새로운 통신 서비스를 생성 및 관리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도록 추진되고 있다. (중략)

Keywords

References

  1. ICACT 1999 Interoperability methodology and procedure Choe YoungHan(et al.)
  2. TTA 저널 v.82 ION 상호운용성 시험 성종진;류덕열;석동현
  3. ETSI ES 202 196-3 V1.1.1 Open Service Access (OSA); Appliction Programming Interface (API); Test Suite Structure and Test Purposes (TSS&TP)' Part 3: Framewoke Part 12: Charging SCF
  4. OSA/Parlay Interop Event 14-17 April 2003; Repport ETSI
  5. FOKUS Workshop-Attractive Market-Driven Mobile Applications FOKUS 3G beyond Testbed Services Magedanz;Thomas
  6. msf2003.013 GMI 2002 Summary MSF
  7. MSF GMI 2004 Technical Description MSF
  8. MSF-TR-SCN04.001-FINAL MSF GMI 2004 Physical Test Scenarios Paul Drew
  9. msf2004.068 MSF MGI2004 test network design Chris Gallon
  10. msf2004.065 The use of MPLS in an MSF PSTN quality VoIP network Chris Gallon
  11. msf2003.016 White paper draft for Session Border Controller Hikaru Seshake;Tokaho Shiba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