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집진효율

검색결과 207건 처리시간 0.032초

트리에틸아민 첨가에 따른 열병합발전소 전기집진장치의 집진효율 특성의 현장 평가 (Field Evaluation of Particulate Control Efficiency of Electrostatic Precipitator in Thermoelectric Power Plant Associated with Addition of Triethyl Amino(TEA))

  • 조완근;전옥상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45-449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실제 가동 장치에 연결된 전기집진장치의 제거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주입되는 트리에틸아민 주입 조건에 대한 실제 장치의 효능을 평가하는 것이다. 국내 발전소에서는 주로 호주, 중국, 남아프리카 및 미국에서 수입되는 비스무스 석탄을 이용하는데 비록 이러한 수입 석탄의 종류에 따라 발생되는 비산재의 전기저항도값이 다소 차이가 있지만, 석탄 연소시 배출되는 비산재의 대표적인 전기저항도값은 $1{\times}10^{12}\;{\Omega}-cm$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 때문에 국내 대부분의 적기집진기 가동시 백 코로나 문제가 빈번하게 나타난 것으로 확인되었다. 전기집진장치 출구에서 직접 측정된 분진의 농도, 매연도 및 분진의 전기저항도와 집진효율을 동시에 확인한 결과에 따르면, 트리메틸아민의 주입이 전기집진장치의 집진효율을 상당량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트리에틸아민 주입 전에 비산재의 전기저항도값이 $1.9{\times}10^{12}\;{\Omega}-cm$이던 것이 15 ppm(순도 99.7%) 주입시 비산재의 전기저항도값이 $2.1{\times}10^{11}\;{\Omega}-cm$으로 감소하였다. 이러한 조건에서 연돌에서 배출되는 분진의 배출량은 대략 80% 정도 감소율을 나타내며 농도 대비 $70\;mg/Sm^3$ to $14\;mg/Sm^3$수준이었다.

금속필터를 사용한 석탄가스화 분진 및 표준 분진의 집진 효율과 운전특성 (Dust Removal Efficiency and Operation Characteristics of Metal Filters for Coal Gasification Fines and Standard Dust Sample)

  • 윤용승;정석우;이승종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7권4호
    • /
    • pp.461-468
    • /
    • 2019
  • 석탄화력발전소에서 발생하는 분진 효율을 높이고 미세먼지와 극미세먼지까지 집진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상압 영역에서 운전되는 플랜트 발생 분진 제거를 위해서는 백필터나 전기집진기를 사용하나, 고온고압에서 운전되는 석탄가스화와 같은 경우는 금속필터나 세라믹필터가 사용된다. 고온고압에서 분진 집진을 위해 2종의 5겹 압착/소결한 금속필터를 제작하였고 이를 사용했을 때 분진 포집효율과 $10{\mu}m$ 이하 입자에 대한 포집 성능을 파악하였다. 석탄가스화 분진에 대한 금속필터의 집진효율은 무게기준으로 99%대에 달하였다. 제작한 금속필터 2종의 미세먼지 입자 이하(< $2.5{\mu}m$) 크기까지 집진성능을 파악하고자 JIS 분진 표준시료를 대상으로 실험을 수행하였고, $1{\sim}2.5{\mu}m$ 입자크기 범위에 대해 97%와 70~82%의 집진 성능을 확인하였다. $1{\mu}m$ 이하 입자크기 영역에서는 입자크기가 작아짐에 따라 제작한 금속필터의 집진효율이 급격히 낮아짐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1{\mu}m$ 이하 입자들에 대한 집진 제한점을 극복하고자 금속필터 성능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Compression Cake내에서의 입자 퇴적 양상에 대한 수치 해석적 연구 (A Numerical Study on the Particle Deposition Morphology in the Compression Cake)

  • 전기준;정용원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0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11-212
    • /
    • 2000
  • 여과집진기(fabric filter)는 높은 집진 효율로 인해 대형소각로를 포함한 환경시설의 집진 설비로 많이 적용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 pulse-jet형 여과집진기가 가장 많이 사용되는 추세이다 한편, 여과포 표면에 형성되는 dust cake의 퇴적성상(deposition morphology)은 여과집진기의 압력손실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는데, 일정 여과속도에서 dust cake의 압력손실이 상대적으로 큰 경우에는 탈진주기가 필연적으로 짧아지는 결과를 초래한다. (중략)

  • PDF

오일러리안 수치해석법을 이용한 전기집진기의 집진효율 예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ediction of Collection Efficiency of Electrostatic Precipitator Using Eulerian Numerical Analysis)

  • 박정호;전중환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D
    • /
    • pp.618-623
    • /
    • 2001
  • The transport of charged particles in electrostatic precipitator is investigated by Eulerian numerical analysis. Collection efficiencies are calculated using various combinations of the assumptions about flow field, turbulent diffusivity and boundary condition at collecting electrode. The characteristics of calculated collection efficiencies are compared with the trends of published experimental results. It is found that the collection efficiency for the case using nonuniform turbulent flow field, nonuniform turbulent diffusivity and zero concentration boundary condition at collecting electrode is the most suitable for the prediction of collection efficiency of electrostatic precipitator.

  • PDF

전기 집진기에서의 Submicron 입자의 집진 특성에 관한 연구-II. 집진 효율 특성 (A Study on the Collection Characteristics of Submicron Particles in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 II. Collection Efficiency Characteristics)

  • 김용진;여석준;유주식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13권7호
    • /
    • pp.579-587
    • /
    • 2001
  • This study investigates particle collection characteristics of a cylindrical electrostatic precipitator. Experimental work has been made for the submicron particles. The effects of polarity of discharge electrode wire, particle diameter, gas velocity, gas temperature, and specific corona power on the particle collection efficiency are investigated. The efficiency of negative corona is higher than that of positive corona. as the particle diameter increases, the efficiency is decreased when the diameter is in the range of 0.02-0.6 micron, but is increased for the nanometer particles with diameter smaller than 0.02 micron. The efficiency is increased with increase of specific corona power. As the gas temperature increases, overall collection efficiency is increased for a negative corona, but is deceased for a positive corona.

  • PDF

초소형 Lapple 사이클론 집진기의 수치적 성능평가 (Numerical Performance Evaluation of an Ultra-small Lapple Cyclone Separator)

  • 박수민;권재성
    • 한국가시화정보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90-95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numerically evaluate the collection performance of an ultra-small Lapple cyclone separator for 1~10 ㎛ particles introduced at flow rate of 10 L/min. The numerical evaluation reveals that a static pressure drop occurs more dominantly inside of the cyclone separator than at the inlet and the vortex finder. Also a fluid flow in the cyclone separator is confirmed to have a helical structure heading upward in the center of cyclone separator and downward in the vicinity of wall. The investigation on dust collection efficiency of the Lapple cyclone separator shows that particles of 4~8 ㎛ diameters are collected at very lower efficiency than other sizes. Then, the cut-point diameter of the cyclone separator is 1.48 ㎛.

변형구조의 싸이클론 집진기에서 분진의 집진 및 혼합특성 연구 (A Study for Collection and Mix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 a Modified Cyclone Particle Collector)

  • 강순국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485-492
    • /
    • 2013
  • 일반과 변형구조의 싸이클론에서 입자흐름의 체류시간분포 특성을 통해 선회강도, 난류성 에디, 벽면 바운싱에 의한 고체흐름의 역혼합과 2단 선회류 약화기의 직경이 집진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변형구조 싸이클론(S = 13, 15cm)에서 플라이애쉬의 집진효율이 일반 싸이클론보다 높게 나타났다. 변형구조의 싸이클론에서 집진효율은 2단 선회류 약화기의 직경(S)이 13cm에서 가장 높게 나타내었다. 글라스비드의 체류시간분포에 대한 분산과 평균 체류시간은 선회강도와 난류성 에디로 인해서 2단 선회류 약화기의 직경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변형구조의 싸이클론에서 고체 흐름의 역혼합은 기체 유입속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고 일반 싸이클론보다 높게 나타났다.

주물공장의 레이들용 고효율 이동형 집진장치 개발 (Development of a Movable Dust Collector with High Efficiency for Ladle in Foundry)

  • 홍준호;이상환
    • 한국주조공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16-25
    • /
    • 2021
  • 환경오염방지와 에너지 소비 절감에 대한 기술 개발의 요구는 이미 사회 전체의 문제가 되고 있고, 주물산업에서의 환경과 에너지 관련 기술 개발 또한 최근 중요한 문제로 부상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주조공정에서 발생하는 분진의 친환경적인 집진처리를 위한 분진 흡입 시스템을 개발하고 기존의 건옥식 고출력 설비의 집진 효율과 비교 및 검토하였다. 넓은 범위를 집진하는 건옥식 방식은 에너지 및 집진 효율이 떨어지고, 건물 높이에 따라 효과를 보지 못 할 수도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주물공장에서 발생하는 분진은 용해 후 출탕, 레이들 이송, 주입 공정까지 미세먼지의 발생원 위치가 연속적으로 바뀌기 때문에 효과적인 집진을 위한 국부적 범위의 이동식 집진장치의 개발이 요구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이동하는 분진원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크레인, 호이스트, 모노레일 등의 레이들 이송 장비에 집진 설비를 설치하고, 집진 특성을 평가하였다. 본 논문에서 개발한 이동형 집진 장치는 주물 생산 현장의 에너지 절감과 환경보호 측면에서 의의가 있으며, 타 산업 현장의 적용도 가능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사례기반 추론을 이용한 지능형 집진기 bag 제어 시스템 (Intelligent Dust Chamber Bag Control System using Case-Based Reasoning)

  • 김정숙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48-53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첨단 IT(Information Technology) 기술을 전통산업인 집진기에 융합한 지능형 원격 집진기 bag 제어 시스템을 이벤트 기반으로 개발하였다. 먼저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여 집진기 bag 상태 정보를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메시지 형식을 정의하였다. 그리고 집진기와 집진기 bag을 논리적으로 모델링하기 위해 자료형을 정의하였고, 이를 이용해 집진기와 집진기 bag을 XML과 객체지향 모델링 기법을 이용해 모델링하였다. 뿐만 아니라 집진기 bag의 교체시기를 정확하게 지능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사례들을 수집하여 XML로 표현하고, 그 사례를 기반으로 현재 집진기 bag 상태를 사례기반 추론 기법을 이용하여 추론한 후 집진기 bag의 교체시기를 관리자에게 실시간으로 제시하도록 개발하였다.

세라믹 필터 집진기의 신빙성 확보를 위한 Fail safety 필터 개발 (Development of Fail Safety Filter for Reliability of Dust Collector Using Ceramic Filter)

  • 최주홍;박영철;안정준;안인섭;배승열
    • 한국에너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에너지공학회 2000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79-82
    • /
    • 2000
  • 필터 집진기는 집진효율, 내열, 그리고 내화학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고온 정밀집진 또는 부식성 가스의 집진을 위하여 매우 유용한 장치이다. 그러나 세라믹이나 금속 필터를 사용하는 필터 집진기는 운전 시에 필터의 파손에 대한 잠정적인 우려가 있기 때문에 이를 극복하고 시스템의 신빙성을 100% 확보하는 것이 궁극적인 과제로 인식되고 있다. 고온 세라믹 필터의 활용이 가장주목시 되고있는 IGCC 집진의 경우 석탄가스화 및 탈황 과정에서 발생되는 분진을 고온고압에서 제거하여 가스터빈을 보호하는 공정으로써 운전중에 필터가 파손되면 그 부분으로 분진가스가 급격히 빠져나가 큰 분진 입자가 가스터빈으로 유입되고 심한 경우에는 파손된 필터의 파편이 여기에 동반될 수 있다.(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