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집락간격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4초

단속류 통행시간 추정을 위한 적정 집락간격 결정에 관한 통계적 방법론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Statistical Methodology to Determine the Optimal Aggregation Interval for Travel Time Estimation of the Interrupted Traffic Flow)

  • 임형석;이승환;이현재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09-123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지방부 간선도로에서 제공되는 단속류 구간통행시간 정보의 체계적인 수집 분석을 위해 현재 일부 국도에서 운영중인 차량번호판 매칭방식 AVI(자동차량인식장치 : Automated Vehicle Indentification)로부터 수집된 자료의 적합성분석 및 단속류 구간통행시간 자료의 적정집락간격(optimal aggregation interval)산정을 위한 통계적 결정방법을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차량번호판 매칭방식 AVI 수집자료는 통과위주의 대표차로상에서만 수집되기 때문에 차로간의 속도차가 크게 나타나는 단속류 구간에서는 전차로에 대한 통행시간 수집자료와 교통특성에 차이가 있으므로 현재의 차량번호판 매칭방식 ANI 표본수집 자료를 통해 산출된 구간통행기간을 구간의 대표값으로 적용하는 데에는 문제가 있어 이에 대한 추가적인 검토가 필요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그리고, 단속류 구간의 통행시간 정보제공을 위한 수집자료의 적정집락간격 결정방법으로 점추정과 구간추정방법을 적용하여 모형을 개발하고, 이 모형을 적용한 결과 점추정모형이 구간추정모형보다 집락간격결정에 민감하고 보다 정확한 적정집락간격 선정이 가능한 것으로 밝혀졌으며, 단속류 구간의 적정집락간격은 5분으로 산정되어 현재 적용되고 있는 단속류 구간 5분 집락간격은 적정한 것으로 판단된다.

지방부 간선도로 단속류 통행시간 추정을 위한 적정 집락간격 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ptimal Aggregation Interval for Travel Time Estimation on the Rural Arterial Interrupted Traffic flow)

  • 임형석;이승환;이현재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3권2호
    • /
    • pp.129-140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지방부 간선도로 단속류 구간(국도 42호선 양지$\~$용인구간 6km)의 통행시간정보에 관한 체계적인 수집 $\cdot$ 분석을 위해 현재 국도교통관리시스템(RTMS : Rural Trafc Management System)상에서 운영중인 차량 번호판 매칭방식 AVI 수집자료에 대한 신뢰성 검증 및 단속류 구간 통행시간 자료의 적정집락간격에 관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우선 AVI수집자료 신뢰성 검증을 위하여 번호판 매칭방식 AVI표본수집자료와 전수조사자료를 Kolmogorov-Smirnov 검증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AVI 자료는 통과위주의 대표차로상에서 수집되는 관계로 전차로에 대한 수집자료와 교통특성에 차이가 있어 현재의 번호판 매칭방식 AW 표본수집자료를 통해 산출된 구간통행시간을 구간의 대표값으로 적용하는 문제는 추가 검토가 필요하다. 그리고 적정집락간격을 산출하기 위하여 통계적 추정 개념인 점추정과 구간추정을 적용하여 모형을 개발하여 적용한 결과 점추정기법이 구간추정기법보다 집락간격결정에 민감하고, 보다 정확한 적정집락간격 선정이 가능한 것으로 밝혀졌으며, 적정집락간격은 5분으로 산정되어 현재 적용되고 있는 5분 집락간격은 적정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신생아 집중 치료실에 입원한 신생아에서 장내 세균에 의한 장관 집락화와 관련된 위험 인자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Gastrointestinal Tract Colonization by Enterobacteriaceae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Patients)

  • 김민지;정유진;홍유라;배일권
    • Neonatal Medicine
    • /
    • 제18권2호
    • /
    • pp.272-279
    • /
    • 2011
  • 목적: 최근 신생아 집중 치료실(neonatal intensive care unit, NICU)에 입원한 신생아들의 병원내 감염 중 그람 음성 간균(Gram negative bacilli, GNB)에 의한 패혈증이 증가하고 있다. NICU에서 정기적인 대변의 감시 배양을 통해 GNB에 의한 장관 집락화가 같은 균에 의한 패혈증으로 이행되는 지를 확인하고, 집락화된 GNB 병원균의 종류를 확인하며 집락화에 관여하는 위험인자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7년 10월부터 2008년 5월까지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입원한 86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환아에게 총 3회의 대변 채집을 계획하였는데, 출생 후 첫 대변과 2주 간격으로 2회 채집을 계획하였다. 장관의 GNB 집락화와 관련된 위험 인자들은 대상 환아들의 의무기록을 열람하거나 연관된 논문의 고찰을 통해 설정하였다. 결과: 86명의 환아 중 22명(25.6%)이 GNB에 의한 장관 집락화가 있었으나 이 환아들을 퇴원까지 추적하였을 때 GNB로 인한 패혈증은 없었다. Pseudomonas aeruginosa, Enterobcter cloacae, Citrobacter freundii가 가장 많이 분리되었다. 분리된 GNB 중 약 89% (32/36)는 amikacin에 감수성이 있었다. GNB 에 의한 장관 집락화의 가능성은 집락화 당시 수유량이 적을 때 증가한 반면, 첫 수유 시기가 지연될 때 그 가능성은 감소하였다. 결론: 저자들은 NICU에 입원한 신생아에서 장관 감시배양을 통해 장관에 집락화된 GNB를 확인하였으나 연구에 포함된 환아에서 GNB에 의한 패혈증이 발생하지 않았으므로 집락화가 패혈증으로 이행되는 지를 확인할 수는 없었다. 집락화시 적은 수유량(feeding volume at colonization day)이 집락화의 위험요인이었으므로 장관 영양의 진행이 원활하지 않을 경우 장관의 GNB 집락화 가능성을 고려해야 한다.

불연속면의 확률절리망 알고리즘의 개발 (Development of Random fracture network for discontinuity plane)

  • 고왕경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11권2호
    • /
    • pp.189-199
    • /
    • 2000
  • 불연속면의 분석은 방향성 데이터로서 적은 표본을 가지고 암반의 전체를 추론해야 하는 문제를 갖고 있다. 실험실에서 분석된 표본은 시추공에 의하여 분석된 데이터이므로 그 크기가 제한되어 있어, 거대한 암석을 분석하는 것은 대단히 어렵다. 따라서 이런 표본을 이용하여 거대한 암석의 대표 방향성, 집락 정도, 불연속면의 간격, 암석의 크기를 결정하는 연장성에 관하여 가정된 분포 하에서 계산하고, 이를 이용하여 암석의 분포형태를 관찰할 수 있는 확률 절리망을 그리는 알고리즘을 연구한다. 그리고 실제 불연속면 데이터를 적용하여 이들을 구하고 확률절리망을 작성한다.

  • PDF

일개 병원 신생아실 근무 의료인에서 시행한 비강 내 MRSA 집락의 특성 및 전파예방에 관한 보고 (Characteristics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Nasal Colonization Among Neonatal Unit Staff and Infection Control Measures)

  • 김동환;김선미;박지영;조은영;최창희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6권2호
    • /
    • pp.131-141
    • /
    • 2009
  • 목 적: 본 연구는 2명의 정상 신생아에서 다제 감수성을 보이는 MRSA 균주에 의한 피부 고름집이 연속적으로 발생하여 병원 내 신생아실 근무 의료인을 대상으로 MRSA 집락의 특성, 그리고 전파 예방에 대해 알고자 시행하였다. 방 법: 2007년 2월부터 2008년 10월까지 삼육서울병원 신생아실에 근무하는 의료인과 신생아실 물품들을 대상으로 2-4개월 간격으로 의료인 10명의 비강과 손에서 총 7회(비강 45례, 손 44례)에 걸쳐 세균배양 검사 및 항생제 감수성 검사, 신생아실 내 물품을 대상으로 총 8회의 세균배양 검사 그리고 4개월 간격으로 총 6회의 낙하균 검사를 시행하였다. 비강 세균배양 검사에서 MRSA 균주가 동정되었을 경우, 탈집락 요법으로 7일간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80 mg/400 mg twice daily) 경구 투여, 혹은 2% mupirocin 연고를 도포하여, 치료 종료 후 2주 후 비강 세균배양 재검사를 시행하여 MRSA가 동정되지 않은 경우를 단기 치료에 성공한 것으로 보고, MRSA가 동정된 경우를 치료에 실패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결 과: MRSA 탈집락요법 2주 후 92%에서 탈집락이 관찰되었으나 대부분에서 2개월에서 16개월 사이에 재 집락이 관찰되었으며 2-4개월 간격으로 시행한 신생아실 근무 의료인의 비강 세균배양 검사 시 마다 16.7%에서 50%의 MRSA 보균이 관찰되었다. 비강 내 MRSA 균주는 초기 다제 감수성을 보이다가 다제 내성 균주 증가 양상이 관찰되었다. 물품 배양검사에서 드레싱 운반차 50%, 컴퓨터 키보드 43.8%, 신생아 침대 25%, 목욕대야 25%, 그리고 전화대야서 18.8%에서 균이 동정되었다. 낙하균 검사에서 연구 초기에 비해 후기에 유의하게 낙하균 감소가 관찰되었다(P <0.05). 결 론: 병원 내 지역 사회 연관 MRSA 유행 시에 선별검사를 통한 보균자의 조기치료가 단기적으로 보았을 때는 항생제의 경구 복용과 비강 도포 모두에서 효과가 좋았으나 장기적으로 보았을 때 유의하게 보균율의 차이가 없었으며 순응도 감소 및 항생제 내성의 증가가 관찰되어 보균자의 조기 치료만으로는 MRSA의 지속적 전파를 차단할 수 없으며, 교육을 통한 손 소독 강화, 주기적인 감시체제를 통한 경각심, 그리고 신생아실 내 손소독제의 사용, 환경 소독 등의 고식적인 방법 들이 더욱 중요하리라 생각된다.

  • PDF

생쥐에서 과립구 집락형성인자(Granulocyte-Colony Stimulating Factor)의 공장점막에 대한 방사선 보호효과 (Radioprotective Effects of Granulocyte-Colony Stimulating Factor in the Jejunal Mucosa of Mouse)

  • 유미령;정수미;계철승;김연실;윤세철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9권1호
    • /
    • pp.45-52
    • /
    • 2001
  • 목적 : 최근 항암 화학요법이나 두경부의 방사선치료 후 나타나는 백혈구감소증을 치료하기 위해 조혈세포 성장인자인 과립구 집락형성인자를 투여한 결과, 백혈군감소증과 더불어 구강 점막염의 완화가 몇몇 임상연구에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그 기전이나 적절한 투여 방법에 대해서는 뚜렷이 밝혀지지 않았으며, 다른 위장관 점막에 대한 보호효과에 대해서도 아직 알려진 바가 없다. 이에 저자는 생쥐 공장 점막에 대한 과립구 집락형성인자의 방사선 보호제로서의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실험 동물은 체중 20 g 내외의 생후 $4\~5$주된 BALB/c 생쥐 105 마리로 각각 정상 대조군, 과립구 집락형성인자 단독투여군(제 I 군 : $10\;{\mu}g/kg/$일, 제 II 군 $100\;{\mu}g/kg/$일), 방사선 단독조사군(7.5 Gy 또는 12 Gy 전신조사), 그리고 방사선조사와 과립구 집락형성인자 병행 처치군(G-CSF I 또는 II+7.5 Gy, G-CSF I 또는 II+12 Gy)의 아홉군으로 구분하였다. 과립구 집락형성인자는 과립구 집락형성인자 단독투여군 및 방사선조사와 과립구 집락 형성인자 병행처치군 모두에서 방사선조사 2일 전부터 24시간 간격으로 방사선조사일까지 3일 동안 매일 1회 피하 주사하였고, 방사선조사는 6 MV 선형 가속기를 이용하여 7.5 Gy와 12 Gy를 각 군별로 1회 전신조사하였다. 각 군별로 생쥐를 방사선조사 후 1, 3, 7일에 희생하여 공장을 적출하고 H&E 염색 및 PAS 염색을 시행한 후, 공장 조직 표본에서 소낭선의 수, 융모의 길이 및 조직학적 손상등급을 측정하고 조직학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결과 : 방사선조사없이 과립구 집락형성인자 만을 투여한 군(제 I 군 : $10\;{\mu}g/kg/$ 및 제 II 군: $100\;{\mu}g/kg/$) 에서는 정상 대조군에 비해 생쥐 공장 점막 변화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7.5 Gy 및 12 Gy 방사선 단독조사군에서는 정상 대조군에 비해 공장 점막의 소낭선 수의 감소와 높은 조직학적 손상등급을 관찰하였다(p<0.05). 12 Gy 방사선조사와 과립구 집락형성인자 병행처치군에서는 공장 점막의 손상이 7.5 Gy 방사선 단독조사군에 비해 1일 군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나(p>0.05), 3일 군에서 유의하게 높은 소낭선 수 및 낮은 조직학적 손상등급을 관찰하였고, 7일 군에서 낮은 조직학적 손상등급을 관찰하였다(p<0.05). 12 Gy 방사선조사와 과립구 집락형성인자 병행처치군에서의 공장 점막 손상은 12 Gy 방사선 단독조사군에 비해 소낭선의 수와 융모의 길이, 조직학적 손상등급의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으며(p>0.05), 두 마리를 제외한 대부분의 생쥐가 방사선조사 후 5일 이내에 모두 사망하였다. 결론 : 한계 선량 이내의 전신 방사선조사시 과립구 집락형성인자는 생쥐의 공장 점막에 대한 방사선보호작용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점박이물범에 발생한 칸디다 피부염 (Dermatitis Caused by Candida albicans in a Captive Spotted Seal (Phoca largha))

  • 어경연;권오덕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22-324
    • /
    • 2014
  • 7년령, 체중 98 kg의 수컷 점박이물범에서 아랫입술과 눈 주위에 홍반, 탈모, 비후 등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염이 관찰되었다. 진단을 위해 병변부위 피부소파를 실시하고 Sabouraud dextrose 배지에서 3일간 배양을 하였다. 그 결과 크림색의 윤기 있는 둥근 집락들이 관찰되었으며 집락을 슬라이드글라스에 도말하여 그람염색처리 후 현미경검사를 실시한 바 전형적인 효모양의 세포들이 관찰되었다. 특징적인 피부염의 임상증상과 현미경검사로 칸디다증으로 진단하였으며 치료를 위하여 itraconazole 1 mg/kg을 2주간의 간격으로 1주일 동안 먹이와 함께 투약하는 것을 3회 반복하였으며 투약개시 후 6개월여 뒤에 완전히 회복되었다. 그동안 국내에서 점박이물범에서의 칸디다 피부염 증례보고는 없었다. 점박이물범이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을 뿐 만 아니라 국제적으로도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동물인 만큼 본 증례보고가 사육 상태 또는 야생에서 칸디다 피부염의 진단과 치료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순환식과 비순환식 수경재배 방식에 따른 파프리카 재배온실 내 미생물의 집락형성단위(CFU) 조사 (Investigation of Colony Forming Unit (CFU) of Microorganisms in the Paprika-grown Greenhouses Using Open and Closed Soilless Culture Systems)

  • 안태인;김도연;손정익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2권1호
    • /
    • pp.46-52
    • /
    • 2014
  • 본 연구는 순환식과 비순환식 수경재배 온실 내 특정 구역에서 잠재적인 병발생 가능성을 추정하기 위하여 미생물 시료의 채취 및 배양을 통하여 집락형성단위수(CFU)를 분석하였다. 시료의 채취는 배지를 기준으로 각 구역별 3cm 간격으로 $25cm^2$의 면적에 대해 4개의 구역을 각 온실별로 3회 반복하여 이루어졌다. 비순환식과 순환식 수경재배 온실에서 암면과 코이어를 배지로 사용하는 각 2개 농가를 조사대상으로 하였다. 진균류의 경우 비순환식 수경재배 온실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수준의 집락형성단위수(CFU)가 관찰되었다. 세균류의 경우는 유의적인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지만, 순환식 수경재배 온실이 비교적 낮은 경향을 나타냈다. 위치 별 CFU의 비교에서는 순환식과 비순환식 모두 배액의 발생에 따른 환경조건의 변화가 적은 배지 부분에서 가장 낮은 수준의 CFU가 관찰되었다. 주성분 분석결과 온실 내 배액의 이동 경로 상에서 수집된 시료가 미생물의 개체수 변화에 많이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순환식 수경재배 온실은 비순환식 수경재배 온실에 비해 미생물 증식억제에 유리한 조건에 있으며, 이는 외부 환경에 비해 비교적 단순한 생태계로 구성된 온실의 조건을 고려해 보았을 때 잠재적인 병 발생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낮음을 의미한다.

총대장균군 측정의 정도관리에 적합한 균주의 조제 (Production of Standard Sample for Quality Control of Total Coliform)

  • 김주영;서은영;김미리;전남희;정현미;김명운;안태석
    • 미생물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43-48
    • /
    • 2008
  • 정도관리는 분석 결과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필수적인 과정이며, 이를 위해서는 일정한 농도의 표준시료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정도관리의 정략분석을 위해 실온에서도 일정시간 개체수가 유지되는 미생물 정도관리용 표준시료를 제작하였다. 대장균으로 조제한 미생물 시료에 세포 분열을 억제하기 위해 nalidixic acid ($100\;{\mu}g/ml$)와 cephalexin ($50\;{\mu}g/ml$)을 첨가하였다. 이후 12시간 간격으로 acridine orange로 염색 후 현미경으로 계수하는 방법과 한천 배지에 배양하여 집락을 계수하는 평판집락계수법으로 개체수 변화를 측정하였다. 현미경 계수 결과 초기간이 $3.7{\times}10^5\;cells/ml$이었을 때 대장균의 개체수는 48시간 동안 $3.5{\sim}4.2{\times}10^5\;cells/ml$의 범위를 보였고, 평판집락법 결과 초기값이 $1.2{\times}10^4\;CFU/ml$ 이었을 경우에는 $1.0{\sim}1.2{\times}10^4\;CFU/ml$로 조사되어 냉장 및 냉동의 필요 없이 실온에서도 48시간 동안 개체수가 비교적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미생물 표준시료를 제작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작된 표준시료는 현재 상업적으로 판매되고 있는 표준균주 제품과 함께 정도관리의 정략분석을 위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비용, 인공환기관련폐렴 발생 빈도에 있어서의 개방 기관내 흡인술에 대한 폐쇄 흡인술의 비교 (Comparison of a Closed with an Open Endotracheal Suction: Costs and the Incidence of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 정재우;최은희;김진희;서효경;최지연;최재철;신종욱;박인원;최병휘;김재열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5권3호
    • /
    • pp.198-206
    • /
    • 2008
  • 연구배경: 폐쇄관을 이용한 기관내 흡인은 임상적으로 중한 환자에게 생리적인 이점이 있지만, 병원성 균주에 의한 기관지 내의 집락화가 증가될 수 있다는 보고가 있다. 비용증가는 폐쇄흡인의 또 다른 제한점이다. 본 연구는 폐쇄흡 인 및 개방흡인에 따른 병원균주의 집락화와 인공환기관련폐렴의 빈도와 가격효율성을 비교해보고자 시행되었다. 방 법: 각각 한 달의 간격을 사이에 두고 내과계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다중사용 개방흡인, 단일사용 개방흡인, 다중사용 폐쇄흡인을 순차적으로 시행하였다. 비용, MRSA의 기관지내 집락화, 인공환기폐렴의 발생 률을 분석하였다. 결 과: 106명의 환자가 연구 대상으로 포함이 되었고, 이 중 20명의 환자가 다중사용 개방흡인을, 42명이 단일사용 개방흡인을, 44명이 다중사용 폐쇄흡인술을 시행받았다. MRSA의 집락화와 인공환기관련폐렴의 빈도는 세 군간에 의미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입원 일당 소모되는 비용은 다중사용 개방흡인이 $10.58, 단일사용 개방흡인이 $28.27, 다중사용 폐쇄흡인의 경우 $23.76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다중사용 폐쇄흡인을 매 48시간마다 교환하는 경우 MRSA 집락화와 인공환기폐렴 발생 빈도는 비슷하였고, 기관내 흡인술에 있어서 비용면에서도 효율적인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