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집단의사소통프로그램

검색결과 97건 처리시간 0.028초

난청 고령자의 우울정도, 인지기능, 의사소통능력 및 정량뇌파 분석 연구 (A Study on Analysis of Depression, Cognition, Communication, and Quantitative Electroencephalogram in Hearing Impaired Elderly)

  • 김형재;원희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430-440
    • /
    • 2021
  • 본 연구는 난청 고령자의 우울정도, 인지기능, 의사소통능력 및 정량뇌파를 분석하고, 관련성을 규명할 목적으로 시도하였다. Y 시 소재의 S 청능재활 센터를 내원한 60세 이상의 난청 고령자 중 모집공고문을 통해 남성 37명, 여성 26명이 2020년 6월 20일부터 2020년 9월 3일까지 자발적으로 참여했다.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대상자의 전반적인 특성, 우울정도, 인지기능을 평가하였다. 의사소통능력의 척도인 단어인지도는 한국표준 단음절어를 사용하여 진단용 청력검사기로 평가하였다. 정량뇌파는 전전두엽 Fp1과 Fp2에 건식 전극을 사용하여 2채널 뇌파 측정기로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5.0 프로그램으로 인구 사회학적 특성 파악을 위한 빈도분석, 변수간 Pearson's correlation분석, 3분할 집단 간 One-way ANOVA분석을 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의사소통능력은 전전두엽 좌우 대칭성(**p<.01)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우뇌 정신적 산만 및 스트레스(*p<.05)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러나 우울정도와 인지기능과는 유의한 상관관계는 없었다. 의사소통능력에 따른 3분할 집단별 차이 검정에서도 전전두엽 좌우 대칭성(**p<.01)이 우울정도와 인지능력보다 높은 수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는 정량뇌파에서 측정된 전전두엽 좌우 대칭성이 난청 고령자의 의사소통능력의 강력한 생체적 지표 가능성을 시사 하였다.

일과를 통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다문화 수용성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in the Daily Life Schedule on Children's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nd Pro-social Behavior)

  • 홍길회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6호
    • /
    • pp.313-332
    • /
    • 2014
  • 본 연구는 만 4세 유아를 대상으로 일과를 통한 유아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의 실시 여부가 유아의 다문화 수용성과 친사회적 행동 증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는 경기도 서부 A시의 만 4세반을 각각 1학급씩 편의 표집하여 실험집단, 통제집단으로 구분하였다. 두 집단에 대하여 사전검사를 실시한 후 44회기 동안의 프로그램에 의한 교육을 실행한 후 4세아의 문해능력을 고려하여 상황을 이해할 수 있는 그림 자료와 검사지침에 의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의 분석 결과, 유아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을 경험한 실험집단의 유아가 통제집단의 유아보다 문화 인식, 다문화 공감, 다문화 개방성, 관계형성 능력 등 유의하게 높아 다문화 수용성 증진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지도성, 도움, 의사소통, 주도적 배려, 접근 시도하기, 나누기, 감정이입 및 조절에서도 실험집단의 유아가 유의미하게 높아 통제집단의 유아보다 친사회적 행동 증진에도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유치원 누리과정의 생활주제에 맞추어 구성 및 적용한 유아 다문화교육프로그램은 유아의 다문화 수용성, 친사회적 행동의 증진을 도모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강점기반 미술치료 코칭 프로그램이 느린학습자의 심리·사회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trength-based Art Coaching Programs on Psychosocial Maturity of Slow Learners)

  • 윤수진;탁진국
    • 한국심리학회지 : 코칭
    • /
    • 제6권1호
    • /
    • pp.1-32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에 다니는 느린학습자를 대상으로 심리·사회성숙도 향상을 위한 강점기반 미술치료 코칭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여 효과성을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지역에 거주하는 초등학생 느린학습자 32명을 선정하여 실험집단 16명, 통제집단 16명을 구성하였다. 실험집단 16명을 대상으로 강점기반 미술치료 코칭프로그램을 주 1회 60분씩 총 10회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주 내용은 긍정심리기반 강점을 인식하고 일상생활에서 강점을 활용하는 것, 나의 감정과 타인의 감정을 인식하고 공감하는 것, 구체적인 의사표현 방법을 터득하고 표현해보도록 하는 등의 내용으로 구성되어졌다.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을 위해 심리·사회성숙도 검사(정서적안정감, 사회적유능감, 의사소통능력, 학교생활적응력, 대인관계친화력)를 사전, 사후, 추후1(4주 후), 추후2(12주 후)로 실시한 결과, 사전-사후 유의미하게 향상되었고 프로그램 지속성도 검증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한 연구의 시사점, 연구의 제한점, 향후 연구에 대한 제언 등으로 논의하였다.

아동학대 예방을 위한 부모 인성역량 강화 프로그램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arents' Character Competency Reinforcement Program for the Prevention of Child Abuse)

  • 김봉제;권기남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09-121
    • /
    • 2018
  • 본 연구는 아동학대 예방에 있어서 부모의 인성 변화가 가장 우선시 되어야 한다는 인식에 따라 인성교육진흥법에 제시된 핵심 역량에 근거하여 아동학대 예방을 위한 부모의 인성역량 강화 프로그램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아동학대 부모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어린이집/유치원 및 초등학교에서 아동학대 부모를 경험했던 교사를 대상으로 초점집단면접을 실시하였으며, 국내외 아동학대 예방 부모교육 프로그램 분석을 통해 부모에게 요구되는 인성역량과의 관련성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아동학대 예방을 위한 부모의 인성역량 강화 프로그램은 크게 자기관리역량, 의사소통역량, 심미적감성역량, 공동체역량 강화의 4개 영역으로 구분되며, '나와 자녀 바로 알기', '부모 자신의 분노조절 훈련하기', '자녀와의 효과적 의사소통 기술 증진하기', '자녀와의 쌍방소통식 의사소통 연습하기', '자녀와 문화예술체험하기', '나와 자녀의 감정 이해하기', '한 자녀를 키우기 위한 온 마을이 필요하다'의 총 7개의 활동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아동학대 예방을 위한 부모 인성역량 강화 프로그램은 아동학대 예방을 위한 부모 인성교육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통합적 예비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 연구 (The Effect of the Integrative Pre-Parent Education Program on the College Students' Parenting Knowledge and Their Parenting Self-Efficacy)

  • 공인숙;민하영;이주리;김영주;이점숙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57-70
    • /
    • 2007
  • 본 연구는 미래의 부모가 될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녀 양육지식과 양육효능감과 같은 태도를 통합적으로 다루는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통합적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은 부모됨의 동기, 자녀의 발달에 따른 양육지식과 기술, 의사소통 기술, 사회적 지원체계 이용하기 등으로 구성되었다. 대상은 254명의 대학생으로 117명은 실험집단에, 138명은 비교집단에 배치되었다. 프로그램 실시 전에 사전검사를 하였으며, 12주간의 프로그램 실시 후 사후검사가 이루어졌다. t검증, Cronbach's ${\alpha}$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결과는 통합적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수강한 학생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양육지식과 양육효능감이 높았다.

  • PDF

아내구타 피해여성의 우울증 개선을 위한 통합적 집단프로그램의 효과 (A Study of Effectiveness of the Integrated Group Program for Battered Women's Depression)

  • 김재엽;양혜원;이근영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38권
    • /
    • pp.68-99
    • /
    • 1999
  • 이 연구는 쉼터 거주 아내구타 피해여성을 대상으로 이들의 우울증을 개선시키기 위해 개발된 통합적 집단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가정폭력실태와 피해여성의 문제에 관한 연구를 바탕으로 개발된 통합적 집단프로그램을 수행하고 우울증을 중심으로 그 효과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실험집단(10명)의 우울증이 비교집단(18명)과 비교하여 유의미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실험집단의 우울증 하위차원 중 정서적, 인지적, 행동적 증상에서 유의미한 감소를 보였다. 따라서 쉼터에 거주하는 아내구타 피해여성의 우울증을 개선시키기 위한 임상 개입프로그램은 정신건강관리 영역과 함께 폭력에 대한 이해, 의사소통훈련, 사회적 지지망 구축, 경제적 독립성, 자녀양육방법 등을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하겠다.

  • PDF

결혼초기부부의 가족레질리언스 강화 프로그램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family resilience enhancement program for couples in early stage of marriage)

  • 최정숙
    • 한국가족복지학
    • /
    • 제23호
    • /
    • pp.103-152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Walsh가 구성한 가족레질리언스(Family Resilience) 개념틀을 바탕으로 결혼초기부부가 가족레질리언스를 강화해나갈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결혼초기부부, 부부관계향상, 가족레질리언스에 관한 문헌고찰을 토대로 가족의 신념체계, 조직유형, 의사소통과정을 기본틀로 하는 주 1회, 3시간씩, 총 4회에 걸친 프로그램을 구성하였으며, 구성한 프로그램을 결혼초기부부 7쌍을 대상으로 실행하고, 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해보기 위해 Wilcoxon Signed Ranks Test를 활용해 동일집단사전사후비교분석을 하였으며, 프로그램참여자로 구성되는 포커스집단운영을 통해 참여자가 인식하는 프로그램 효과와 구조에 대한 견해를 분석하였다. 사전사후비교분석결과 신념체계(가족통제감, 가족강점), 조직유형(부부적응성, 가족자원) 의사소통과정(정서반응), 결혼적응에서 유의미한 향상이 있었으며, 프로그램 효과와 구조에 대한 참여자의 견해 분석에서도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내용이 보고되었고 프로그램 시간구조면에서 회당 3시간 4회가 적절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는 결혼초기부부의 가족레질리언스를 강화하는 사회복지실천도구를 개발하고자 시도함으로써 가족레질리언스 개념을 구체화시키고 지역사회실천가들에게 구체적인 실천도구를 제공한다는 데 의의가 있다.

간호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생활 스트레스, 가족 의사소통의 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Smartphone Addiction, Life Stress, and Family Communication in Nursing Students)

  • 서기순;방소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398-407
    • /
    • 2017
  • 간호대학생은 교육과정의 특성상 스트레스가 심하고 가족과의 대화시간이 부족하며 스마트폰 중독률이 높게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생활 스트레스, 가족 의사소통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D시에 소재한 대학의 간호학과 재학생 172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수집된 자료는 independent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linear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고위험 사용자군 24명(14.0%), 잠재적 위험 사용자군 50명(29.0%), 일반 사용자군 98명(57.0%)으로, 74명(43.0%)이 스마트폰 중독 위험 사용자군으로 나타났다. 간호대학생 중 스마트폰 중독 위험 사용자군은 일반 사용자군보다 생활 스트레스가 높고(t=3.15, p=.002), 가족의사소통이 좋지 않으며(t=-2.53, p=.012), 스마트폰 중독은 생활 스트레스(r=.27, p<.001) 및 가족 의사소통(r=-.26, p=.001)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스마트폰 이용시간, 생활 스트레스, 일상에서 스마트폰이 중요한 정도, 가족 의사소통이며, 이 요인들에 의한 설명력은 31.3%이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간호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예방 및 관리를 위해 스마트폰 이용방법, 스트레스 관리, 가족 의사소통에 초점을 맞춘 개인적 및 집단적 차원의 중재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혈액투석실 간호사 의사소통 유형 분석 (Communication Types in Nurses Caring for Patients on Hemodialysis)

  • 김이활;남은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42-50
    • /
    • 2021
  • 본 연구는 혈액투석 간호사를 대상으로 환자와 이루어지는 의사소통의 행위를 확인하고 그 유형을 Q방법론을 기반으로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서울과 경기안양에 위치하고 있는 2개 병원 혈액투석실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10명으로 혈액투석 간호사의 Q모집단을 구성하여 심층면담을 시행하였으며, 문헌 자료와 심층면담 결과를 기반으로 의사소통 유형연구를 대표할 수 있는 진술문을 추출하였고 그 결과를 간호학을 전공한 교수 1인의 의견을 수렴하여 Q표본 50개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Q표본을 기반으로 1차, 2차 및 3차 병원으로 구성된 서울시내 소재 5개 병원 혈액투석실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30명을 P표본으로 선정하여 Q분류를 시행하였다. 이렇게 해서 도출된 Q분류결과를 pc-QUANL 프로그램을 이용해 분석을 진행했으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혈액투석간호사의 대표적인 의사소통 행위유형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혈액투석실 근무간호사의 의사소통 행위유형은 유형 I '적극적 경청형', 유형 II '수용적 경청형', 유형 III '설명적 충고형', 유형 IV '방어적 초이성형'의 4가지로 분류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혈액투석간호사의 치료적인 의사소통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온라인에서 집단적 발상 과정을 통한 통합교육 연구 (A Study of On-line through Creative Group thinking process of inclusive education)

  • 한경돈;박대우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51-454
    • /
    • 2011
  • 현대 지식 정보화 사회에서 컴퓨터 기술을 활용한 창의적 사고(思考)가 매우 중요한다. 다양한 정보기술을 어떤 방법으로 도출하고 활용하느냐에 따라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으로 윤택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다. 광대역 종합정보통신네트워크의 발달과 더불어 온라인(On-line)에서 새로운 아이디어 프로그램은 다양한 산업분야에 활용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상의 상호작용으로 인한 시너지 효과는 멀티미디어정보서비스 산업을 더욱 발전시킬 수 있다. 본 논문은 지식 정보화 사회의 통합교육(장애인, 비장애인 대학생)에서 집단적 아이디어 발상을 통하여 문제해결 능력을 키우기 위하여 네트워크상에서 상호간의 창의적 사고 과정을 진행함으로서 오프라인(Off-line)에서의 산업디자인 개발에 대한 문제점들을 보안하고 해결하고자 한다. 첫째로, 온 오프라인에서의 통합교육학생들의 창의적 집단 아이디어 발상에 대한 방법을 비교 분석한다. 둘째로, 온 오프라인에서 아이디어 발상량을 분석하여 팀원간의 의사소통과 정보전달의 수단으로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발상적 사고요인을 연구한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서 IT(Information Technology) 기반의 창의적 집단 발상 교육이 통합교육에 차별화된 콘텐츠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