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집단요법

검색결과 96건 처리시간 0.028초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리더십 생활기술, 사회성, 학급 응집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eality Therapy Group Program on Leadership Life Skills, Sociality, and Classroom Unity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 김세용;변상해
    • 벤처창업연구
    • /
    • 제8권1호
    • /
    • pp.183-191
    • /
    • 2013
  • 본 연구는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리더십 생활기술, 사회성, 학급 응집력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경기도 S지역의 K초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연구에 참가를 희망하는 34명을 모집하여 실험집단 17명, 통제집단 17명으로 무선 배정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사전 검사 검증과 사후검사 검증에 대해서는 비모수적 통계인 Mann-Whitney U Test와 중다선형 회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경험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리더십 생활기술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둘째,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경험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사회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셋째,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경험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학급 응집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리더십 생활기술과 사회성, 학급 응집력에 긍정적인 방향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 PDF

집단 독서요법이 초등학생의 자아 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Group Bibliotherapy on the Self-Esteem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오익수;이옥희
    • 초등상담연구
    • /
    • 제8권1호
    • /
    • pp.1-13
    • /
    • 2009
  •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집단 독서요법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H초등학교 5학년 학생 120 명 중에서 20명을 선정하여 각각 10명씩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무선 할당하였다. 실험집단에 대한 처치는 1회기 40분씩 총 12회기의 독서요법 집단 상담을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로는 Coopersmith(1967)의 자아존중감 척도(self-esteem inventory: SEI)를 장은영(2001)이 번안 수정한 것을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사전, 사후 검사에서 얻어진 자료의 처리는 공변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 독서요법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전체 자아존중감에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둘째, 집단 독서요법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 보다 일반적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자아존중감, 가정적 자아존중감에는 유의한 향상을 보였으나, 학업적 자아존중감에는 유의한 향상을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집단 독서요법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 PDF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직장인의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The Reality Therapy Program Effect on Occupational Stress in Company Employee)

  • 김세봉;변상해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09년도 통합학술대회
    • /
    • pp.27-41
    • /
    • 2009
  • 본 연구는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직장인의 직무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A지역의 30-40대 직장인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10명과 통제집단 10명으로 무작위 배정하여 실험집단에게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는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측정 검사 단축형으로 한국직무스트레스 학회에서 2년에 걸쳐 개발한 표준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연구 목적에 맞게 분석하기 위하여 t-test(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직무스트레스가 통제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되었다.

  • PDF

회상요법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주간보호시설 경증치매노인의 삶의 질과 정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Group Art Therapy using Recall on the Quality of Life and Emotion of the Elderly with Mild Dementia in Day Care Center)

  • 오영이;이숙민
    • 산업진흥연구
    • /
    • 제1권2호
    • /
    • pp.79-86
    • /
    • 2016
  • 본 연구는 회상요법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주간보호시설 거주 경증 치매 노인의 삶의 질과 정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전라북도 I시에 소재한 노인전문 주간보호시설의 노인 중 75세에서 96세 까지 MMSE-K 점수가 15 ~ 23점의 경증치매노인이며, 실험집단에게는 6개월간 주 1회 60분씩 사전 사후 포함하여 30회기로 구성하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처치기간 동안 통제집단은 무 처치하였다. 연구결과 회상요법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가 경증치매노인의 삶의 질, 정서, 질적분석 바디이미지에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 간 정서측정도구에 대한 시간의 경과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회상요법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주간보호시설 거주 경증치매노인의 삶을 보다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고 좀 더 안정적인 정서를 표현하며 생을 살아갈 수 있도록 하는데 의의가 있다고 본다.

노인의 우울증 해소를 위한 독서요법연구 (A Study on Bibliotherapy for Depressed Older Adults)

  • 유혜숙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5-22
    • /
    • 1999
  • 경미한 우울증을 겪고 있는 65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독서요법의 효과를 실험하였다. 상호협력적 독서요법과 독자적 독서요법의 효과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우울증 검사척도표(BDI, HRSD, DAS)를 사용하여 대상자를 선정하였으며, 실험은 상호협력적 독서요법을 시행하는 집단과 독자적 독서요법을 시행하는 집단으로 나누어 총 4개월간 진행되었다. 가설검증을 위해 SPSS를 통한 T-검증과 이원분산분석을 사용하였다. 실험결과는 우울증 해소에 독서요법이 효과가 있으며, 독자적 독서요법에 비해 상호협력적 독서요법의 효과가 월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회상요법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치매노인의 우울, 대인관계,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 of Collective Art Treatment based on Reminiscence Therapy on the Depress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the Subjective Sense of Happiness among the Elderly with Dementia)

  • 김경화
    • 산업진흥연구
    • /
    • 제6권4호
    • /
    • pp.47-58
    • /
    • 2021
  • 본 연구는 회상요법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치매노인의 우울, 대인관계,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S군에 소재하는 S주간보호센터 이용자 중 본 연구에 참여를 희망하는 65세 이상의 치매노인 총 30명을 대상으로 2020년 11월 7일 부터 2021년 1월 2일 까지 주1회씩 12회를 걸쳐 진행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4.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해서 신뢰도 검증, 교차분석, 독립표본 T-test, 3×2 혼합변량분석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회상요법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는 치매노인의 우울감소에 효과가 있었다. 둘째, 회상요법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는 치매노인의 대인관계 증진에 효과가 있었다. 셋째, 회상요법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는 치매노인의 주관적 행복감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회상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치매노인의 우울을 감소시키고, 대인관계를 증진시키며, 주관적 행복감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중재로서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독서요법 효과에 대한 실험연구 - 노인들의 우울정서를 중심으로 -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Effects of Bibliotherapy for Depressed Older Adults)

  • 유해숙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1997년도 제4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131-134
    • /
    • 1997
  • 본 연구는 노인들의 정신적 갈등 및 우울정서를 개선하기 위한 독서요법의 처치효과를 검증하는 것이 목적이다. 65세이상의 노인들을 대상으로 검사척도표를 통해 실험에 적합한 연구대상자을 모집하고, 두 집단으로 구분하여 상호협력적 독서요법과 독자적 독서요법의 처치효과를 T-검증 및 MANOVA등을 통해 비교분석한다.

  • PDF

독서요법이 경증 치매노인에게 미치는 효과 (Effects of Bibliotherapy of Dotard Dementias Old Adults)

  • 황인담;박준식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383-402
    • /
    • 2010
  • 본 연구는 독서요법이 경증 치매노인의 인지력, 우울, 자아존중감, 사회성 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경증치매를 가진 65세 이상 90세 이하의 남녀 노인 166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분하고 6개월간 독서요법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측정방법으로는 관찰지를 이용한 측정과 MMSE-K, 단축형 노인 우울척도, 자아존중감 검사척도, 대인관계척도를 이용한 양적측정을 동시에 사용하였다. 그 결과 독서요법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경증 치매노인들의 인지도는 향상되었으며, 우울증은 감소하였고,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이 증가하였다. 이로써 독서치료가 경증 치매노인의 증상을 완화시키는데 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 PDF

직장인의 현실요법 프로그램이 직무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효과 (The Reality Therapy Program Effect for Reducing The Occupational Stress in Company Employee)

  • 변상해;김세봉;장경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750-758
    • /
    • 2009
  • 본 연구는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직장인의 직무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A 지역의 30-40대 생산직 남성 근로자로, 현재 근무하는 직장에서 2년 이상 근무한 사람을 대상으로 하여 실험집단 10명과 통제집단 10명으로 무작위 배정하였다. 측정도구는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측정 검사 단축형으로 한국직무스트레스 학회에서 2년에 걸쳐 개발한 표준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연구 목적에 맞게 분석하기 위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전체적인 직무스트레스 점수는 p<.0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영역에서는 직무요구, 조직체계, 보상부적절은 p<.01 수준에서, 직무자율, 관계갈등, 직무불안정, 직장문화는 p<.0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방법을 통하여 도출된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직무스트레스가 낮아진다. 즉 현실요법 프로그램이 직장인의 직무스트레스를 감소하는데 효과가 있다.

회상요법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치매노인의 우울, 의사소통, 자기효능감,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llective Art Therapy on The Depression, Communication, Self-Efficacy, and the Subjective Happiness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 김경화
    • 산업진흥연구
    • /
    • 제6권4호
    • /
    • pp.59-68
    • /
    • 2021
  • 본 연구는 회상요법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치매노인의 우울, 의사소통, 자기효능감,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연구대상은 S군 S노인요양시설에 입소 중인 65세 이상의 치매노인 총 28명을 대상(실험군 14명, 대조군 14명)으로 2020년 11월 14일 부터 2021년 3월 6일 까지 주1회씩 16회기를 걸쳐 진행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4.0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해서 신뢰도 검증, 빈도분석, 독립표본 T-test, 2×2 혼합변량분석, 대응표본 T-test, 집단 간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회상요법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는 치매노인들의 우울과 의사소통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감소시키고, 자기효능감과 주관적 행복감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회상요법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