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질 평가 도구

검색결과 256건 처리시간 0.026초

캐드에 의한 3차원 모델링 제작과정과 렌더링 이미지 연출에 관한 연구-무선 이동 전화기 디자인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3D Modeling Process & Rendering Image of CAD Program-With Case study on Cellular Phone Design-)

  • 이대우
    • 디자인학연구
    • /
    • 18호
    • /
    • pp.25-34
    • /
    • 1996
  • 산업정보화 사회의 진전과 이에 따른 산업디자인의 개발 방법과 프로세스는 시대적 흐름에 따라서 많은 방법의 변화를 가져왔다. 최근에 와서는 기존의 방법론과 가치 평가가 시대 오류 적 상황을 발생시키기도 하였으며, 많은 시간적 혹은 경제적인 총체적 문제들이 거론되게 되었다. 디자인 프로세스의 개발은 문제인식과 해결하려는 도구의 발전에 의해 많은 변화를 가져왔고, 디자인 테크놀로지가 컴퓨터 테크놀로지로 상당부분 대체 되어 가는 상황을 직시할 수 있다. 따라서, 관념적인 것(Thought ware)과 현실적인 것(Hard ware)을 연결시키는 웨어 적 디자인 프로세스가 많은 부분의 디자인 문제를 담당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컴퓨터를 응용한 제품 디자인 개발 단계에서 아이디어를 3차원 가상 실물 화시킬 수 있는 3차원 모델 링을 독자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방법을 사례를 통해 제시하는데 있으며, 이 효과와 가치는 디자인 문제 협의-평가-해결의 과정에 있어 결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실질적인 모델 링과 렌더링의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지고 있다. 평면 화 간이 도면 상태의 구성과 이에 대한 입체물의 형성과정을 통하여 3차원 솔리드 모델을 제작하는 것이다. 연출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카메라, 조명, 재질감, 색상을 첨부하여 하나의 디자인 시안 물을 작성하게 되며, 이 시안 물은 다양한 방법의 구성과 퍼트에 의하여 대상물을 평가할 수 있다. 이렇게 구체적으로 얻어진 시안 물은 디자인 평가에 의해서 완벽한 캐드시스템(CAD SYSTEM)으로 옮겨지며, 정선된 자료와 데이터로 양산 적 개념의 디자인 플로우 챠트에 돌입하게 되고, 현실적으로 요구되는 디자인 욕구를 최대한 만족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결국 이러한 디자인 프로세스는 기존 방법에 대한 새로운 제안 방법으로 제시되며, 여러 요인의 평가요소에서 효율적 가치 평가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라고 하겠다.

  • PDF

MCJ를 이용한 공항서비스 품질지수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Service Quality Index for International Airport Using MCJ)

  • 이승창;이강석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45-54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국제공항의 주요 서비스 항목별 중요도(importance), 이용자의 지각수준(perceived level), 다양한 평가방법(complex index)등을 활용한 주관적 및 객관적 측정 척도를 개발하고자 하며 공항서비스 질에 대한 기준 설정, 주요개선 사항의 발견 및 조치평가 등을 체계적으로 할 수 있는 내부관리용 옴니버스 모니터링 시스템 (OMS : Omnibus Monitoring System)의 개발이다. 이는 국제공항의 주요 서비스 평가를 위한 계량적 분석 도구의 개발과 2차 계량 지료(quantitative Secondary data)활용, 공항이용자에 대한 설문으로 지각된 자료(perceived data)분석, 자료수집-입력-분석 과정의 시스템화, 결과물의 그래픽화에 따른 데이터이미지화, 서비스인카운터(service encounter)계획 및 통제 기능 부여, 국제적 기준을 최저로 경쟁력을 확보하려는 것이다. 또한, 지표의 개발을 위해서 기존의 외국문헌 및 국제공항의 실사에 기초한 사전조사 계획의 수립과 실행이 중요하기에 준비된 사전조사의 결과를 토대로 출국자, 입국자, 상주근문자 등의 주관적 측정정도를 개발하고 보완적인 수단으로써 객관적 지표의 연구가 동시에 이루어졌다. 이러한 절차로 개발된 평가척도의 신뢰성 및 타당성을 실증적, 통계적으로 확보하고, 공항 서비스 척도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소프트웨어 시스템을 개발함으로써 정규, 비정규적인 공항서비스의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연구가 진행되었다.

${\cdot}$ 골격장애 환자의 간호질 평가 도구 개발 (Development of and Evaluation Tool for the Quality of Patient Care in Musculo-skeletal Disorder)

  • 최순옥;김문실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338-348
    • /
    • 1995
  • We need to continuously evaluate for nursing quality and the outcome to reflect nursing, to repair and improve of nursing. The first problem for nursing quality improvement is development of evaluation tool for the quality of nursing care. We need a system for quality assurance evaluation that is, development and framework of evaluation tool for nursing care qua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ttempted to develop an evaluation tool for the quality of nursing care in musculoskeletal disorder patients. The approach method of nursing quality for the development of the tool in this study was process evaluation framework. The study were devided dvelopment process and reliability, validity verification process. The subjects of development process of this tool are three nursing export groups, and the subject of reliability, validity verification process are 20 samples of two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who were within discharge 3 months after admission treatment in musculo-skeletal disorder. Data for this study was collected from March 10 to April 13, 1995.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tool were as follows : 1. Make preliminary list of the tool by focal group were constituted 12 clinical nurses. 2. Modify and add preliminary list by 4 nursing expert panel. 3. Calculate content validity of the tool by 25 nursing expert panel of judge. 4. Verify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tool. 5. Finalize an evaluation tool for the quality of the nursing care in musculo-skeletal disorder.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Development an evaluation tool for the quality of nursing care in musculo-skeletal disorder. (1) The evalution tool of this study was developed 5 standards, 33 criterias and 133 indicators. (2) 5 standards were divided according to Nursing Process. from standard 1 to standard 5, involved criterias were each 6(18%), 3(9%), 3(9%), 15(46%), 6(18%). 2) Verify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tool. (1) Score of adequate degree for content validity of 33 criterias and 133 indicators were every average 2.82. (2) Inter-rater reliabilities(consentaneity score) of the tool by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ree raters were : r=.7506, r=.8934, r=.6695. and Inter-rater reliabilities by single-facet crossed design were : r=.7464. (3) The alpha coefficient relating to internal consistency was .8524 over all 30 items of 33 criterias of developed tool. (4) Score of the quality of nursing care following to generaal characteristics of this study subjects were sta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educational level (F=2.93, p=.029)and diagnosing classification (F=2.50, p=.042). Through this study, I'm sure that the developed tool for the quality of patient care in musculo-skeletal disorder will show the way of mor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nursing care and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s.

  • PDF

감염관리를 위한 항생제 사용량 데이터마트의 구축 (Building the Data Mart on Antibiotic Usage for Infection Control)

  • 임인수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348-354
    • /
    • 2016
  • 병원정보시스템에 저장되어 있는 자료들은 적절성 평가 및 질관리를 향상시키는 데 있어 많은 잠재력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하는 데이터웨어하우스의 구축은 질 관리의 향상과 임상진료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감염관리 정보의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자료 분석을 위한 일환으로 항생제 사용량 분석이 가능한 데이터마트를 구축하였다. 감염관리의 구성요소 및 평가 척도를 선정 후 XML DTD 방법으로 메타데이터를 설계하였고 모델링을 통해 데이터마트를 구축하여 항생제 사용량 분석을 위한 다차원 분석 도구인 OLAP를 시현하였다. 실험 자료는 1997년 7월 한 달 동안의 천안 지역의 일개 대학병원의 항생제 사용량 자료를 이용하였다. 감염관리 메타데이터의 상위요소는 항생제 내성 정보, 항생제 사용량 정보, 감염 정보, 검사 정보, 환자 정보 및 감염 관련 비용으로서 구성하였다. 이 중 항생제 사용량 정보를 스타 스키마에 적용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의 설계를 하여 데이터마트를 구축하였다. 그리고 일 개월 간 사용된 항생제 사용량에 대해 OLAP을 시현하였다. 본 연구는 XML과 OLAP 기술의 구현을 통해 항생제 사용량에 대한 감염관리 데이터마트를 수립하였다. 개념적이고 구조화된 데이터마트의 구축은 감염관리 정보에 대해 신속하고 다양한 분석을 제공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위.장관계 수술 환자간호의 질평가를 위한 도구개발 (Development of an evaluation tool of quality of nursing care for gastrointestinal surgery patient)

  • 이병숙;박정호;조현
    • 한국의료질향상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260-278
    • /
    • 1997
  • Background : Quality of professional nursing care is the most essential factor for survival and growth of nursing profession. Then, nursing professionals have responsibility for the evaluation of quality of professional nursing ca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e an evaluation tool of nursing care for patients received gastrointestinal surgery with general anesthesia. This study was a primary work for the developement of a computer program for the evaluation of nursing care. Methods : This study was done through some consecutive steps. They were (1) Developement of items for the tool (2) Developement of an evaluation tool of nursing care quality for the G-I surgery patient (3) Test of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tool. Two groups of experts and expert pannels who had much experience of the QA and the care of G-I surgery patients participated for developement of the items. 85 nursing records were used for the test of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developed tool. The evaluation tools were developed with two types of scoring, norm-referenced tool and criterion-referenced tool. Results The system of items for tool was evaluation area evaluation item-indicator. There were 7evaluation areas which contained 32evaluation items which contained 7lindicators. Evaluation areas 1, 2, 3, 4 were for the evaluation of process and 5, 6, 7 were for the evaluation of outcome of nursing care for G-I surgery patient. For the test of interrator reliability, correlation coefficients of each scores of items and intragroup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The averag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wo rators were 0.65, 0.54 and the intragroup correlation coefficient were 0.99 and 1.00 by the types of scoring. The Cronbach alpha coefficients of the tools were 0.54 and 0.46 by the types of scoring. The average content validity index of the items was 0.95 from 4 pairs of experts. Becaus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ome scores of quality of nursing care of 3 general hospitals regardless of the types of scoring, the tools could be thought to have some construct validity. And also,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some scores of quality of nursing care and admission days and admission days after surgery regardless of the types of scoring, the tools could be thought to have predictive validity. Conclusion In this study, the evaluation tool of nursing care was developed for the very specified group of patient, G-I surgery patient. And the items were developed and tested by the experts of nursing practice. Because of these reasons, it was supposed that the tool could be used effectively in nursing pratice. And the procedures for the development and the test of the evaluation tool of nursing care in this study were supposed to be used for the developement of other tools.

  • PDF

중학교 가정 교과 수업 분석 연구 I - 수업 관찰 체크리스트와 분석 틀 개발을 중심으로 - (An analytical Study of The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Instructions I - Centering on Development of Checklist for Observing and Analytical framwork-)

  • 윤인경;이수정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71-182
    • /
    • 2005
  • 최근 수업 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은 수업에서 '실제로 하는 일'에 초점을 두는 교실 수업 중심의 연구(Classroom Centered Research)로 전환하고 있다. 이와 같은 경향에 따라 본 연구는 중학교 가정 교과 수업이 어떠한 조직과 요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어떠한 내용으로 전개되는지 살펴봄으로써 가정 교과 수업의 관찰과 분석의 관점을 명료화하였다. 즉 본 연구는 학교 현장에서 가정 교과 수업을 관찰하고 분석할 수 있는 체계적인 도구를 개발함으로써 가정 교과 고사들이 자신의 수업을 스스로 분석${\cdot}$평가하고 수업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준거를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수업 관찰 대상을 명료화하기 위해서는 가정 교과 수업 조직의 전체적인 윤곽을 이해하고 수업 요소를 규정하는 것이 효과적이므로 수업의 계획과 조직 단계, 수업의 실행 단계. 수업의 평가 단계로 범주화하였다. 그리고 각 범주의 기능을 나타낼 수 있는 수업 요소를 규정하기 위해 수업 목표의 제시, 수업 활동의 구조, 교과 내용의 전달, 질문의 활용, 피드백의 제공, 학습 기회와 환경의 제공, 학습 동기 유발, 수업 평가의 실행, 평가 결과의 활용 등 9개 요소를 설정하였다. 그리고 교사들이 자신의 수업이나 동료의 수업을 진단하고 평가하기 위해서는 수업에 대한 총체적인 이해가 필요하므로 본 연구는 이상에서 살펴본 수업 관찰의 범주와 실제 가정 수업에서 나타날 수 있는 행동 요소를 상세화하여 가정 교과 수업 분석 틀을 개발하였다.

  • PDF

병원 외래 방문 환자의 만족도 평가 및 관련 요인에 대한 연구 - 한 3차 병원 방문 환자를 중심으로 - (Measurement of Ambulatory Patients' Satisfaction and Its Influencing Factors in a Tertiary Hospital)

  • 이상일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7권2호
    • /
    • pp.366-376
    • /
    • 1994
  • 환자 만족도의 증진은 의료 제공의 궁극적인 목적의 하나이며, 의료의 질적 수준 향상을 위해서는 환자의 만족도 평가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판자의 만족도를 타당도와 신뢰도가 높은 도구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환자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우리 나라 실정에 적합한 표준화된 설문서의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환자의 만족도를 평가하는 설문지를 개발하고 한 3차 병원 외래를 방문한 82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이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평가하였으며, 환자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였다. 외래 방문 환자가 질을 평가하는 차원은 인자 분석을 통하여 병원 환경 및 편의 시설에 관련된 요인, 원무관리 및 보조 서비스에 관련된 요인과 의사진료에 관련된 요인으로 분류되었으며, 이 3개의 병원내 과정에 대한 척도들은 비교적 높은 신뢰도와 타당도를 나타내고 있었다. 전반적인 진료 결과를 나타내는 3개 문항은 신뢰도가 낮아, 서로 다른 별도 차원의 개념임을 의미하고 있었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전반적인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최근의 건강 상태, 진료비에 대한 인식과 진료에 따른 건강상태의 변화였고, 타인에게 병원을 추천할 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환자의 성, 초 재진 여부, 진료에 따른 건강상태의 호전에 대한 기대, 진료비에 대한 인식과 진료에 따른 건강상태의 변화였다. 앞으로의 환자 만족도에 대한 연구에서는 이 연구 결과를 참고로 하여 조사 대상의 확대, 포괄적인 설문 문항의 개발, 조사 방법의 보완 등이 필요할 것이다. 이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의 입수를 원하시는 분은 저자에게 개인적으로 연락하여 주시면, 설문지를 보내드리겠습니다.

  • PDF

인수분해에 대한 오류 분석과 온라인 개별화 수업의 효과 (Error analysis on factorization and the effect of online individualization classes)

  • 최동원;허혜자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4권1호
    • /
    • pp.83-105
    • /
    • 2021
  • 온라인 수업에서 다양한 상호작용 도구의 적극적 활용은 비대면 수업의 한계를 극복하고 교사와 학생 간의 활발한 상호작용을 돕는다. 본 연구는 인수분해에 대한 오개념과 오류를 분석하고, 분석결과를 이용한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온라인 개별화 수업이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사교육의 영향이 적은 경기도 농촌 지역의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4주 동안(총 16차시) 실험을 실시하였다. 수업은 '구글클래스룸'을 LMS로 활용하고, 동영상 강의는 유튜브에 업로드하였으며, 화상회의 소프트웨어인 '줌(Zoom)'과 '페이스톡'을 통해 학생들과 상호작용을 하였다. 온라인 수업상황에서 '구글클래스룸'을 통해 학생의 과제와 질문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실험군에는 학생들의 질의 여부와 상관없이 과제와 시험에 대해 즉각적인 피드백이 이루어졌고, 대조군에도 피드백이 이루어졌으나 자발적으로 피드백을 원하는 학생에게만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학생의 실력 향상과 성취도의 변화 추이를 확인을 위해 사전검사, 형성평가 5회, 사후검사의 순서로 총 7번의 성취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5회의 인수분해 형성평가 분석을 통해 인수분해를 학습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 및 오개념의 유형을 파악할 수 있었는데, 학생들이 '다항식으로 된 인수를 하나의 인수로 인식하지 못함'과 '숫자는 인수가 아니다.'라는 오개념을 가지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학생들의 오류유형을 정리 또는 정의의 왜곡 오류, 기능상의 오류, 풀이를 검증하지 않는 오류, 무응답의 4가지 유형으로 나누고, 이를 개별화 지도에 이용하였다. 공분산분석 결과 두 집단은 1회부터 4회까지의 형성평가까지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5회차 형성평가와 사후검사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어 온라인 개별화 수업이 성취도 향상에 기여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무릎 골관절염 환자를 대상으로 한 수중 운동과 지상운동 비교: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Aquatic exercise for the treatment of knee osteoarthritis: a systematic review & meta analysis)

  • 김영일;최효신;한정화;김주영;김가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9호
    • /
    • pp.6099-6111
    • /
    • 2015
  • 본 연구는 무릎 골관절염 환자를 대상으로 수중운동과 지상운동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수행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연구이다. 문헌은 Ovid-Medline, Cochrane Library CENTRAL, CINAHL과 국내 DB인 RISS와 KISS를 통해 ((osteoarthriti* OR OA) AND (aqua* OR water OR hydrotherap*)), (골관절염 AND 수중운동) 등을 주요어로 조합하여 검색하였으며, 선택배제과정을 거쳐 최종 7편(n=449)의 문헌이 분석에 포함되었다. 문헌에 대한 질 평가는 SIGN의 무작위임상시험평가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질 평가 결과는 6편에서 ++, 1편에서 +로 평가되어 전반적으로 비뚤림 위험은 없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메타분석결과 운동 중재 후 수중운동군과 지상운동군의 통증변화에 대한 차이는 Standardized mean difference (SMD) -0.26(95% CI -0.49, -0.03, p=0.03, $I^2=14%$)으로 수중운동군이 지상운동군에 비해 통증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 외 두 군간 굴곡 관절가동범위, 신전 관절가동범위, 신체기능, 삶의 질의 SMD는 각각 -0.12(95% CI -0.51, 0.27, p=0.53, $I^2=0%$), -0.04(95% CI -0.55, 0.48, p=0.89, $I^2=43%$), -0.12(-0.44, 0.19, p=0.44, $I^2=0%$), -0.15(-0.54, 0.24, p=0.46, $I^2=0%$)로 두 군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시점에서 무릎 골관절염환자를 대상으로 수중운동과 지상운동의 효과를 분석한 무작위 대조군 실험 연구 수가 비교적 적어 효과크기에 대한 확증적 결과를 얻는 데에는 다소 제한이 있었으므로 향후 이와 관련된 무작위 임상시험연구와 장기적인 효과검증에 대한 노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모바일 앱 기반 간호대학생 핵심간호술 자가학습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Self-practice Program for Core Nursing Skills for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based on Mobile Application)

  • 김선경;엄미란;이영호;고영혜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0호
    • /
    • pp.343-352
    • /
    • 2021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핵심수기술 자가학습용 모바일 앱을 개발하고, 유용성을 평가하기 위해 실시된 융합적 연구이다. 모바일 앱 평가도구(MARS)와 7개의 서술형 문항을 사용하여 22명의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모바일 앱의 유용성 평가하였다. 정보제공성 영역이 4.19(SD 0.79)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주관적 앱의 질영역이 3.08(SD 0.87)점으로 가장 낮은 평가를 받았다. 대상자의 핵심수기술 수행자신감은 8.23(SD 1.60)점 이었으며, 학습만족도는 7.89(SD 0.87)점이었다. 또한, 서술형 문항에서 학생들은 시공간의 제약이 없는 편리성과 반복적인 자가학습이 가능하다는 점을 가장 큰 강점으로 꼽았으며, 디자인과 기술적인 보완, 교수자 피드백의 필요성을 언급하였다. 본 융합연구의 결과를 활용하여 핵심수기술 자가학습의 효과적인 학습 촉매제로 모바일 앱의 사용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며, 향후 간호대학생의 핵심수기술 수행역량에 대한 모바일 앱의 효과연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