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질량비 변화

검색결과 370건 처리시간 0.028초

혼합증기(수증기/공기)와 물의 직접 접촉 응축 열전달 현상

  • 이한춘;김무환;박수기
    • 한국원자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원자력학회 1998년도 춘계학술발표회논문집(1)
    • /
    • pp.577-583
    • /
    • 1998
  • 직접 접촉에 의한 응축 열전달은 혼합증기의 레이놀즈수, 비응축 가스(공기)의 질량비, 액막의 레이놀즈수, 그리고 액막의 과냉 정도에 따라 영향을 받게 된다. 이러한 변수들의 영향을 고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수평면으로부터 87˚ 기울어진 수직 사각 덕트에서 직접 접촉 응축 열전달 실험을 수행하였다. 위의 각 실험 변수에 따른 평균 열전달 대수의 변화를 고찰하였으며, 실험결과로부터 혼합증기 레이놀즈수, 비웅축 가스의 질량비, 액막 레이놀즈수, 그리고 제이콥수를 변수로 하여 직접 접촉 응축 열전달에 대한 평균 누셀트수에 대한 실험 상관식을 도출하였다. 혼합증기의 직접 접측 웅축 열전달에 대한 평균 열전달 계수는 비응축 가스의 질량비가 증가할수록 현저히 증가함을 보였으며, 액막의 과법 정도가 증가할수록 평균 열전달 계수는 감소하였다. 그리고 혼합증기의 레이놀즈수가 30,000 이상의 템위에서는 액막 레이놀즈수의 변화에 따라 평균 열전달 계수의 변화가 거의 없었다.

  • PDF

전달함수를 이용한 LCVA의 설계변수 분석 (Design Parameter Identification Using Transfer Function of Liquid Column Vibration Absorber (LCVA))

  • 이성경;민경원;정희산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13권4호
    • /
    • pp.47-55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비선형성을 포함하는 액체기둥진동흡진기(LCVA)의 감쇠항에 대한 등가선형화된 운동방정식을 바탕으로하여 가진입력인 진동대 가속도와 출력인 제어력의 관계인 전달함수를 해석적인 식으로 규명하는 것이다. 둘째, LCVA의 주요설계변수인 수직기둥과 수평기둥의 단면적비의 변화에 따른 진동특성분석이다. 셋째, 동조의 수단으로 이용되는 수직기둥 액체의 높이를 변화시켜 진동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LCVA를 진동대 위에 설치하고 가진하여 제어력을 측정하여 실험 전달함수를 구하였다. 이것을 해석적인 전달함수와 비교 및 최적화작업을 수행하여 LCVA의 진동특성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고유진동수, 감쇠비 및 질량비 등을 파악하였다. 실험결과, 액체 수위 및 단면적비의 변화에 따라 감쇠비 및 참여질량비의 특성이 변화하였다. 수직기둥과 수평기둥이 교차하는 엘보우에서 액체의 흐름 변화로 인하여, LCVA 실험체의 수직기둥 단면적이 작아질수록 감쇠비와 참여질량비가 증가하였다.

선형과 비선형 Muskingum-Cunge법에 의한 유출곡선의 특성 비교 (Comparison of Characteristics of Outflow Hydrograph Using the Linear and Nonlinear Muskingum-Cunge Methods)

  • 김진수;김진홍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2권4호
    • /
    • pp.417-426
    • /
    • 1999
  • 횡유입이 없는 경우(sign곡선의 홍수파 유입)와 횡유입이 있는 경우(강우 유입)를 대상으로 선형과 비선형 Muskingum-Cunge법에 의한 단위폭 사면에서의 유출수문곡선의 특성을 비교·고찰하였다. 유출곡선은 선형법에서는 확산효과에 의해서 거의 대칭적으로 확산되나, 비선형법에서는 비선형효과와 확산효과의 상호작용을 의하여 상승부는 급하게 되고, 하강부는 완만하게 된다. 선형법은 유입된 질량을 정확히 보존하나, 비선형법은 질량의 증가나 손실을 초래한다. 비선형법에서 기저유량이 작고 유량변화의 비가 큰 경우, 완경사에서는 파형의 감쇠와 질량의 감소를 가져오나, 급경사에서는 kinematic shock의 생성과 함께 질량의 증가를 가져온다. 같은 특성을 갖는 사면의 경우, 유출곡선의 전파속도와 파형의 변화는 선형법에서는 단위폭당 기준유량에 좌우되나, 비선형법에서는 기저유량 및 유량 변화의 비(= 첨두유량/기저유량)에 좌우된다. 횡유입(강우)이 있는 비선형법의 경우 횡유입이 없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사면경사가 완만하고 유량변화의 비가 클수록 첨두유량은 작아지고 파형은 확산되나, 질량의 손실은 거의 없다.

  • PDF

원통형 부재의 질량비에 따른 와유기진동 특성연구 (Vortex-Induced Vibration of Flexible Cylinders Having Different Mass Ratios)

  • 정태영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28권2호
    • /
    • pp.95-103
    • /
    • 1991
  • 유체흐름중에 있는 원통형부재의 질량비에 따른 와유기진동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일련의 시험이 수행되었다. 실험은 질량비가 서로 다른 5개의 시험봉(길이 60cm:직경 6mm)을 제작하여 해사기술연구소의 공동수조에서 실시하였다. 주요 실험결과로서 원통형부재에 고진동을 유발하는 유체속도의 범위는 질량비에 따라 변화하며, 가벼운 원통형부재가 무거운 원통형부재에 비하여 더 넓은 유체속도 범위에 걸쳐 고진동현상을 나타냄이 정량적으로 밝혀졌다.

  • PDF

젊은 산개성단 NGC 6231의 초기질량함수와 질량분리의 양상

  • 성환경
    • 천문학회보
    • /
    • 제37권1호
    • /
    • pp.60.2-60.2
    • /
    • 2012
  • Sco OB1의 핵심성단 NGC 6231를 호주 Siding Spring 천문대 1m 망원경을 사용하여 -40'${\times}$40' 영역을 관측하였다. 측광자료를 바탕으로 성단의 반경, 성간소광 법칙, 나이 및 초기질량함수를 결정하였다. 성단의 반지름은 구성원의 질량에 상관없이 거의 10' ($R{\approx}4.6pc$)으로 동일한 값을 보였다. 전체적으로는 정상적인 성간소광 법칙을 따르지만, 성단의 중심으로 갈수로 큰 $R_V$를 보여주며, 이는 과거에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초신성의 효과로 추정된다. 질량이 큰 별과 X-선으로 선택된 성단의 전주계열성은 비슷한 평균나이를 보이지만 전주계열성은 훨씬 큰 나이분산을 보였다. 성단전체 초기질량함수의 기울기는 Salpeter 초기질량함수의 기울기와 매우 유사한 ${\Gamma}$=-1.1${\pm}$0.1을 보였으며, 성단 중심거리에 따른 초기질량함수의 기울기는 -1.0${\pm}$0.2에서 -1.8${\pm}$0.5까지 체계적으로 변화를 하였다. 질량이 큰 O형 별의 쌍성비율이 중심거리에 따른 변화를 보이지 않음에 비추어 볼 때, NGC 6231의 질량분리 양상은 역학적 진화의 결과가 아니라 원초적 질량분리현상으로 결론을 내릴 수 있다.

  • PDF

부동질량의 이론적 구성 (Theoretical Construction of a Floating-Mass)

  • 이상배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22-25
    • /
    • 1979
  • Mobility Analogy에 의하면 질량은 전기 커패시턴스에 대응되며 기계회로내에서 모든 질량은 기준점에 접지되어야 한다. 따라서 접지되지 않은 전기 커패시턴스에 대응하는 부동질량은 알려지지 않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두개의 단체지지레버와 하나의 링크, 하나의 질량 그리고 네개의 마찰이 없는 베아링으로 부동질량을 구성했으며, 이렇게 구성된 부동질량은 레버의 길이비를 변화 시키므로서 등가질량의 같을 임의로 변화시킬 수 있음을 보였다.

  • PDF

표면 플라즈몬 공명에 의한 에탄올의 농도 및 굴절률 분석 (Analysis of ethanol concentration and refractive-index by use of surface plasmon resonance effect)

  • 도용화;이관수;송석호;손대원;이상선
    • 한국광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9-14
    • /
    • 2002
  • 감쇠 전반사(attenuated total reflection)를 이용하여 액체의 농도 변화를 측정할 수 있는 표면 플라즈몬 공명 센서를 제작하였다. 센서의 구조는 프리즘 밑면에 금속 박막을 코팅하고 그 밑에 유전체론 접촉시킨 Kretschmann-Raether타입으로 하였고, 금속 박막으로는 센서 물질로 적합한 은(Ag) 박막을 사용하였다. 본 센서의 특성은 일반적으로 금속 박막의 두께에 영향을 받는데, 이론적 분석을 통하여 은 박막의 경우 54 nm의 두께에서 매우 좋은 특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물과 에탄올을 혼합한 용액에서 에탄올의 농도를 변화시켜 가며 이에 따른 보면 플라즈몬 공명 각을 측정하였고, 표면 플라즈몬 공명 각의 변화로부터 혼합 용액의 농도 변화를 구하였다. 에탄올의 농도가 증가하여 50% 질량비 가지 변하는 구간에서 SPR센서가 매우 좋은 특성을 보였으며, 에탄올의 농도 변화를 3$\times$$10^{-2}$ % 질량비 가지 측정할 수 있었다. 또한 물과 에탄올을 혼합한 용액의 굴절률이 용액의 농도 변화에 따라 비선형적으로 변함을 관측하였으며, 물과 에탄을 혼합 용액의 농도에 따른 밀도 변화를 이용해 굴절률 변화의 비선형적 경향을 설명할 수 있었다.

W UMa형 접촉쌍성 AH Cancri에 대한 측광학적 연구

  • 윤재혁;김호일;이재우;김승리;성언창;경재만;오갑수
    • 한국우주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한국우주과학회보)
    • /
    • 한국우주과학회 2003년도 한국우주과학회보 제12권2호
    • /
    • pp.22-22
    • /
    • 2003
  • 1998년 12월부터 1999년 5월까지 총 10일간 소백산천문대의 61cm 망원경과 PM512 CCD 카메라를 이용하여 W UMa형 접촉 식쌍성 AM Cnc의 CCD 측광관측을 수행하여 BVI 광도곡선을 완성하였다. 새로운 광도곡선으로부터 주극심시각 2점, 부극심시각 3점을 얻었다. 이 관측치를 포함하여 AH Cnc의 관측된 모든 극심시각을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 영년 주기 증가를 보이고, 변화 원인을 질량이 큰 별에서 질량이 작은 별로의 보존적 질량이동에 의한 것으로 해석하였다. 영년주기 증가율은 3.18$\times$$10^{-7}$ day/year이다. 새로운 BVI 광도곡선을 WD 쌍성 모델의 접촉모드(Mode 3)로 분석하여 측광해를 산출하였고, 측광해의 결과는 질량비 0.159, 궤도경사각 86$^{\circ}$, 접촉도(fill-out factor) 49%등으로 계산되었다. 측광해를 Sandquist & Shetrone(2003)의 연구결과와 비교하면 질량비와 궤도경사각은 거의 같고, 접촉도는 약간 작은 값이다. 작은 값이다.

  • PDF

식쌍성의 공전주기 변화에 관한 특성 -준분리 식쌍성을 중심으로-

  • 오규동;김천휘
    • 한국우주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한국우주과학회보)
    • /
    • 한국우주과학회 1992년도 한국우주과학회보 제1권1호
    • /
    • pp.16-16
    • /
    • 1992
  • Algo1형의 준분리 식쌍성 가운데 공전주기가 변하는 20여개의 식쌍성들을 택하여 이 식쌍성들의 공전주기 변화량을 결정하였다. 검출된 주기 변화량과 이 별들의 물리량과의 상관관계-즉, 공전주기와공전주기 변화량,주기변화량과 질량비 주기 변화량과 주성과 반성의 온도차, 그리고 변화량과 총 각운동량의 관계등을 조사하였다. 이러한 조사에서 식쌍성의 공전주기 변화가 이러한 별의 물리량과 상호 상관 관계를 보인다며, Algo1형 식쌍성의 진화를 설명할 수 있는 또 다른 자료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 PDF

굴 패각을 잔골재로 사용한 모르타르의 질량비 변화에 따른 강도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trength Properties of Mortar According to Mass ratio change using Oyster shell as Aggregate)

  • 정의인;유남규;홍상훈;김봉주;원철희;최호림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6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56-157
    • /
    • 2016
  • Oyster shell is produced by shucking process in oyster farming in southern coast of Korea. In average, about 6.7kg of oyster shell is produced as an industrial waste for 1kg of oyster flesh, and even only in last year, it is estimated that about 150,000 ton of oyster shell is produced. Oyster shell is light weighted and the strength characteristic of it is similar to sand. So we produced mortar test using different law of multiple proportions of grounded oyster shell powder of its particle size according to fine aggregate standard and reviewed strength Properti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