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질량농도

검색결과 528건 처리시간 0.022초

대기환경변화를 고려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중성화 예측 (Prediction of Carbonation Progress for Concrete Structures Considering Change of Atmospheric Environment)

  • 이창수;윤인석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5권4호
    • /
    • pp.574-584
    • /
    • 2003
  • 도심지 환경에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열화를 일으키는 주요한 요인 중 하나는 중성화이다. 최근, 대기 중 $CO_2$농도와 온도가 크게 증가하는 지구 온난화 현상으로 인하여 중성화 열화환경도 더욱 심각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IPCC에서 제안한 지구규모 대기환경 변화 시나리오인 IS92a를 토대로 향후 100년까지 대기 중 $CO_2$ 농도와 온도 상승율을 예측하였다. 질량보존의 법칙과 Fick의 1법칙을 기초방정식으로 하여 시간경과에 따른 콘크리트의 수화도, 콘크리트 열화에 미치는 각종 주요변수 등의 재료물성을 반영하였다. 또한, 서울시의 미세기후조건을 반영하기 위하여 추계학적 및 통계학적 기법을 도입하여 중성화로 인한 내구수명예측 기법에 반영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물-시멘트비가 큰 콘크리트에서 COS 농도증가로 인한 중성화 진행속도가 뚜렷히 빨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물-시멘트비 55% 이하에서 충분히 양생된 보통 포틀랜드 콘크리트의 조건에서 중성화에 대한 우려가 높지 않을 것으로 생각된다.

HPLC-ICP/MS에서 후 컬럼 동위원소 희석법의 기초적인 불확도 연구 (A short study of uncertainty for post column isotope dilution method in HPLC-ICP/MS)

  • 주민규;박용남
    • 분석과학
    • /
    • 제27권6호
    • /
    • pp.269-276
    • /
    • 2014
  • 후 컬럼 동위원소 희석법의 불확도를 HPLC-ICP/MS에서 Selenomethionine을 분석할 경우에 대하여 간단히 연구하였다. 주요하다고 생각한 오차의 원인으로 셀레늄 동위원소 용액의 농도와 흐름속도, 스파이크 용액과 시료 용액에서의 셀레늄 원자량, 그리고 스파이크된 시료용액에서 측정된 동위원소의 비를 선택하였다. 각 요인에 따른 불확도를 구하고 전체 농도의 불확도에 미치는 요인을 계산한 결과, 각각에 대하여 54.4%와 0.61%, 0.0072%와 0.018%, 그리고 45.0%를 얻었다. 가장 큰 요인은 스파이크 동위원소 용액의 농도이며 두 번째는 스파이크가 첨가된 시료용액에서의 동위원소비이었다. 스파이크 용액의 질량흐름속도와 원자량의 불활도는 크게 영향을 끼치지 못하였다. 계산된 전체불확도는 $126.30ng{\cdot}g^{-1}$ SeMet 표준용액에 대하여 $1.46ng{\cdot}g^{-1}$으로서 실험결과는 $127.09ng{\cdot}g^{-1}$을 얻었고 상대불확도는 1.20%이었다.

금 표면 위의 메르캡토언데카노익산층 표면과 이산화지르코늄 표면 사이의 정전기적 상호작용 (Electrostatic Interaction between Mercaptoundecanoic-acid Layers on Gold and ZrO2 Surfaces)

  • 박진원
    • 공업화학
    • /
    • 제25권6호
    • /
    • pp.607-612
    • /
    • 2014
  • 이산화지르코늄 표면에 흡착되는 금 입자의 분포 또는 그 반대 경우의 분포에 영향을 끼칠 수도 있는 정전기적 상호작용과 금 입자를 코팅한 mercaptoundecanoic acid층의 표면물성을 규명하였다. 이를 위하여, 원자힘현미경(AFM)으로 mercaptoundecanoic acid층 표면과 이산화지르코늄표면 사이의 표면힘을 염 농도와 pH 값에 따라 측정하였다. 측정된 힘은 Derjaguin-Landau-Verwey-overbeek (DLVO) 이론에 의해 표면의 정량적인 전하밀도와 포텐셜 값들로 전환되었다. 이 값들이 염 농도와 pH에 따라 달라지는 특성을 질량보존의 법칙으로 기술하였으며, 산출된 표면 특성의 염 농도 의존성은 이론적으로 예측했던 결과와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Mercaptoundecanoic acid층의 표면이 이산화지르코늄 표면보다 높은 전하밀도와 포텐셜을 갖는 것이 발견되었는데, 이는 mercaptoundecanoic acid층의 이온화 기능기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원자력발전소 토양에 대한 파일롯 규모 토양세척기술 실증 (Verification of Pilot Scale Soil Washing Equipment on Nuclear Power Plant Soil)

  • 손중권;강기두;김학수;박경록;김경덕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2권4호
    • /
    • pp.245-251
    • /
    • 2004
  • 원전의 정상운전이나 해체시 발생될 수 있는 토양의 제염을 위한 토양제염장치를 개발하였으며 실증 실험을 수행하였다. 제염장치를 이용한 제염실험을 종합해본 결과 제염조건에 큰 상관없이 $80{\%}$이상의 제염율을 얻을 수 있었다. 방사능 준위 및 토양입도에 의한 실험결과를 보면 낮은 방사능 농도 및 고입도의 제염율이 다소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제염용액과 토양질량의 비에 따른 제염율은 제염제 부피를 두배로 높였을 경우 방사능 농도가 높은 경우에 큰 것으로 나타났다. 반복 제염은 $0.5{\sim}2.0mm$의 다소 작은 입자에 더욱 효과적으로, 제염이 어려운 작은 입자의 반복제염시 방사능 저감 효과가 비교적 크게 나타났다. 본 오염토양 제염장치를 활용하면 원전에서 발생되는 오염토양의 방사능 농도를 줄일 뿐 아니라 처분양을 줄여 저장공간의 확보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향후 원전의 해체시에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 PDF

금 표면 위에 형성된 글루타싸이온 층의 표면 물성 (Surface Properties of Glutathione Layer Formed on Gold Surfaces)

  • 박진원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0권2호
    • /
    • pp.379-384
    • /
    • 2012
  • 이산화티탄 표면에 흡착되는 금 입자의 분포 또는 그 반대 경우의 분포에 영향을 끼칠 수도 있는 정전기적 상호작용과 금 입자를 코팅한 Glutathione 층의 표면물성을 규명하였다. 이를 위하여, 원자힘현미경(AFM)으로 Glutathione 층표면과 이산화티탄표면 사이의 표면힘을 염 농도와 pH 값에 따라 측정하였다. 측정된 힘은 Derjaguin-Landau-Verwey-Overbeek(DLVO) 이론으로 해석되어 표면의 정전기적인 특성들이 정량적으로 산출되었다. 이 특성들이 염 농도와 pH에 대하여 나타내는 의존성을 질량보존의 법칙으로 기술하였다. pH 8과 11에서 실험으로 산출된 표면 특성의 염 농도 의존성은 이론적으로 예측했던 결과와 일치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pH 8과 11에서 Glutathione 층의 표면이 이산화티탄 표면보다 높은 정전기적 특성을 갖는 것이 발견되었는데, 이는 Glutathione 층의 이온화-기능-그룹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지르코니아와 상호작용하는 금 표면 위의 메르캡토파이러빅산층 표면 물성 (Surface Properties of Mercaptopyruvic-acid Layer Formed on Gold Surfaces Interacting with ZrO2)

  • 박진원
    • 청정기술
    • /
    • 제20권2호
    • /
    • pp.130-135
    • /
    • 2014
  • 지르코니아 표면에 흡착되는 금 입자의 분포 또는 그 반대 경우의 분포에 영향을 끼칠 수도 있는 정전기적 상호작용과 금 입자를 코팅한 메르캡토파이러빅산(mercaptopyruvic-acid)층의 표면물성을 규명하였다. 이를 위하여, 원자힘현미경(atomic force microscope)으로 메르캡토파이러빅산층 표면과 지르코니아표면 사이의 표면힘을 염농도와 pH값에 따라 측정하였다. 측정된 힘은 derjaguin-landau-verwey-overbeek (DLVO) 이론으로 해석되어 표면의 포텐셜과 전하밀도들이 정량적으로 산출되었다. 이 특성들이 염농도와 pH에 대하여 나타내는 의존성을 질량보존의 법칙으로 기술하였다. pH 8 조건에서 실험으로 산출된 표면 특성의 염농도 의존성은 이론적으로 예측했던 결과와 일치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메르캡토파이러빅산층의 표면이 지르코니아 표면보다 높은 포텐셜과 전하밀도를 갖는 것이 발견되었는데, 이는 메르캡토파이러빅산 층의 이온화-기능-그룹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다단 임팩터 Nanosampler를 이용한 진주시 대기에어로졸입자의 입경별 질량농도 특성 (Mass Size Distribution of Atmospheric Aerosol Particles with Nanosampler Cascade Impactor in Jinju City)

  • 박정호;장민재;김형갑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679-687
    • /
    • 2015
  • Atmospheric aerosol particles were investigated at GNTECH university in Jinju city. Samples were collected using the Nanosampler period from January to December 2014. The Nanosampler is a 6 stage cascade impactor(1 stage : > $10{\mu}m$, 2 stage : $2.5{\sim}10{\mu}m$, 3 stage : $1.0{\sim}2.5{\mu}m$, 4 stage : $0.5{\sim}10{\mu}m$, 5 stage : $0.1{\sim}0.5{\mu}m$, back-up : < $0.1{\mu}m$) with the stages having 50% cut-off ranging from 0.1 to $10{\mu}m$ in aerodynamic diameter. The mass size distribution of Atmospheric aerosol particles was unimodal with peak at $1.0{\sim}2.5{\mu}m$ or $0.5{\sim}1.0{\mu}m$. The annual average concentrations of TSP, $PM_{10}$, $PM_{2.5}$, $PM_1$, $PM_{0.5}$ and $PM_{0.1}$ were $44.0{\mu}g/m^3$, $40.3{\mu}g/m^3$, $31.4{\mu}g/m^3$, $18.0{\mu}g/m^3$, $8.0{\mu}g/m^3$, $3.0{\mu}g/m^3$, respectively. On average $PM_{10}$, $PM_{2.5}$, $PM_1$, $PM_{0.5}$ and $PM_{0.1}$ make up 0.91, 0.70, 0.41, 0.19 and 0.07 of TSP, respectively. The annual average of $PM_{2.5}/PM_{10}$ ratio was 0.77.

진주시 대기중 PM10 및 PM2.5의 질량농도 특성 (Characterization of PM10 and PM2.5 Mass Concentrations in Jinju)

  • 박정호;박기형;서정민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3권12호
    • /
    • pp.1963-1970
    • /
    • 2014
  • Ambient particulate matters($PM_{10}$ and $PM_{2.5}$) were investigated at GNTECH university in Jinju city. Samples were collected using a dichotomous sampler(series 240, Andersen Corp.) and a TEOM(Tapered Element Oscillating Microbalance) monitor period from November 2012 to October 2013. For the dichotomous sampler measurements, daily 24-h integrated $PM_{2.5}$ and $PM_{10-2.5}$ ambient air samples were collected at a total flow rate of 16.7 L /min. For the TEOM monitor measurements, daily 1-h integrated $PM_{10}$ ambient air samples were collected at a flow rate of 16.7 L /min. The annual average concentrations of $PM_{10-2.5}$ and $PM_{2.5}$ by a dichotomous sampler were $10.0{\pm}6.1{\mu}g/m^3$ and $22.6{\pm}9.3{\mu}g/m^3$, respectively. And $PM_{10}$ concentration by dichotomous sampler were similar to TEOM monitor by $32.7{\pm}12.9{\mu}g/m^3$ and $31.7{\pm}11.3{\mu}g/m^3$, respectively. And good correlation ($R^2=0.964$) between the two methods was observed. The annual average of $PM_{2.5}/PM_{10}$ ratio was $0.70{\pm}0.12$.

측정방법 및 기상상태에 따른 PM-10 질량농도 비교 (Comparison of the PM-10 mass concentration in different measurement methods and meteorological conditions)

  • 정창훈;박진희;황승만;정용국
    • 한국입자에어로졸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53-62
    • /
    • 2009
  • In this study, the continuous monitoring of the concentration of PM-10 atmospheric particulate matter using beta ray attenuation method was compared with gravimetric method from September, 2006 to August, 2007. On the effects of the PM-10 concentration and mass difference by relative humidity and precipitation were considered. The result showed that the measurement error between beta ray method and gravimetric method are within -3~6% in average, which means PM-10 concentration data with beta ray method are relatively comparable. The current study also shows that the high PM-10 concentration events are mainly due to haze, Asian dust, and high relative humidity and the PM-10 mass concentration is closely related with relative humidity and precipitation events. Based on daily mean data, the PM-10 increases as relative humidity increases up to 70~80%, then decreases over 80% due to the precipitation. However, the distinct measurement discrepancy was not shown between beta ray method and gravimetric method based on current results. Consequently, this study shows that the collocated measurement in different instrument is essential in order to quantify the accuracy of PM-10. Furthermore, the more comprehensive and spatially distributed comparison is needed and this is remained for future study.

  • PDF

HVG-ICPMS을 이용한 식물체 중 게르마늄과 셀레늄의 동시분석 연구 (The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germanium and selenium in plant by hydride vapour generator inductively coupled plasma mass spectrometry)

  • 함용규;김보경;권영욱;백효현;이석기
    • 분석과학
    • /
    • 제24권3호
    • /
    • pp.159-167
    • /
    • 2011
  • 식물 체중에 포함되어 있는 항산화제로서 주목받고 있는 게르마늄과 셀레늄의 극미량 분석에 있어서의 재현성 있는 분석방법을 제시하고자 수소화물생성장치와 유도결합플라스마질량분석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유도결합플라스마질량분석기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torch 대신 에너지 밀도를 높여 이온 간섭, 분자이온 생성 등의 간섭현상을 줄일 수 있는 mini torch를 사용하여 산 종류와 농도의 영향, 수소화물의 생성을 위한 환원조건, 시료 전처리 방법의 차이 등 다양한 조건하에서 상추 중의 게르마늄과 셀레늄을 분석하였다. 분석의 정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회수율 검증과 셀레늄의 표준시료인 SRM-1547, 1570a을 분석하여 기준 값과 비교함으로서 분석의 정확성을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