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질량감소량

검색결과 222건 처리시간 0.026초

불소계 변성 폴리우레아의 합성 및 오존저항 특성 (Synthesis and Ozone Resistance Characteristic of Fluorine-containing modified Polyurea)

  • 김성래;박지용;이종대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4권2호
    • /
    • pp.175-180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내 오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PFPE-diol을 도입하여 불소계 변성 폴리우레아를 합성하였다. 불소 함량에 따라 변성 폴리 우레아(PFDIA-10C, PFDIA-20C, PFDIA-30C)를 제조하였으며 각각의 폴리우레아는 불소를 10 wt%~30 wt% 포함하였다. 제조된 도막의 오존처리 전 후 질량변화를 조사하였고, 도막의 경도, 내마모성, 인장성능 그리고 신장율 등의 물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내 오존성 테스트(10 ppm, 336 h)후에 광학현미경을 통해 도막표면을 관찰한 결과 PFPE-diol의 함량이 20 wt% 이상 일 때 균열, 탈색 그리고 질량감소량에서 양호한 결과를 보여주어 도막의 내 오존성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FT-IR 분석을 통해 PFDIA 합성물의 O-H 피크가 불소 함량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진동기기를 이용한 자세별 운동이 비만에 미치는 영향 (Effective of Change Obesity Index by Specific Posture Exercise Using the Vibrator)

  • 김명철;이우철;한슬기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5호
    • /
    • pp.757-762
    • /
    • 2013
  • 본 연구는 앞 뒤 진동기기를 이용한 자세별 진동운동이 신체질량지수와 신체조성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20대 남녀 41명을 대상으로 총 4개 군으로 나누어 4주 동안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각각 서기자세군(10명), 기마자세군(10명), 네발기기자세군(10명), 복합운동군(10명)으로 구분하여 실시하였으며, 운동 전 후 신체질량지수(BMI), 엉덩이에 대한 허리둘레 비(WHR), 체지방량 변화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서기자세군, 기마자세군, 네발기기자세군 그리고 복합운동군에서 모두 신체질량지수, 엉덩이에 대한 허리둘레 비, 체지방량이 감소하였지만 복합운동군에서만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이를 통해 여러 가지 자세를 혼용한 진동운동이 비만 조절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 할 수 있었다.

PET/CT 검사에서 영상의 질을 유지하기 위한 적정한 $^{18}F$-FDG 투여량의 평가 (Evaluation of Reasonable $^{18}F$-FDG Injected Dose for Maintaining the Image Quality in 3D WB PET/CT)

  • 문아름;이혁;곽인석;최성욱;석재동
    • 핵의학기술
    • /
    • 제15권2호
    • /
    • pp.36-40
    • /
    • 2011
  • PET/CT 검사에서 환자에게 주입되는 $^{18}F$-FDG 투여량은 장비업체에서 제시하는 권고치와 각 병원에서 적용하는 기준치가 서로 다르다. 기준치의 차이로 인한 부적절한 $^{18}F$-FDG 투여량은 환자의 피폭선량을 증가시키고 영상의 질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실험에서는 PET/CT 검사에서 영상의 질을 유지하면서 환자의 피폭선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적정한 $^{18}F$-FDG 투여량에 대한 평가를 하고자 한다. 모형 실험은 NEMA NU2-1994를 이용하여 열소와 배후 방사능비를 4:1로 유지한 상태에서 열소의 방사능 농도를 1, 3, 5, 7, 9 MBq/kg으로 증가시키며 $^{18}F$-FDG를 주입하였다. CT를 이용한 투과촬영 후 2분 30초/bed의 방출영상을 3차원 (3D) 모드로 획득하였다. 열소와 배후방사능 부위에 각각 관심영역을 설정하고 최대 표준섭취계수(Standard Uptake Value maximum, $SUV_{max}$)를 얻은 후 해당 위치에서의 신호대 잡음비(Signal to Noise Ratio, SNR)를 비교 분석하였다. 임상실험은 2009년 11월부터 2010년 8월까지 내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PET/CT 검사를 시행한 환자영상에서 간병변이 없는 97명의 환자를 선별하여 간(liver)과 대퇴부(thigh) 영역에 관심영역을 설정하고 $SUV_{max}$를 측정하여 투여량에 따른 영상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모형 실험에서 단위 질량 당 주입된 방사능 농도는 1, 3, 5, 7, 9 MBq/kg으로 $SUV_{max}$는 23.1, 24.1, 24.3, 22.8, 23.6, SNR은 0.48, 0.54, 0.56, 0.55, 0.55로 나타났다. 5 MBq/kg 이하의 방사능 농도에서는 투여량의 증가에 따라 $SUV_{max}$와 SNR이 증가하지만 7 MBq/kg 이상에서는 감소하였다. 임상 실험의 경우는 단위 질량 당 주입된 방사능 농도가 4.72, 5.34, 6.16, 7.41, 8.68 MBq/kg으로 증가할수록 $SUV_{max}$는 2.68, 2.67, 2.26, 1.88, 1.95, SNR이 0.52, 0.53, 0.46, 0.46, 0.44로 5 MBq/kg의 투여량을 초과할 경우 모형 실험에서와 같은 감소양상을 보였다. 환자의 체중을 고려한 $^{18}F$-FDG 투여량의 증가는 일정 범위 내에서 영상의 질을 향상시키지만 그 범위를 초과할 경우 우발동시계수 및 산란계수의 증가로 인하여 오히려 영상의 질이 저하된다. 실험 결과로부터 3D PET/CT 검사 시 단위질량 당 주입된 방사능 농도 5 MBq/kg이 최적의 주입선량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 PDF

플라즈마 제트를 이용한 선택적 에미터 도핑 공정 장치 개발

  • 진세환;김윤중;한국희;김현철;이원영;조광섭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4년도 제46회 동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239.2-239.2
    • /
    • 2014
  • 태양전지의 전면전극과 웨이퍼의 접촉저항은 태양전지의 효율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전면전극과 웨이퍼의 접촉저항을 감소시키는 공정으로써 선택적 에미터 도핑이 널리 적용되고 있다. 선택적 에미터 도핑은 태양전지의 전면전극 하부에 고농도 도핑을 함으로써 전극과 웨이퍼의 접촉저항을 감소시켜 태양전지의 효율상승을 유도한다. 이러한 선택적 에미터 도핑은 주로 고가의 레이저 장비가 요구 되어 생산단가가 높으며 웨이퍼의 구조적 손상을 야기한다. 본 연구에서는 고가의 레이저 장비를 플라즈마 제트 장치로 대체함으로써 생산단가를 낮추고자 한다. 도펀트가 도포된 웨이퍼에 플라즈마 제트를 조사하면 플라즈마 전류 흐름에 의한 저항 열이 발생한다. 발생된 열에 의해 도펀트가 웨이퍼에 확산되어 도핑된다. 플라즈마 제트로 구성된 선택적 에미터 도핑 장비 개발을 위한 기초 특성을 조사한다. 플라즈마 제트의 전류량의 변화에 따른 웨이퍼의 온도 특성과 도포된 도펀트 용재의 인산 함유량에 따른 도핑 깊이를 조사한다. 또한 선택적 에미터 도핑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중 채널 플라즈마 제트 장치를 구성하여 특성을 조사한다. 각 채널의 플라즈마 제트의 선폭과 전류량이 적절한 균일도를 갖도록 한다. 도핑 프로파일은 이차 이온 질량분석법을 통해 분석한다.

  • PDF

목재부후균이 흰개미 서식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Wood Decaying Fungi for Termite Ecology)

  • 조창욱;김영희;홍진영;김수지;이정민;최정은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33호
    • /
    • pp.99-108
    • /
    • 2012
  • 백색부후균(Trametes versicolor)과 갈색부후균(Tyromyces palustris)은 목조문화재 및 건축물 등의 목재 조직의 건조, 부패과 균열, 스펀지화, 변색 등 다양한 손상을 발생시켜 구조적, 미학적인 관점에서 심각한 문제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가장 피해를 많이 주는 해충인 흰개미(Reticulitermes speratus Kyushuensis Morimoto)는 목조건축물의 옥외 기둥이나 대들보 등의 표층을 얇게 남겨두고 내부를 침해함으로써, 결국은 속이 빈 기둥이 되어 건축물이 무너져버리는 피해를 줄 수 있다. 대표적 피해 미생물인 목재부후 균이 흰개미의 서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부후균이 만연된 곳에 흰개미를 넣어 공존 가능성을 실험해 보았다. 목재의 중량으로 피해율을 산정한 결과, 전반적인 총질량은 두 종류의 부후균에서 모두 감소하였다. 목재의 질량은 백색부후균에서는 모두 감소하였으나, 갈색부후균에서는 오히려 증가한 경향을 볼 수 있었다. 그리고 섭식량을 측정하기 위한 목재의 건조 후 질량에서는 갈색부후균에 넣었던 목재의 질량 감소가 더 크게 나타났다.

  • PDF

동물성 첨가제가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의 기초 물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nimal Additives on the Fundamental Properties of Mortar and Concrete)

  • 송진우;문승권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7권1호
    • /
    • pp.69-75
    • /
    • 2012
  • 본 연구는 모르타르와 콘크리트에 첨가제로서, 돈혈을 혼합하였을 때 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험을 실시하였다. 모르타르 실험에는 단위질량, 플로우, 압축강도 실험을 실시하였고, 콘크리트 실험에는 공기량, 슬럼프, 블리딩, 응결시간, 압축강도, 동결융해저항성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로서, 돈혈을 모르타르와 콘크리트에 첨가하면 공기연행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르타르 실험에서는 플로우 값은 증가하며, 단위중량은 감소하고, 압축강도는 공기연행에 의해 감소하였다. 콘크리트 실험에서는 돈혈을 첨가하였을 때 공기연행효과로 공기량은 증가하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공기량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으며, 응결시간이 지연되고, 블리딩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공기연행작용으로 인하여 강도가 감소하며, 동결융해 저항성은 향상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식변광성 WZ ANDROMEDAE의 질량교환 (MASS EXCHANGE OF THE ECLIPSING BINARY WZ ANDROMEDAE)

  • 오규동
    • 천문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23-30
    • /
    • 1977
  • 식변광성 WZ And에 대한 지금까지 관측 발표된 극심시각을 수집하여 이 별의 수기 변화를 분석하였다. 0-C도에 의한 이 별의 주변화는 JD2418000과 JD243500근처에서 각각 dp/p=$+4.24{\times}10^{-6}$과 dp/p=$-2.46{\times}10^{-6}$의 돌발적인 주기 변화를 보였다. WZ And의 주기변화의 모습을 분석하기 위하여 Biermann and Hall(1973)이 제시한 접촉 연섬계로부터 $7.42{\times}10^6M_0$가 온도가 높은 별(hotter component)로 교환됨을 산출하였다. 이러한 량의 질량교환으로 인한 주기감소를 계산하였다. 질량교환 모델에 의한 JD243500이후의 이론적인 주기로 $0^d.69565848$를 얻었으며, 관측에 의한 0-C도로부터 얻은 주기 $0^d.69566034$과 매우 잘 일치하고 있다. 한편, WZ And의 질량비에 의하면 이 별은 온도가 더 높은 별이 Roche lobe를 채우고 있음을 보여주며 이러한 WZ And는 Paczynski(1970)의 접촉연성계의 접화단계에서 Stage II에 있는 별이다.

  • PDF

목재 내 Copper Azole 보유량이 목재부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Copper Azole Retention Level to Wood Decay)

  • 이현미;손동원;이한솔;황원중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3권1호
    • /
    • pp.112-121
    • /
    • 2015
  •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가압주입 처리용 구리 붕소 아졸화합물계의 목재 방부제 Copper Azole (CuAz)의 목재내 주입량별 부후 특성을 조사하였다. 여러 가지 주입량으로 CuAz-2 방부제를 가압주입한 시편을 이용하여 갈색부후균인 부후개떡버섯에 의한 방부효력시험을 실시한 후 질량감소율을 측정하였다. 또한, CuAz-2 처리 시편을 부후개떡 버섯으로 부후시킨 후 광학현미경과 전자현미경으로 부후 특성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부후개떡버섯에 의한 무처리재는 40% 이상의 질량감소율을 보여주었고 실내 부후에 의한 CuAz-2 약제의 방부효력을 나타내는 값은 $1.79{\sim}3.32kg/m^3$이었다. CuAz-2의 주입량에 따라 횡단면, 방사단면, 접선단면에서의 목재조직은 무처리 시편과 비교하여 부후 정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횡단면에서는 조재와 만재부분에서 수직수지구, 방사조직의 부후가 많이 관찰되었고, 방사단면에서는 방사가도관, 방사유세포, 벽공 부분이 부후되어 파괴되었고, 접선단면에서는 방사조직, 수평수지구가 심하게 부후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주입량에 따른 부후 현상이 크게 차이가 난 점 등을 고려하여, 현재의 CuAz-2 주입량에 대한 적정성 검토가 국내 환경에 대해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기체질량분석기를 이용한 유정란 부화과정의 호흡량 분석 (Analysis of respiration gas of a fertile chicken egg during incubation by gas mass spectrometer)

  • 김현주;민들레;김달호;김진석
    • 분석과학
    • /
    • 제26권6호
    • /
    • pp.401-406
    • /
    • 2013
  • 유정란의 부화과정 동안 소모되는 산소와 배출되는 이산화탄소의 양을 기체질량분석기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20 일에 걸친 유정란과 무정란의 인공부화 과정 동안 기체 시료를 채취하기 위해 밀폐된 구조의 시료 챔버를 제작하였다. 2~4 일 간격으로 시료 챔버 안에 유정란을 1 시간 동안 방치한 후, 실린지를 이용해 밀폐된 시료 챔버로부터 2 mL의 기체 시료를 채취한 후 기체질량분석기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인공부화를 시작한 후 약 10 일 후부터 닭 배아의 산소 소모량과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20 일 후에는 시간당 23 mL의 산소를 소모하고 16 mL의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였다. 전체 부화 기간 동안 산소의 농도는 4.3 mol% 감소하였고 이산화탄소의 농도는 3.1 mole% 증가하여 소모된 산소의 몰수와 배출된 이산화탄소의 몰수가 같지 않았다. 한편, 동일한 기간 동안 질소의 농도는 약 1.3 mol% 증가하였으며 그 증가된 농도는 소모된 산소와 배출된 이산화탄소의 농도변화량의 차이와 비슷한 값을 보였다. 따라서 질소의 몰분율 증가는 소모된 산소와 배출된 이산화탄소 간의 몰분율 차이에 의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기체의 조성 변화량을 정확히 측정하여 유정란의 부화과정 중 호흡현상을 설명할 수 있었다.

Glyceryl Monooleate와 Conjugated Linoleic Acid로부터 효소적 반응을 이용한 기능성 유지 합성 (Synthesis of Functional Lipid from Glyceryl Monooleate and Conjugated Linoleic Acid by Enzymatic Reaction)

  • 전미선;이기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8호
    • /
    • pp.1062-1068
    • /
    • 2009
  • DAG 합성율이 가장 높은 몰비율을 선정하기 위하여 GMO와 CLA의 몰비율을 1:1, 2:1 그리고 3:1로 하고 Lipozyme TLIM은 기질 질량의 20%를 사용하여 반응하였다. 그 결과 총 DAG의 함량은 1 hr일 때 높게 나타나 몰비율이 1:1, 2:1, 3:1(GMO:CLA)일 경우 각각 42.6, 54.4 그리고 54.6 area%로 나타났고, DAG 함량이 높은 2:1과 3:1의 기질몰비율 조건 중 MAG와 TAG의 함량이 낮았던 2:1 비율을 가장 적합한 비율로 선정하였다. 적합한 몰비율로 선정된 GMO와 CLA의 몰비율 2:1에 효소량을 2%, 5%, 10% 그리고 20%를 사용하여 효소량에 따른 DAG 합성율을 살펴 본 결과, 효소량을 10% 사용하였을 경우, 반응 6 hr에서 56.2 area%의 가장 높은 DAG 함량을 나타내었다. 이어 Lipozyme TLIM을 10% 사용하여 GMO와 CLA의 몰비율 2:1에 molecular sieves를 전체 기질 질량의 10% 사용하여 molecular sieves 첨가의 유, 무에 따른 DAG 합성율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효소량을 5%를 사용하여 반응하였을 경우 molecular sieves를 첨가하지 않았을 때보다 총 DAG 함량이 약 30%의 증가율을 보였고, 효소량을 10% 사용하였을 경우 23%의 증가율을 보였다. 이상에서 DAG가 가장 많이 합성된 반응조건은 몰비율이 GMO와 CLA가 2:1이고, Lipozyme TLIM과 molecular sieves의 양이 각각 기질 질량의 10%씩 사용되었을 때이었다. 이 반응 조건으로 6 hr 반응하였을 때 최대의 DAG량이 생성되어 그 함량은 69 area%로 나타났으며, 1,3-DAG과 1,2-DAG의 지방산 조성변화를 살펴 본 결과 1,2-DAG의 지방산 조성 중 CLA의 함량은 반응 시간이 지날수록 증가한 반면, 1,3-DAG의 CLA 함량은 1 hr에서 24 hr까지 증가하였다가 72 hr에서 감소함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