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진로 선택

검색결과 1,209건 처리시간 0.026초

고등학교 가정과 선택과목 개발을 위한 미국 고등학교 가정과 교육과정 사례 연구: 미국 오하이오 주(州)를 중심으로 (Examining the Family and Consumer Sciences Curriculum in the Unites States for Developing the Home Economics Elective Courses for South Korean High Schools: A Case Study of the State of Ohio)

  • 김샛별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1-51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가정과 진로 선택과목을 개발해 운영하고 있는 오하이오 주 가정과 교육과정 사례를 살펴, 우리나라 고교학점제를 대비하기 위한 가정과 진로 선택과목 개발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오하이오 주 교육청 홈페이지에서 교육과정 문서 19건을 다운받아 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오하이오 주가 제시한 가정과 진로 계열은 학문적 특성, 대학 입시, 학생들의 관심과 요구, 사회의 변화 등을 고려해 개발한 것으로, 이를 참고하여 우리나라 가정과 교육 실정에 맞는 가정과 진로 계열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둘째, 오하이오 주 가정과 교육은 4개의 가정과 진로 계열과 각 계열에서 이수할 수 있는 총 18개의 선택과목명과 내용체계를 제시하고 있었다. 이에 한국 가정과교육학회 차원에서 TF팀을 구성하여 '가정 진로 계열'-'대학 학과'-'진로 선택과목' 안을 개발한 뒤, 이를 기반으로 가정과 진로 선택과목에 관한 고등학생들의 요구를 파악해 수요자 중심의 진로 선택과목을 개발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셋째, 일반 선택과목인 '기술·가정(가정 교과)', 그리고 진로 선택과목인 '가정 과학'의 위계성과 내용 계열성을 고려하여, 가정과 진로 선택과목을 이수하기 위한 기초과목으로써 새로운 일반 선택과목 개발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고등학생들의 대입 전형에 실제적인 도움이 주기위해 입학사정관, 가정과 교육과정 전문가, 진로 교사, 대입 전문가, 교수, 가정과 교사들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 및 의견을 반영하여 가정 계열 대학 진학을 위해 필요한 진로 선택과목을 개발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전문대학생의 IT자격증 취득에 따른 진로자기효능감 및 진로선택 (The College Student for Career Self Efficacy and Career Choice According to IT Qualification)

  • 조현숙;양승복
    • 한국정보컨버전스학회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25-29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전문대학생의 진로자기효능감 및 진로선택을 분석하였다. 전문대학생의 진로자기효능감과 진로선택은 전공계열과 전공만족도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으며, 성별의 경우 진로선택에서만 차이가 나타났다. IT자격증 유무는 진로자기효능감과 진로선택에 있어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전문대학생의 경우 진로자기효능감을 높이기위해서는 전공계열별로 전공만족도를 향상시킬 필요가 있으며, 진로선택시 대부분이 전공계열로 진학 및 취업 할 계획이기에 전공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PDF

의과대학생의 미래와 진로지도

  • 양은배
    • 의학교육논단
    • /
    • 제8권1호
    • /
    • pp.35-54
    • /
    • 2006
  • 의사에게 있어 자신의 적성과 능력에 부합하는 세부 전공을 선택하는 것은 자신의 자아실현뿐만 아니라 환자들에게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것은 의과대학생들의 전공 선택을 위해 의과대학 재학 중에 이루어지는 진로개발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이 글은 의과대학생 개개인의 적성과 소질에 따른 전공 선택을 어떻게 지도할 수 있는지 단계별 진로지도 전략에 대해 고찰하였다. 전공 선택 지도의 첫 번째 단계는 자기평가이다. 자기평가는 자신의 적성과 능력에 맞는 전공을 선택하기 위해 스스로에 대한 정보를 모으고 이해하는 과정이다. 두 번째는 전공탐색 단계이다. 이 단계는 자신의 적성과 능력에 부합할 가능성이 높은 전공과목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것이다. 세 번째는 전공 선택 단계이다. 이 과정은 학생 스스로에 대한 자기평가 결과 및 전공에 대한 탐색 결과에 기초하여 자신이 어떤 분야에 더 적합한가에 대한 의사결정을 하는 과정이다. 전공 선택을 위한 접근 방법의 마지막은 전공 영역의 수련을 위해서 자신이 결정한 전공 선택을 이행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자신이 선택한 전공영역, 그리고 전공의 수련교육과정을 제공하는 교육기관에 응시원서를 제출하고, 면접을 실시하는 과정이 포함된다. 의과대학생들이 자신의 적성과 소질에 따른 전공 선택과 의과대학생 개개인의 선택의 문제를 넘어 의료 인력의 수급, 의료서비스의 질적인 수준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그러므로 의과대학은 대학의 책무성 수행차원에서 학생들의 가치관 확립과 진로지도를 위한 체계적인 학생 진로지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학생들을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한다.

진로 선택 및 발달 이론의 통합에 관한 소고 (Toward an Integrated Theory of Career Choice and Development)

  • 이희영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0권2호
    • /
    • pp.201-208
    • /
    • 2008
  • 진로상담에 대한 관심과 요구가 높다. 효과적인 진로상담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나름대로의 이론적 틀을 가지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다양한 진로문제를 다루기 위해서는 어느 한 이론보다 통합된 관점을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진로이론 4가지 선정하여 각 이론의 독특성을 검토한 후 이를 기초로 하나의 통합된 관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Holland의 유형론, Super의 자아개념발달이론, Krumboltz의 의사결정의 사회학습이론, Dawis와 Lofquist의 직업적응이론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 진로 이론은 진로 선택 및 발달의 영역에 따라 유용성에 있어 차이를 보였다. 다시 말하면, 어떤 이론이 다른 이론보다 진로 선택 및 발달의 특정 측면을 이해하고 설명하는 데 더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각 이론의 독특성을 고려하여 기존의 이론들을 하나의 이론으로 통합하는 것이 가능하고 유용할 것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기초로 진로이론 통합의 한 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대학생의 진로 결정과 진로 선택 동기, 진로 역량의 인과적 관계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Career Decision-making, Motivation for Career Choices, Career Capabilities of Undergraduate Students)

  • 김은정;이태원;성행남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4호
    • /
    • pp.73-89
    • /
    • 2021
  • 대학생 시기에 진로에 대한 목표를 설정하고, 진로를 결정하는 것은 인생에서 매우 중요한 과업 중 하나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진로 선택 동기와 진로 역량 및 진로 결정의 구조적 관계를 조사 분석하여 대학생들의 진로 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부산 소재 4년제 D대학에 재학중인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다. 총 326부의 자료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으며, SPSS 25와 AMOS 25를 이용하여 경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는 첫째 내재적 진로 선택 동기와 외재적 진로 선택 동기는 각각 진로 역량인 진로 성찰과 진로 관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 역량인 진로 성찰과 진로 관리는 진로 결정 구성 요인인 진로 결정 구체성과 진로 결정 확신성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재적 진로 선택 동기와 외재적 진로 선택 동기는 진로 역량인 진로 성찰과 진로 관리를 매개하여 진로 결정 구체성과 확신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대학생의 진로 결정의 구체성과 확신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진로 성찰 역량과 진로 관리 역량을 증진 시킬 필요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불확실한 고용환경의 변화와 높은 청년 실업률과 함께 직업의 종류가 매우 다양해지고 고도로 전문화되면서 대학생이 자신에게 적합한 진로 결정에 대한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현 상황에서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에서의 진로 상담과 진로 지도에 활용할 수 있는 대학생의 진로 결정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문화예술분야의 진로선택요인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Factors of Career Choice in Culture Arts)

  • 정재엽;최명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8호
    • /
    • pp.383-390
    • /
    • 2017
  • 본 연구는 문화예술 전공자를 대상으로 진로선택요인이 무엇인지 규명하고 이중 가장 영향력이 높은 요인이 무엇인지 연구하였다. 또한 진로선택의 요인과 진로장벽으로의 외부환경요인이 취업자와 창업자에 따라 다르게 인지되는지, 성별에 따라 다르게 인지되는지 연구하였다. 경기도 소재 문화예술 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불성실 응답을 제외한 233부를 분석하였다. 통계분석은 t-test, MANOVA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문화예술전공자의 진로선택요인을 규명하였으며 취창업 선택 시 고려하는 진로선택요인을 서열 순으로 확인하였다. 문화예술 전공자들의 취창업그룹간, 성별간에 진로선택요인의 차이가 있었으며 두 요인간의 상호작용효과도 일부 요인에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문화예술분야 전공자의 진로선택에 대한 이해를 높여주어 향후 진로교육과 상담 등의 기초자료로 사용가능하며 취창업교육에 활용이 가능하다.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선택동기가 진로적응력에 미치는영향 : 자기주도학습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otivation for Choosing Teaching on Career Adaptabilit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Directed Learning)

  • 엄세진;좌승화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6호
    • /
    • pp.291-300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들의 교직선택동기, 진로적응력, 자기주도학습 간의 관계는 어떠한지 알아보며,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선택동기가 진로적응력과의 관계에서 자기주도학습을 매개로 하여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광역시 소재 예비유아교사 271명을 대상으로 교직선택동기, 진로적응력, 자기주도학습는 어떠한지를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를 실시하였고, 각 변인간의 상관을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구하였고, 중다회귀분석과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선택동기, 자기주도학습, 진로적응력의 인식에서는 진로적응력, 자기주도학습, 교직선택동기 순으로 높게 나왔다. 둘째, 교직선택동기가 높아질수록 자기주도학습과 진로적응력이 높아지고, 자기주도학습이 높아질수록 진로적응력이 높아지는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자기주도학습은 교직선택동기와 진로적응력을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질 높은 유아교사교육을 실천하는데 다양한 관점을 모색하고 유아교사 양성기관의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대학생들의 진로선택에 대한 특성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Students in Selecting Career)

  • 노효련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논문집 1부
    • /
    • pp.64-67
    • /
    • 2012
  • 본 논문은 대학교 신입생들의 진로선택에 대한 특성을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1개 학부, 16개 학과의 2011년 신입생 750명이었다.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대학 및 학과 선택과 사항을 파악하였으며 자기기입식으로 작성하였다. 지원한 대학의 수는 3~4개가 가장 많았으며, 고 3 시기에 대학과 전공을 주로 결정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교보다 학과에 비중을 두고 선택하는 경우가 많았다. 진로선택 유형에서는 가족형이 가장 많았고 학교형, 독립형, 학원형 순으로 나타났다. 학과 선택시의 기준은 적성고려, 취업전망 순이었고, 입학하는 학과에 대해 대부분의 신입생들이 사전 정보와 지식을 갖고 있었다. 대학 선택시 기준은 합격 가능성이 높은 곳을 주로 선택하고 있었다. 고교교사/학교와 인터넷을 통하여 대학을 알게 된 경우가 가장 많았고, TV/라디오, 신문과 같은 매체를 통해 알게 된 경우는 아주 적었다. 따라서, 진로선택에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부모와 가족들을 대상으로 한 대학과 전공에 대한 정확한 정보 제공이 필요하며 고교와 인터넷, 스마트폰과 같은 매체를 이용한 홍보 전략의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과학 관련 진로 선택 과정의 구조 방정식 모형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f the Process of Science Related Career Choice)

  • 윤진;박승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517-530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의 과학관련 진로 선택과 관련된 주요 요인들 사이의 인과 관계를 규명하여, 학생들의 과학진로 선택과정을 잘 설명할 수 있는 모형을 찾는 것이다. 요인 분석을 통하여 과학관련 진로 선택과 관련된 주요요인으로 과학 관련 진로에 대한 인식, 과학 학습에 대한 선호, 과학 관련 활동에의 참여 등 세 요인을 선정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한 공변량 구조분석이 가능하도록 과학관련 진로 선택 요인을 알기 위한 설문지를 문헌연구와 예비검사를 통해 개발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지역의 초등학교 6학년, 중학교 3학년, 고등학교 2학년 등 전체 947명으로, 학년별 남녀별 학생 수는 거의 같게 구성하였다. 과학관련 진로 선택의 주요 요인들 사이의 인과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구조 방정식 모형을 통한 공변량 구조 분석의 결과, 이론 모형을 수정하여 자료와 잘 맞는 4가지 모형을 얻었다. 네 수정모형 모두에서, 과학 관련 진로 선택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은 과학 관련 진로에 대한 인식이었고, 과학학습에 대한 선호와 과학 관련 활동 참여는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적합도 지수가 가장 좋은 모형에 의하면, 과학 관련 진로 선택에 대하여, 과학 관련 진로에 대한 인식은 0.82의 직접 효과와 0.21의 간접 효과를 합한 1.03의 전체효과를 주고, 과학학습에 대한 선호는 과학 관련 활동 참여에 영향을 주면서 0.65의 간접 효과를 주고, 과학 관련 활동 참여는 과학 관련 진로 인식에 영향을 주면서 0.79의 간접 효과를 주었다. 학교의 과학 교육에 대한 시사점으로는 더 많은 학생들이 과학 관련 진로를 선택하게 하려면, 과학관련 진로인식을 높이도록 하는 것이 가장 큰 효과를 줄 수 있으며, 다음으로는 다양한 관학관련 활동에 참여하도록 하는 것과 과학학습에 대한 선호를 높이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과학관련 진로선택 과정을 더 잘 설명하기 위해서는, 과학관련 진로 선택 요인들을 더욱 포괄하는 모형의 구축이 필요하여, 연구대상을 과학고 학생들이나, 과학기술계 대학생들로 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검증하고 보완할 필요가 있다. 과학관련 진로 선택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고려한 과학진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투입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일개지역 전문대학 보건행정과 학생들의 전공 만족과 향후 진로 선택의 상관성 (Correlation Between Major Satisfaction and Further Career Choices of the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Health Administration College)

  • 이여진;신준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725-733
    • /
    • 2012
  • 본 연구 대상은 광주 전남 보건행정학과 대학생으로 전공과 만족을 일반, 관계, 인식, 교과만족도에 따라 만족도를 파악하고 향후 진로 선택과 상관성을 설문을 통하여 조사 하였다. 광주광역시 3곳, 전라남도 4개의 전문대학 대학생 270명을 편의 추출하였다. 연구결과 연구 대상자 중 향후 전공 진로를 의무기록사로 선택하고자 하는 대상자가 가장 많았으며, 그 중 62.4%가 전공과에 만족하였고, 향후 진로별로 전공 만족도는 차이가 있었으며, 의무기록사를 선택하고자 하는 학생들이 타 전공 진로를 선택하고자 하는 학생에 비해 전공과 만족이 높았다. 보건행정학과 학생의 전공 진로 선택에 전공 만족이 미치는 영향 요인 중 일반적인 특성에서 3학년에 비해 2학년의 전공 만족도가 4.13배 높았고, 입학 당시 비자발적으로 선택한 그룹에 비해 자발적으로 전공(학과)을 선택한 그룹의 전공만족도가 8.04배 유의하게 높았다. 전공 만족 하위 영역 중 전공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인식 만족도가 하인 그룹에 비해 상인 그룹에서 전공 만족도가 3.93배 유의하게 높았다. 전공과 만족이 향후 진로 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로지스틱 분석한 결과 전공 진로를 의무기록사로 선택하고자 하였을 경우 의무기록사를 선택하지 않은 학생들에 비해 전공 만족도가 2.06배 유의하게 높았고, 비자발적으로 선택한 의무기록사 그룹보다 자발적으로 선택한 의무기록사 그룹에서 전공만족도가 4.51배 유의하게 높았다. 전공과 만족 및 향후 진로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하고 전공 만족 하위영역 중 인식 만족도가 높을수록 전공과 선택에 만족하며, 진로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하고 있을 때 진로 선택과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 진로가 다양한 보건행정 학과 특성을 고려한 각 전공 진로별 전공 만족도를 높이는 방안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