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진로성숙

검색결과 185건 처리시간 0.026초

간호입문교육 콘텐츠가 신입생의 진로태도성숙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Nursing Introduction Content on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Self-Efficacy of first year students)

  • 김자숙;한수정;한승욱;김수현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285-296
    • /
    • 2014
  • 본 연구는 간호학과 신입생을 위한 간호입문교육 콘텐츠를 개발하고, 교과목으로서 적용이 간호학과 신입생의 진로태도성숙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 대상은 K대학교 간호학과 신입생으로 연구 목적을 이해하고 참여하기를 동의한 129명이 참여하였다. 연구 방법은 단일군 사후 사전 실험설계 연구로 수집된 자료는 SPSS 1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대상자의 간호입문교육 콘텐츠 적용 전 후의 진로태도성숙과 자기효능감의 차이는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또한 진로태도성숙과 자기효능감의 상관관계를 Pearson's correlat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간호입문교육 콘텐츠 적용은 간호학과 신입생의 진로태도성숙(t=2.36, p=.002)과 자기효능감(t=2.92, p=.004)을 상승시켜 주었고, 진로태도성숙과 자기효능감의 상관관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강한 양의 상관관계를(r=.609, p<.001)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 간호입문교육 콘텐츠를 하나의 교과목으로 이용하여 간호학과 신입생의 학교생활 적응을 돕는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ICT를 활용한 다양한 교수학습법과 간호교육 콘텐츠 개발을 제언한다.

중학교 기술·가정교과와 연계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구안과 적용 (Design and Application of Career Education Program Related to the Subject Manual Training and Home Economics of Middle School)

  • 이희순;김희진;윤성혜;천성문
    • 직업교육연구
    • /
    • 제29권3호
    • /
    • pp.247-263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3학년 기술 가정교과와 연계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구안 적용하여 진로성숙도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 소재의 D여자중학교 3학년 2개 학급 60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에 한 회기에 45분씩 총 15회기의 프로그램을 시행하였고, 통제집단에는 어떠한 조치도 취하지 않았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진로성숙도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SPSS/Window 12를 사용하여 진로성숙도 검사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알아보고, 그에 따른 집단 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하여 두 집단의 사후검사 점수에 대해 각각 공변량 분석(ANCOVA)하였다. 그 결과는 첫째, 진로성숙도 태도영역인 독립성과 계획성 요인의 사후검사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또 일에 대한 태도 요인에서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후검사 결과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진로성숙도 능력영역인 직업의 이해능력, 자신의 이해능력, 직업선택능력, 의사결정능력의 사후검사 점수에 대한 집단 간 차이의 유의도를 검증한 결과 두 집단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비추어 볼 때, 본 연구의 기술 가정 교과와 연계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중학생들의 진로성숙도를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효과적이고 유용한 프로그램임을 알 수 있다.

고등학생의 가족건강성과 진로성숙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mily Strength and the Career Maturity of High School Students)

  • 양남희;홍은실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143-157
    • /
    • 2011
  • 본 연구는 고등학생 청소년을 대상으로 가족건강성과 진로성숙도의 일반적인 경향과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를 파악하고, 가족건강성에 따른 진로성숙도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광주광역시 소재 인문계와 실업계 고등학교의 1, 2, 3학년을 대상으로 2010년 11월 3일-11월 21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1000부를 배부하여 부실자료를 제외한 858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건강성은 아홉 가지 가족건강성 하위영역 중 가족에 대한 존중이 3.59점으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은 감사와 애정정서, 가족 간 문제해결능력, 가족 경제적 안정, 역할의 충실도, 유대의식, 긍정적 의사소통과 가치관목표공유의 순이었고, 사회와의 유대의식은 2.90으로 가장 낮았다. 총 가족건강성은 3.36으로 중간 정도를 나타내었다. 둘째, 진로성숙도의 하위영역 중 관여성이 3.40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은 성향성, 독립성, 타협성의 순이었으며, 결정성이 2,75로 가장 낮았다. 총 진로성숙도 점수는 3.05이었다. 셋째, 배경변인에 따른 가족건강성은 여학생이, 인문계고교 학생이, 부모와 본인 종교가 있을 경우, 부모의 학력이 대체로 높은 경우, 부모의 결혼유형은 초혼인 경우, 경제수준이 상인 경우, 부모결혼기간은 길수록, 부모와 동거하는 경우, 친조부모와 외조부와는 비동거시, 부모의 직업이 전문직인 경우 가족건강성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배경변인에 따른 진로성숙도는 어머니나 본인의 종교가 없거나 불교인 학생이, 부모의 학력이 대졸인 경우, 부모의 결혼유형이 초혼이거나 재혼인 경우, 경제수준이 중간 이상인 경우, 부모결혼기간은 11년-30년 사이인 경우, 부모와 동거하는 학생이, 친조모와 외조부와 동거하지 않는 학생이, 부모의 직업이 전문직인 경우 진로성숙도가 높았다. 다섯째, 가족건강성에 따른 진로성숙도가 하위영역에서는 다소 상반된 결과를 보였지만 가족건강성은 총 진로성숙도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어서 가족건강성이 높을수록 진로성숙도가 높게 나타났다. 특히 관여성과 성향성에서 그 효과는 더욱 명백하였다. 반면 조사대상 학생의 평균점수가 중간점수 미만이었던 결정성과 타협성은 가족건강성이 낮은 학생에게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한편 독립성은 가족건강성이 높은 학생이 가장 낮았고 가족건강성이 중간인 학생이 가장 높았다.

  • PDF

영재 청소년의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자녀관계 요인: 성별 및 학교급, 일반학생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Parents-Children Relationship Factors on Gifted Adolescents' Career Maturity : Focusing on Gender, Secondary School Level, and Comparison with Regular Adolescents)

  • 채유정;이현주
    • 영재교육연구
    • /
    • 제26권4호
    • /
    • pp.565-585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영재성, 성별, 학교급에 따른 청소년의 진로성숙, 부모-자녀관계 및 활동에서의 차이를 분석하고, 진로성숙에 대한 영향 변인에서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집단 간 차이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수학, 과학 영재교육원에 재원중인 중학교 1학년~고등학교 2학년 학생 213명과 일반학교에 재학 중인 중학교 1학년~고등학교 2학년 학생 243명이 관련 설문에 참여하였다. 먼저 진로성숙, 부모-자녀관계(성취기대, 존경, 죄송함), 부모와의 활동(토론 문화, 생활 일상), 부모의 진로지원에서 영재성, 성별, 학교급별 차이가 존재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기초통계 분석, 상관분석 및 다변량분석을 실시하였고, 영재와 일반학생의 집단 간 진로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각 변인에 대한 영재학생과 일반학생 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영재학생은 진로성숙, 성취기대(부모-자녀관계), 존경(부모-자녀관계), 토론 문화(부모와의 활동), 생활 일상(부모와의 활동), 부모의 진로지원에서 일반학생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둘째, 각 변인에 대한 성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생활 일상 활동에서 부모와 더 빈번한 활동을 공유한다고 나타났으나, 그 외의 변인에서는 성별에 대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학교급에 따른 각 변인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중학생들이 부모-자녀 관계 중 성취기대, 통제, 존경변인을 더 높게 지각하였고, 부모와의 활동(토론 문화 및 생활 일상)에 있어서도 그 빈도가 더 높다고 지각하였다. 넷째, 위계적 중다회귀분석 결과, 모든 관련 변인을 투입했을 때 일반 및 영재학생 모두 부모의 진로지원이 진로성숙도에 가장 큰 정적 영향력을 미쳤으며, 부모와의 활동 중 토론 문화가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일반 및 영재학생에게 부모-자녀간의 토론과 문화 활동을 활발히 하고 이를 통한 진로교육을 제공할 것을 제안하였다.

외식전공 대학생의 생물학적 성과 성역할 정체감 유형에 따른 진로태도성숙도 차이 (The Differences of Career Attitude Maturity according to Biological Sex and Sex-role Identity Types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Foodservice)

  • 나태균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50-63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외식전공 대학생들의 생물학적 성과 성역할 정체감 유형에 따른 진로태도성숙도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대전, 대구광역시에 소재한 2년제 전문대학 4개교에서 외식관련 분야를 전공하는 300명의 표본을 추출하였고 34부의 설문지를 제외한 총 266부의 설문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태도성숙 수준은 외식관련 여성전공자 보다 남성 전공자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태도성숙 수준은 양성성 유형의 외식관련 전공자의 성숙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남성성, 여성성, 미분화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셋째, 외식관련 남성 전공자 중 양성성, 남성성, 미분화로 분류된 전공자의 진로에 대한 결정성, 목적성, 확신성이 여성 전공자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 전공자 중 여성성으로 분류된 전공자의 진로에 대한 결정성, 목적성, 확신성이 남성 전공자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외식관련 전공자의 생물학적 성과 성역할 정체감을 고려한 진로지도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양성성 유형의 전공자가 진로발달에 바람직하고 긍정적인 것을 보여준다. 그러므로 외식관련 전공자의 생물학적 성별에 따른 양성성을 강화할 진로상담프로그램이 개발되어져야 할 것이다.

대학의 진로지도 수업이 대학생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areer Guidance Courses on Self-Efficacy in Career Path Decisions and Career Maturity of University Students)

  • 안태숙;유영주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10호
    • /
    • pp.174-182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의 정규교과목으로 개설된 진로지도 수업의 교육적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효과 변인으로 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를 측정하였다. 연구대상은 4년제 대학의 2학년 학생 33명으로, 15주차의 진로지도 교과목을 수강하였다. 연구방법은 동일집단 사전·사후 측정설계로, 진로지도 수강 전·후 차이검증을 위해 대응표본 t-test를 실행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교과목 수강 전보다 수강 후가 높게 나타나 그 차이가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하였다. 둘째, 대학생의 진로성숙도에 대한 수강 전·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고등교육과정의 진로지도 수업이 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 향상에 교육적 효과가 있음을 입증해 주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교육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과 부모의 사회적 지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진로성숙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Parental Social Support,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and the Career Maturity of the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 금지헌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50권7호
    • /
    • pp.59-66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 causal relationship in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parental social support,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and the career maturity of the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 total of 374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excluding the 23 copies deemed insincere in response. To ensur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questions, technical statistics of the frequency, ratio, average, standard deviation, skewness, and kurtosis via PASW 18.0, item-total correlation, the totality, and the reliability analysis. The structural analysis via AMOS 7.0 in the bootstrapping method was undertaken to perform the path analysis among the variables and to assess the suitability of the model. The findings of the study led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he causal model for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parental social support,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and the career maturity of the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s suitable to empirical analysis on research variables. Second, the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has direct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positively. Third, parental social support of th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has indirect effects on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positively.

미용전공대학생의 진로성숙도가 진로의사결정유형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areer Maturity of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Cosmetology on Career decision-making styles)

  • 최영재;이인희;김윤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2호
    • /
    • pp.7068-7076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미용전공대학생의 학년별 진로성숙도와 진로의사결정유형의 차이를 파악하고 진로성숙도와 진로 의사결정유형의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미용전공대학생의 진로 상담 및 교육 시 체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도움이 될 수 있는 지침개발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수도권 지역의 미용관련학과 336명이다. 진로성숙도는 고학년일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진로성숙도가 높을수록 합리적 진로의사결정유형에, 진로성숙도가 낮을수록 의존적 진로의사결정과 밀접한 상호관련성을 보였다. 고학년일수록 진로 결정을 위해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며 체계적인 단계를 거쳐 논리적으로 결정하는 합리적인 유형을 나타냈고. 저학년일수록 자신의 현재 감정이나 상황에 따라 정서적 자각을 통해 결정 내리는 직관적 유형과 주변인이나 환경의 영향에 따라 결정 내리는 의존적인 유형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진로성숙도와 진로의사결정유형은 학년별 차이를 보였으며 또한 두 변인 간의 중요성이 밝혀진 만큼 저학년부터 진로성숙도를 높이고 그에 따라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학년별 체계적인 프로그램과 함께 진로지도가 이루어진다면 학생들이 진로를 결정하는데 있어 도움이 될 것이라 사료된다.

진로체험의 효과: 진로성숙도와 학업성취도 (The Effects of Career Experiential Learning: Career Maturity and Academic Achievement in Korea)

  • 김기헌;유홍준;오병돈
    • 직업교육연구
    • /
    • 제33권3호
    • /
    • pp.19-36
    • /
    • 2014
  • 이 연구는 청소년들의 진로체험이 진로성숙도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를 보다 면밀하게 진단하기 위해 미경험자와 경험자간의 무작위성(randomness)을 확보할 수 있는 CEM(Coarsened Exact Matching) 방법을 도입하여 분석하였다. 진로체험은 매칭 후에도 다른 요인을 모두 통제한 상태에서 진로성숙도와 학업성취도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중학생과 고등학생을 나누어 분석한 두 가지 결과에서 동일하게 나타났다. 나아가 직접체험과 간접체험을 구분하여 비교 분석한 결과, 두 가지 역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효과를 보여주었으며 진로성숙도에 대한 영향에 있어서 간접체험보다는 직접체험이 더 큰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진로체험이 진로 관련 특성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학업 관련 특성에도 도움이 된다는 사실을 말해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끝으로 이 연구에서는 진로체험의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진로체험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과 이 연구가 가지는 한계점을 함께 제시하였다.

커리어포트폴리오형 및 교사주도형 진로탐색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진로성숙도와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career exploration programs using career portfolio and teacher-directed on the career maturity and career identity in middle school students)

  • 신임선;장윤옥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85-104
    • /
    • 2012
  • 본 연구는 중학교 3학년 기술 가정 "산업과 진로" 단원의 수업에서 커리어포트폴리오형과 교사주도형 진로탐색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이들 각각의 진로탐색 프로그램이 진로성숙도와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효과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구광역시에 소재하는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커리어포트폴리오형에 60명, 교사주도형에 60명을 분류 배정한 후 각각 총 9차시의 진로탐색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또한 진로탐색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는 통제집단에도 60명을 배정하였다. 측정도구로는 진로태도 성숙도 검사(CAMI), 진로정체감 척도, 그리고 가정환경조사서로 구성된 질문지를 사용하였고, 자료분석으로는 공변량분석(ANCOVA)과 Scheff$\grave{e}$의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커리어포트폴리오형과 교사주도형 진로탐색 프로그램에 참여한 중학생들이 진로탐색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중학생들보다 진로성숙도가 유의하게 더 많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커리어포트폴리오형 진로탐색 프로그램에 참여한 중학생들이 교사주도형 진로탐색 프로그램에 참여한 중학생들에 비해 확신성과 준비성의 진로성숙이 유의하게 더 많이 향상되었다. 둘째, 커리어포트폴리오형과 교사주도형 진로탐색 프로그램에 참여한 중학생들이 진로탐색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중학생들보다 진로정체감이 유의하게 더 많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커리어포트폴리오형 진로탐색 프로그램에 참여한 중학생들이 교사주도형 진로탐색 프로그램에 참여한 중학생들에 비해 안정성, 목표지향성, 자기주장의 진로정체감이 유의하게 더 많이 향상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