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진로성숙도

검색결과 186건 처리시간 0.023초

일반고 학생의 자아인식 및 수업태도와 진로성숙의 관계에 대한 연구: 부모와 대화에 의한 진로탐색효능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awareness and Class Attitude and Career Maturity of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Verification of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n Career Exploration Efficacy through Conversation with Parents)

  • 유현경;남정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490-504
    • /
    • 2021
  • 본 연구는 일반고 학생들의 진로성숙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사회인지진로이론에 근거하여 자아인식과 수업태도가 진로성숙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 부모와 대화 빈도에 의한 진로탐색효능감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일반고 2학년에 대한 연구를 위해, 한국교육고용패널(KEEP) II의 1차년도 설문 결과에서 일반고(자율고 포함) 5943명의 자료를 SPSS 22와 PROCESS macro의 모델 7번을 사용하여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긍정적인 자아인식과 수업태도는 진로성숙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진로탐색효능감은 자아인식 및 수업태도와 진로성숙을 매개한다. 셋째, 자아인식과 진로성숙의 관계에서 부모와 대화의 빈도에 의한 진로탐색효능감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는다. 넷째, 수업태도와 진로성숙의 관계에서 부모와 대화 빈도에 의한 진로탐색효능감의 대립조절된 매개효과가 나타난다. 이러한 연구에 기반하여 일반고 학생들의 진로성숙을 위한 시사점과 향후 과제를 제안하였다.

대학생의 진로의사결정유형에 따른 진로의식성숙 (Career decision-making styles and career maturity amongst Korean undergraduate students)

  • 김영희;김경은;최정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1223-1233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진로의사결정유형과 진로의식성숙정도를 파악하고, 진로의사결정유형에 따른 진로의식성숙에서의 차이를 알아봄으로써 진로지도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지침개발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6개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223명이다. 대학생들의 진로의사결정유형에서 합리적 의사결정점수가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직관적 의사결정, 의존적 의사결정 순으로 나타났다. 진로의식성숙에서 스스로 진로를 정하는 진로독립성, 진로관여성은 높은데 비해 직업선택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나 진로타협성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에 따른 진로의식 성숙에서는 2, 3학년에 비해 1, 4학년이 진로결정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경제적 수준에 따른 진로의식 성숙에서도 상류층은 하류층에 비해 진로결정성이 높았으나 진로독립성은 낮았다. 진로의사결정유형에 따른 진로의식성숙에서는 합리적 의사결정유형집단이 의존적 의사결정유형집단에 비해 진로독립성이 높고 직업 선택의 태도가 긍정적이었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의사결정유형에 따른 진로의식성숙의 차이를 보여 진로지도에서 의사결정유형의 중요성을 인식시켰으며, 더불어 대학교 취업교육현장에서 진로의식성숙을 함양하기 위한 개입 방안을 모색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진로집단상담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진로태도성숙도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areer Group Counseling Program on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Female College Students)

  • 허정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0호
    • /
    • pp.356-364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진로집단상담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진로태도성숙도와 진로준비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 진로집단상담프로그램은 여대생의 진로태도성숙도의 하위 영역 가운데 결정성, 준비성 영역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나, 현실성 영역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진로집단상담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진로준비행동 하위 영역 가운데 탐색행동, 준비행동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진로집단상담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진로태도성숙도와 진로준비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증명한 것이다. 앞으로 여대생들의 진로태도성숙도와 진로준비행동의 향상을 위해 더욱더 체계적인 진로집단상담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실제로 활용도를 높여 가야 할 것이다.

진로집단상담프로그램이 보호관찰소 청소년의 진로태도성숙도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areer Group Counseling Program on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Adolescents on Probation)

  • 허정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1호
    • /
    • pp.154-164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진로집단상담프로그램이 보호관찰소 청소년의 진로태도성숙도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 진로집단상담프로그램은 보호관찰소 청소년의 진로태도성숙도의 하위 영역 가운데 현실성, 준비성 영역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나, 결정성 영역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진로집단상담프로그램이 보호관찰소 청소년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 하위 영역 가운데 목표선택, 직업정보, 미래계획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나, 문제해결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진로집단상담프로그램이 보호관찰소 청소년의 진로태도성숙도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증명한 것이다. 앞으로 보호관찰소 청소년의 진로태도성숙도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향상을 위해 더욱더 체계적인 진로집단상담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실제로 활용도를 높여 가야 할 것이다.

고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과 진로성숙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igh School Students' "Adaptation to School Life" and "Career Maturity.")

  • 정주원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01-118
    • /
    • 2014
  • 진로의 결정이 중요하게 작용하는 고등학생에게 있어 진로성숙은 개인적인 자아실현과 행복을 위해서만이 아니라 국가 인적자원의 극대화를 위해서도 매우 중요하다. 대부분의 시간을 학교에서 보내는 고등학생의 진로에 대한 이해는 학생의 측면에서 그들이 인지하는 학교에 대한 생각과 개인적인 성장의 관점에서 바라봄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진로성숙을 학교생활 적응과 자아존중감과의 관계에서 파악해 보고자 7차년도 한국복지패널의 부가조사 자료를 이용하였다. 고등학생 496명을 분석대상으로 학교생활적응, 자아존중감, 진로성숙의 정도와 관계를 파악하고자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분석을 하였으며, 학교생활 적응과 자아존중감이 진로성숙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학교생활적응과 진로성숙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변인 역할을 파악하고자 Baron과 Kennny의 매개효과분석법과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의 진로성숙은 평균 2.07이며, 자아존중감은 1.91로 나타났으며, 학교생활적응에서는 학교규범준수와 친구관계가 학교생활태도, 학교생활흥미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고등학생의 진로성숙, 학교생활적응, 자아존중감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생활적응의 하위영역인 학교생활흥미, 학교생활태도, 학교규범준수, 친구관계와 자아존중감은 고등학생의 진로성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넷째, 학교생활적응과 진로성숙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부분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고등학생의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력과 관련성을 파악한 본 연구는 학생측면에서 진로성숙을 위한 근본적이고 체계적인 접근을 이해하게 함으로써, 진로성숙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진행에 의미 있는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 PDF

여대생의 자기효능감과 대인관계능력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Self-Resilience in Influences of Female College Students' Self-Efficacy, Interpersonal Competence on Career Maturity)

  • 정유진;변상해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225-238
    • /
    • 2017
  • 본 연구는 자기효능감, 대인관계능력과 자아탄력성을 결합시켜 여대생의 진로성숙도 증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예비조사로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2017년 3월 6일 부터 3월 20일까지 진로지원센터를 운영하는 00도 00대학에 재학 중인 여대생 345명에게 설문을 실시하여, 333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SPSS v.22를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의 수입과 학년은 진로성숙도에서 집단 간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둘째, 자기효능감은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인관계능력은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아탄력성은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 대인관계능력과 진로성숙도 사이에서 모두 매개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의도된 변인들을 결합시킨 진로성숙도 증진 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진로를 지원하는데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정보교과수업에 따른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 정보교과성취도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Self-Efficacy, Career Maturity, and Information Subject Achievement According to Information Classes)

  • 박성준;임현승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5권6호
    • /
    • pp.907-915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정보 특성화고 학생들의 정보교과수업에 따른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 정보교과성취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서울시 소재 2개의 정보 특성화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2학년, 3학년 학생 214명을 대상으로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 정보교과성취도의 상관관계를 설문조사를 통해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 정보교과성취도의 차이 분석에서는 성별, 학년, 정보교과목에 대한 교외학습, 개인학습 여부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인의 성적이 상위집단에 속한다고 인식할수록 자기효능감, 정보교과성취도 수준을 높게 인식하였으며, 진로성숙도도 대체로 높게 인식하였다. 둘째, 학생들의 자기효능감은 진로성숙도와 정보교과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학생들의 진로성숙도가 정보교과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학생들의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 정보교과성취도 향상을 위한 교육제도의 발전 방향을 간략히 제시한다.

Effect of a Career Value Clarification Program on Career Consciousness Maturity and Career Decision-Making of Female College Students

  • Jung-chul Heo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11호
    • /
    • pp.191-199
    • /
    • 2023
  • 이 논문에서 우리는 진로가치명료화 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진로의식성숙과 진로의사결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K여자대학교 70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진로가치명료화 프로그램은 여대생의 진로의식성숙의 하위 요인 가운데 진로결정성, 진로관여성, 진로독립성, 진로성향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진로의사결정의 하위 요인 가운데 합리적 유형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진로가치명료화 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진로의식성숙과 진로의사결정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 준다. 여대생들의 진로의식성숙과 진로의사결정을 긍정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진로가치명료화 프로그램으로 지역사회에 여러 기관들을 방문하여 진로에 필요한 자격증과 활동들을 알고 실질적으로 진로준비를 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 그리고 대학에서는 현장 전문가들을 적극적으로 초청하여 그 직업이 추구하는 가치가 무엇이고 어떤 일을 하는지를 알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해 주어야 할 것이다.

청소년의 자원봉사활동 경험이 진로의식 성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ffect of Volunteer Experience on Career Maturity among Youths)

  • 홍은숙;이화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1호
    • /
    • pp.137-153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자원봉사활동 경험(동기, 지속성, 만족도, 내용)을 독립변수로 진로의식 성숙도(결정성, 관여성, 독립성, 성향성)을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각 하위요인에 대한 평균차이와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부산시내 중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지법 조사가 이루어졌다. 519사례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으며 이중 청소년 자원봉사활동의 경험이 있는 376명을 대상으로 자원봉사 활동과 진로의식 성숙간의 영향 관계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는 결과는, 첫째, 자원봉사활동 경험은 청소년의 진로의식 성숙도에 영향을 미쳤다. 즉, 자원봉사활동 경험이 있는 집단이 없는 집단에 비해 진로에 대한 관심과 관여 수준이 더 높으며, 진로 및 직업에 대한 가치수준이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자원봉사활동 경험은 진로의식 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자원봉사활동 동기가 이기적인 경우, 자원봉사활동 만족도가 높을수록, 자원봉사활동을 많이 할수록 진로의식성숙도가 높았다.

자기주도학습능력과 진로성숙도 간 자기회귀교차지연 효과검증: 서울지역 중·고등학생을 중심으로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Career Maturity using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b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 정주영;박균열;이인수;이수진
    • 직업교육연구
    • /
    • 제35권4호
    • /
    • pp.89-107
    • /
    • 2016
  • 본 연구는 서울지역 중 고등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과 진로성숙도 간 종단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서울교육종단연구 데이터를 활용하여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주도학습능력 변인의 경우, 1차년도에서 6차년도에 이르는 시간경로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성숙도 변인 역시 1차년도에서 6차년도에 이르는 시간경로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주도학습능력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은 시간 흐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영향관계를 보인 반면, 진로성숙도가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중학교에서의 자기주도학습 강화 프로그램 정착, 입시제도가 아닌 진로발달단계를 고려한 진로지도 및 진로교육, 중 고등학교에의 진로진학상담교사 추가 배치 등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