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진로산업

검색결과 217건 처리시간 0.036초

대학생의 성장마인드셋과 진로관여행동의 관계에서 진로적응성의 매개효과 검증 (Study on the Influence of Growth Mindset of University Students on Occupational Engagement: Testing the Mediation Effect of Career Adaptability)

  • 장우정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3호
    • /
    • pp.49-56
    • /
    • 2023
  • 본 연구는 성장마인드셋과 진로관여행동의 관계에서 진로적응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서울,경기,충청도 소재 대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하여 최종 203개의 자료가 수집되었다. 자료분석은 SPSS 25.0, AMOS 25.0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분석을 수행했고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은 확인적 요인분석을 기반으로 측정 모형을 평가한 이후 구조적 관계를 확인했다. 연구결과 성장마인드셋은 진로관여행동에 직접영향을 미쳤으며(𝛽=.254, p<.01) 성장마인드셋이 진로적응성을 거쳐 진로관여행동에 미치는 매개효과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𝛽 =.137, p<.01).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올바른 진로 안내를 위해 진로관여행동의 촉진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 성장마인드셋과 진로적응성의 함양을 위한 실질적인 전략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대학생의 진로목표지향성이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대학생활 적응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매개로 (Effects of College Students' Career Goal Orientation on Career Identify : According to Life Style College Life Adaptation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s a Medium)

  • 이현숙;양유정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205-213
    • /
    • 2021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목표지향성이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대학생활 적응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대학생의 진로정체감의 수준을 높이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하였다. J도에 위치한 대학교의 학생을 대상으로 수집된 331부의 설문지를 연구 자료로 SPSS win 24.0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진로목표지향성, 대학생활 적응,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정체감은 각각의 변수 간에 모두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대학생활 적응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진로정체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로분석 결과 진로목표지향성은 대학생활 적응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생의 진로정체감 수준의 향상을 위하여 진로목표지향성, 대학생활 적응,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높이기 위한 효율적인 방안과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청소년 창직교육을 통한 창업의지 변화에 대한 연구: 자기주도 학습력과 창의성역량의 매개효과 확인

  • 황교진;이우진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61-165
    • /
    • 2019
  • 4차 산업혁명으로 기존 일자리가 사라지고 있으며, 보다 창의적인 진로전략이 요구되고 있다. 기존의 진로전략이 구직(求職), 즉 '직업을 찾는다.'는 개념이었다면,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중요한 진로전략인 창직은 구직의 틀에서 벗어나 개인이 직업을 적극적으로 발굴하고 일자리를 창출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즉, 개인이 직업을 '발굴하고', '선택한다.'는 점이 중요하며, 구직이 '남이 나를 고용한다.'는데 의미가 있다면, 창직은 '내가 나를 고용한다.'는 점에서 구직자의 주체적이고 적극적인 의지를 더욱 필요로 하고 있다. 창직교육을 통해 청소년이 자신의 진로를 직접 발굴하고 선택할 수 있는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향상이 자기고용을 이루기 위한 주체적이고 적극적인 의지를 반영하는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창직교육 프로그램을 처치한 실험집단은 총 293명으로 검증 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대인관계기술, 자기주도 학습력, 기업가정신, 기회발견, 기회활용, 사회적 문제해결력, 창의성역량, 창업의지 전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평균값의 상승을 보였다. 창직교육 프로그램을 처치하지 않은 통제집단은 총 85명으로 사전/사후의 평균값이 미미한 수준의 차이를 보였다.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자기주도 학습력과 창의성역량이 매우 두드러지게 향상되었고,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창업의지가 두드러지게 향상되었다. 반면, 통제집단은 실험집단과 비교하여 자기주도 학습력과 창의성역량이 미약하게 향상되었고, 진로결정 자기효능감도 미약하게 향상되었으나 오히려 창업의지는 감소하였다. 본 연구로 창직교육을 통한 자기주도 학습력과 창의성역량의 향상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창업의지에 매개변수가 되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창업의지를 향상시켰음을 알 수 있다.

  • PDF

현장실습경험이 대학생의 진로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가혜영;김보영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20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71-175
    • /
    • 2020
  • 최근 대학의 진로지도는 재학생들에게 산업 현장에서의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학교에서 배운 전공지식을 기업현장에 적용하여 전공과 관련된 실무경험을 축적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대학에서의 현장실습은 더욱 강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이를 통해 학생들이 습득하는 산업현장에 관한 경험, 정보와 아이디어가 진로에 대한 자신감을 향상시켜 졸업 후 고용획득 뿐만 아니라 창업의 동기로 작용하기도 하는지 확인하는 것은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진로에 대한 자신감을 향상시켜 이에 따른 행동을 이끌어 내기 위한 동기적 측면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이와 함께 능동적이고 계획적으로 진로를 선택해 나가는 자기주도적 경력태도와 기업가정신에 따라 현장실습경험이 고용가능성과 창업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분석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예상되는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현장실습 경험은 대학생이 인식한 고용가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창업의도에도 직접적으로 영향을 줄 것이다. 둘째, 대학생의 자기주도적 경력태도는 현장실습 경험에 따른 고용가능성과 창업의도 사이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셋째. 대학생의 기업가정신은 현장실습 경험에 따른 고용가능성과 창업의도 사이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PDF

진로지속학습과 직업적 사명감이 청년 교사의 진로성공에 미치는 영향: 진로개발압력의 조건부 직접효과 (Effect of career continuous learning and a sense of professional mission on career success of Chinese young teachers: Conditional direct effect of career development pressure)

  • 이가영;조혜화;이창식
    • 산업진흥연구
    • /
    • 제9권1호
    • /
    • pp.249-257
    • /
    • 2024
  • 본 연구는 중국 청년 교사를 대상으로 진로지속학습이 직업적 사명감을 경유하여 진로성공에 미치는 영향에서 진로개발압력의 조건부 직접효과를 확인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자료는 중국 광동지역의 한 대학교에서 유의표집한 청년 교사 35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하여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PC+ Win ver. 25.0과 SPSS PROCESS macro ver. 4.2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적용된 통계방법은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분석 및 조건부직접효과 분석이었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지속학습 및 직업적 사명감은 진로성공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진로개발압력과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개발압력은 진로성공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진로지속학습이 직업적 사명감을 경유하여 진로성공에 미치는 영향에서 진로개발압력의 조건부 직접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진로지속학습 뿐만 아니라 직업적 사명감과 진로개발압력을 동시에 활용하여 진로성공을 증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산업계에서 보는 기계기술자

  • 임종염
    • 기계저널
    • /
    • 제16권2호
    • /
    • pp.43-49
    • /
    • 1976
  • 모든 산업은 "기술의 산업"이라고 일컬어지는 "기계공업"에 바탕을두고 있으며 또한 이분야의 응용 내지활용을 잘 하므로서 산업의 발전을 기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때 특히 발전 도상에 있는 우리나라의 산업계가 기대하는 기계기술자의 활동범위와 역할이란 실로 넓고도 무거 운 것이라 말할 수 있다. 기계기술자가 산업계에 투신하여 어떤 분야에서 어떤 역할과 내용으로 산업계를 발전시켜 나갈 것인가를 찾기 위하여 이하광의 기계공업의 내용을 고찰하고, 중요성을 인식하고, 기술개발상의 문제점을 파헤쳐 보면서, 우리나라 기계공업이 놓인 현황과 위치를 평가 해 가면서 우리 기계기술자의 진로를 찾아보기로 한다.기계기술자의 진로를 찾아보기로 한다.

  • PDF

철도 자동 진로 설정

  • 이낙영;박성전;이근석;전덕현;이광형
    • 산업공학
    • /
    • 제2권1호
    • /
    • pp.29-35
    • /
    • 1989
  • 본 논문에서는 대우엔지니어링 철도사업부가 연구하였던 A공장 내의 철도시스템의 제어 시스템 설계 및 구현에 관한 사례를 중심으로, 철도시스템의 특성 및 자동제어시스템의 특성을 정리하고 시스템 설계방법을 논의 하고자 한다. 철도상의 최소경로 진로설정 문제는 철로의 특성상 특수한 제약이 있기 때문에 다른 일반적인 최소경로 선택방법에 따라서 기관차의 진로를 결정 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팀이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구현한 철도제어시스템에서는 각 출발지와 목적지별로 가능한 경로를 나열한 table들을 자성하였으며, 이 table들을 이용하여 최소경로를 선택하였다.

  • PDF

체육교육전공 대학생들의 교사역량이 교과전공만족 및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eacher Competency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on Curriculum-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

  • 박규리;안완식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4호
    • /
    • pp.145-155
    • /
    • 2023
  • 본 연구는 체육교육전공 대학생들의 교사역량이 교과전공만족 및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2022년 4월1일~4월 30일까지 경기도, 충청도, 대전 등에 있는 사범대학교 재학 중인 체육교육 전공자들을 대상으로 비확률 표집인 유의표집방법(pur-posive sampling)을 이용하여 표본추출 후 연구 참가자 400명을 표집으로 조사하여 최종 340명을 대상으로 교차분석을 시행하였다. 첫째, 교사역량은 진로결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교사역량은 진로결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교과전공만족은 진로결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교사역량과 교과전공만족 및 진로결정 간에는 인과적 관계가 형성 되었다. 체육교육전공 대학생들의 교사역량이 교과전공만족 및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함으로써 향후 예비체육 교사들의 진로결정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