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진동분포

Search Result 591,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냉각재펌프 진동진단의 온-라인화에 관한 연구

  • 이철권;박희윤;박진석;구인수;하재흥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7.10a
    • /
    • pp.233-238
    • /
    • 1997
  • 위그너분포(Wigner Distribution)를 이용하여 진동신호를 분석하고, 신경회로망을 이용하여 온라인으로 진동발생에 따른 냉각재펌프의 이상상태를 진단하고자 하였다. 진동신호 분석을 위하여 현재 정상 가동중인 원전 냉각재펌프의 진동신호와 Rotor Kit으로부터 이상상태에 대한 모의신호를 추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진동신호 분석을 위하여 시간 및 주파수성분을 동시에 표현가능한 위그너분포 이론을 적용하므로써 기존의 시간 및 주파수성분을 별도로 표현하던 방법보다 신호분석이 용이함을 확인하였으며, 이 신호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역전파 신경회로망의 패턴인식 및 분류 특징을 이용한 진단결과는 실험데이타 량에 비추어 만족할 만한 인식률을 보였다.

  • PDF

건식 진공펌프의 상태진단을 위한 PMS 프로그램 개발

  • Jeong, Wan-Seop;Im, Jong-Yeon;Nam, Seung-Hwan;Kim, Hak-Seung;No, Myeong-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3.08a
    • /
    • pp.106.2-106.2
    • /
    • 2013
  • 본 논문은 반도체 및 평판 디스플레이 생산공정에서 가동되고 있는 건식 진공펌프들의 정밀 상태진단 및 예지 보수를 위한 pump monitoring system (PMS)의 제품화에 필요한 프로그램의 개발 내용을 소개한다. 본 연구에서 소개하는 건식 진공펌프들의 정밀 상태진단 및 예지보수기법은 PCT 특허 2 건으로 이미 등록된 내용이며, 본 논문은 이들 기법의 실제 구현에서 직면하는 기술적 문제점과 극복 방안을 제시한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반도체 공정에 사용되고 있는 건식 진공펌프들로부터 측정하는 다중 상태변수들의 조사 결과를 소개한다. 이들 상태변수 측정치들이 갖는 개략적 특성을 통계적 분포함수로 분석한 결과를 우선 보인다. 특히 펌프 구동모터들의 소비 전류신호는 두 평균값에 대한 분포 즉 두 종의 분포함수를, 그리고 온도, purge gas 유량, 배기구 압력 등은 정상적 평균값에 대한 한나의 분포를 보였다. 따라서 구동모터들의 소비전류의 분포 즉 두 상하 수준('low and high' current level)에 따라 batch data를 구분하는 방법의 개발이 필요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step 함수형 eigenvector를 적용하여 소비전류 신호의 상하수준 천이 영역과 방향을 동시에 인식할 수 있는 기법을 개발 적용하였으며, 3300회의 배출가스 부하에 변화에 대한 천이 영역과 방향을 인식에 하나의 실패도 보이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기존의 측정 상태변수에는 회전기계류의 정밀 상태진단 및 예지보수에 핵심적인 기계진동 측정용 진동센서를 포함하고 있지 않은 기술적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기존 진동센서들의 높은 가격 뿐 아니라 진동센서의 출력신호를 저/중/고역 주파수 대역의 실효치로 환산하는 기술적 한계 때문에 진공펌프 상태진단에 아직 사용하고 있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진동선서 비용의 저감화 방안뿐 아니라 로터 회전 대역(250Hz 이하 저주파 영역), 베어링 진동 대역(250 Hz~2.5 kHz의 중간 주파수 영역), 그리고 기어 진동 대역(2.5 kHz~10 kHz 주파수 영역)별 실효치를 실 시간 측정할 수 있는 진동측정 모듈의 제품화 모델을 개발하였다. 개발 제품의 성능 뿐 아니라 현장 시험결과를 소개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팀이 개발한 PCT 특허 2 건에 포함된 건식 진공펌프들의 정밀 상태진단 및 예지보수기법에 대한 현장 시험결과를 간략히 소개한다.

  • PDF

Acoustic Field in an Ultrasonic Cleaner (초음파 세정기의 음장)

  • 최주영;김정호;김진오;조문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5.04a
    • /
    • pp.190-195
    • /
    • 1995
  • 초음파 세정기에 의한 세정 성능의 향상을 위한 연구로서, 세정조 내에서의 초음파 전파 현상을 이론적으로 밝히고, 수치해석에 의해 실제 상황의 음압 분포를 구하였으며, 실험에 의해 세정액 내 음압 분포를 확인하였다. 세정액 내의 음압 분포는 세정기 진동판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반파장 간격으로 극대점 또는 극소점이 반복된다. 이에 근거하여 세정 성능 향상 대책이 제시될 수 있게 되었다.

  • PDF

Response Characteristics of Secondary Structures Subjected to Stationary Random Base Excitation (랜덤 기저가진을 받는 부-구조물의 응답특성)

  • 진춘언;김천욱
    • Journal of KSNVE
    • /
    • v.8 no.4
    • /
    • pp.741-748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랜덤 기저가진을 받는 주 구조물과 여러 개의 부 구조물로 구성된 계의 응답특성을 분석하고 특히, 부 구조물의 응답분포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주 구조물의 응답이 최소가 되도록 설계변수를 최적화 할 경우, 부 구조물간의 응답분포가 균일하지 않음을 확인하고, 부 구조물간의 응답분포의 폭이 최소가 되는 진동수 비를 제안하였다.

  • PDF

Strain Analysis using Fourier Transform Grid Method and Its Image Processing (퓨리에 변환 격자법과 화상 처리를 이용한 스트레인 해석)

  • Yang, In-H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 /
    • v.9 no.3
    • /
    • pp.165-171
    • /
    • 1992
  • 진동하는 구조물을 설계할 때에는 그 구조물 중의 Strain이나 응력이 최대가 되는 장소나 시각을 알 필요가 있다. 지금까지의 Strain 해석에는 Strain gauge 등과 같은 접촉법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더우기, 접촉법으로 대변형 진동을 하는 물체의 Strain을 해석하는 것은 곤란하다. 최근에는 비접촉법으로 Strain 분포를 해석하기 위해 화상처리를 이용한 계측이 행하여지고 있다. 이들의 Strain 분포를 측정하는 광학적인 방법으로는 격자법, Moire법, 홀로 그랩픽 간섭법 등이 있다. 특히 대변형이나 대Strain을 해석하는 데에는 격자법이 많이 이용되고 있는데, 종래의 격자법은 Data를 처리하는 데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고 작업도 매우 복잡하며, Data의 수도 제한이 되어서 구조물의 분포의 해석 정도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논문 에서는 스테레오법을 이용해서 2차원 격자를 붙인 시료표면의 각 점의 3차원 좌표를 계측하고, 또 Fourier 변환 격자법을 적용하여 촬영된 2차원 격자의 화상에서 위상치를 구한다. 그리고 물체의 변형 전후의 대응 관계의 화상에서 3차원 형상과 Strain 분포를 해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 방법을 이용하면 진동하는 구조 물의 3차원 변위분포, Strain 분포를 정도 좋게 해석할 수가 있다.

  • PDF

유도전동기의 자기적 소음에 대한 고찰

  • 황영문
    • 전기의세계
    • /
    • v.25 no.2
    • /
    • pp.40-45
    • /
    • 1976
  • 유도전동기의 고주파진동토오크의 산정법에 대하여는 Morrill, Chang, Puchstein Kimball 및 Veinott씨 등에 의한 불평형공간자속분포의 대칭좌표법 또는 2회전자계법해석으로 많은 연구가 거듭되어 기계정수가 고주파토오크에 미치는 영향의 관계를 풀이하고 있다. 또한 Jordan과 Lax씨에 의하여 편심 및 기계적진동에 따른 전자력파의 분포력 mode수 및 그 주파수를 개발함으로서 소음방지대책에 많은 진전을 보았다. 소음진동측정방법으로는 원래 진동측정이 정밀한 장치에 의존하여야 하며 그 방법 또한 어려운 점이 많아 method of 1-point measurement of electromagnetic-force waves로 처리되어 왔으나 요즈음에는 anechoic chamber와 같은 장치에서의 특별한 조작에 의하여 method of resultant measurement of accoustic noise powers에 의하여 보다 합리적인 소음측정 및 해석이 가능하게 되었다.

  • PDF

Influence of Sample Number on the Estimation of Blasting Coefficients and Limit Scaled Distance (측정수가 발파계수와 허용환산거리의 산정에 미치는 영향)

  • 양형식;전양수;정지문
    • Journal of KSNVE
    • /
    • v.8 no.5
    • /
    • pp.814-820
    • /
    • 1998
  • Vibration data from two blasting sites were analyzed to determine the sufficient sample number for blasting vibration estimation. Most important result is that much more than 30 sample data and succeeding measurement are necessary to estimate confident blasting vibration level and to determine limit scaled distance.

  • PDF

Design of Distributed Mass Dynamic Vibration Absorber(DVA) for vibration reduction of Fixed-Fixed Beam (양단고정보에서 진동저감을 위한 분포질량 동흡진기의 설계)

  • Yoon, Jung-Min;Jeong, Un-chang;Kim, Jin-Su;Lee, You-Yub;Oh, Jae-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4.10a
    • /
    • pp.34-35
    • /
    • 2014
  • we designed a distributed mass dynamic vibration absorber for vibration reduction in a dual mode system. And we were subjected to evaluation of the vibration reduction performance of the distributed mass dynamic vibration absorber through experiments.

  • PDF

Dynamic Analysis of the Structures Subject to Distributed Loads by Using Spectral Element Method (스펙트럴요소법을 이용한 분포하중을 받는 구조물의 동적 거동 해석)

  • 홍종원;이준근;이우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5.04a
    • /
    • pp.56-60
    • /
    • 1995
  •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연구에서 다룬바 없는 분포하중의 경우에 대해 스펙트럴요소법을 적용하기 위해 1) 힘과 변위와의 관계를 이용하여 Bernoulli-Euler보와 1차원 Timoshenko-Mindlin평판에 대한 스펙트럴요소를 유도하고 2) 스펙트럴 요소법을 이용하여 분포하중을 받는 이들 구조물의 동적거동을 해석하고자 한다.

  • PDF

Optimum Balancing Using Ggenetic Algorithm (유전 알고리즘을 이용한 최적 평형잡이에 관한 연구)

  • 최원호;양보석;주호진;임동수;노철웅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5.04a
    • /
    • pp.137-141
    • /
    • 1995
  • 회전기계에서 발생하는 진동 원인 중 약 60% 이상이 불평형(unbalance)에 의한 진동이다. 불평형은 기계의 과도한 진동을 유발시킬 뿐 아니라 베어링의 수명 단축 및 소음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기게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기계의 성능을 향상시키며 부드럽고 진동이 없는 운전을 위하여 평형잡이(balancing)는 절대적으로 중요하다. 불평형은 축 중심선에 대하여 회전체의 질량 분포가 비대칭이기 때문에 발생하는데 그 원인으로는 부품 자체가 비대칭에서 오는 설계 또는 제도 오차, 주물의 기포 및 용접의 불균일 등에 의한 재질상의 결함, 그리고 부품조립시 형상누적공차 등에 의한 가공.조립오차 등이 있다. ISO의 정의에 따르면 평형잡이는 회전체의 질량 분포를 조사하고 필요하다면 저널의 진동과 베어링의 작용력들이 운전속도에 대응하는 주파수에서 특정한 한계내에 있도록 보증하게 하기 위한 조정을 하는 과정이다. 불평형 상태에 대한 조사도 평형잡이로 표현된다. 그러나 수정이 필요하다고 간주된다면 수행된다. 모든 회전체는 초기 불평형(initial unbalance)이라 불리는 임의의 불평형을 가지고 출발한다. 완벽하게 평형이 잡힌 회전체를 달성하는 것이 평형잡이 작업의 목적은 아니다. 임의의 잔류 불평형(residual unbalance)은 항상 허용된다. 경제적인 이유에서 회전체는 일반적으로 요구되는 적절한 허용치보다 더 이상 평형잡이를 하지 않는다. 현장에서 현장 평형잡이를 수행하게 될 경우, 가끔 계산된 수정질량이 매우 클 경우가 있다. 이때 기게의 조건상 큰 수정질량을 부착하기가 곤란한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작은 수정질량으로 평형잡이를 할 수 있다면 기계의 안정성 면에서 매우 유리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영향계수법(Influence Coefficient Method : ICM)의 기본 개념과 유전 알고리즘(Genetic Algorithm : GA)을 이용하여 회전기계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는 허용진동 내에서의 최적 수정질량 계산법을 제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