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MathJax]/jax/output/CommonHTML/jax.js
  • 제목/요약/키워드: 진동물체

검색결과 232건 처리시간 0.024초

유연매체 이송 시스템의 고장 진단을 위한 Simulation (Simulation for Automatic Diagnosis of Defect in Media Transport System)

  • 이남훈;유상헌;구자춘;최연선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564-568
    • /
    • 2005
  • As functional requirements of automatic office machines like printers, ATMs, copying machines are on a trend for the higher speed and precision, extensive technical advances are being developed and implemented in the industry. Media transport system is a device to convey a sheet of paper in ATMs and printers. The stability of media transport system is a matter of concern as their operating throughput rapidly increases. And defects of belts or rollers in a transport system directly affect the level of stability of the system. Therefore an automatic diagnostic system for predicting various defects is necessary for the stable operation of the media transport system. A simulation based on multi-body dynamics has been done for a feasibility study of a system design for the defect anticipation.

  • PDF

고속 전철 급전기의 접촉 분리를 고려한 동역학적 해석 (Dynamic Analysis of the Pantograph of a High-speed Electrical Train Considering Contact and Separation)

  • 이기수
    •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 /
    • 제16권6호
    • /
    • pp.634-642
    • /
    • 2006
  • For the analysis of dynamic contact between a catenary and a pantograph of high-speed electrical train, the numerical solution of the equations of motion of the vehicle pantograph and the catenary system subjected to the contact condition is obtained. The whole equations of motion of the catenary and the pantograph are simultaneously time integrated with the strict application of the contact condition. For the stability of the numerical solution, with the cubic spline interpolation of the catenary displacement, the velocity and acceleration constraints as well as the displacement constraint are imposed on the contact point. Especially it is shown that the Coriolis and centripetal accelerations are critical for the accuracy and stability of the computation.

차체의 턴성효과와 엔진의 진동이 승차감에 미치는 영향분석 (Effects of chassis flexibility and engine vibration in ride quality)

  • 강동권;유완석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205-213
    • /
    • 1997
  • In this study, dynamic analysis of a passenger car is carried out to analyze ride quality over a random road profile. The front suspension of the car is a MacPherson strut type and the rear suspension is a multi- link type. The following five different models are constructed and compared to see the effects of engine vibration and chassis flexibility in the ride quality. (1) one rigid chassis model, (2) a rigid chassis and rigid engine model, (3) a rigid engine and flexible chassis model with one vibration mode, (4) one flexible chassis model with six engine vibration modes and one chassis vibration mode, (5) one flexible chassis model with seven vibration modes and four static correction modes. The result shows that engine vibration modes and the first bending mode of the chassis are important in the ride quality.

  • PDF

베어링 진단을 위한 진동 신호 기반의 딥러닝 모델 (A Vibration Signal-based Deep Learning Model for Bearing Diagnosis)

  • 박수연;김재광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22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1232-1235
    • /
    • 2022
  • 최근 자동차, 철도차량 등 사용자가 있는 기계 시스템에서의 고장 발생 시 사용자의 안전과 관련된 사고로 이어질 수 있어 부품에 대한 모니터링 및 고장 여부 판단은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부품 중에서 베어링은 회전체와 회전하지 않는 물체 사이에서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부품인데, 베어링에 결함이 발생하게 될 경우, 기계 시스템이 정지하거나, 마찰 열에 의해 화재 등의 치명적인 위험이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Resnet과 오토인코더를 활용하여 진동 신호 기반의 베어링의 고장을 감지하고 분류할 수 있는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 방법은 raw data를 이미지로 변환하여 입력으로 사용하는데, 이러한 접근을 통해 수집된 데이터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데이터가 가지는 정보를 최대한 분석에 활용할 수 있다. 제안 모델의 검증을 위하여 공개된 데이터셋으로 학습/검증 하였고, 제안 방법이 기존 방법과 비교하여 더 높은 F1 Score와 정확도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 PDF

헬리콥터 진동 하중 저감을 위한 능동 뒷전 플랩이 장착된 SNUF 블레이드의 유연보의 설계 및 해석 (Design and Analysis of Flexbeam in SNUF Blade Equipped with Active Trailing-Edge Flap for Helicopter Vibratory Load Reduction)

  • 임병욱;은원종;신상준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6권7호
    • /
    • pp.542-550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헬리콥터의 전진비행시 발생하는 허브 진동 하중 저감을 위해 설계된 능동 뒷전 플랩이 장착된 SNUF 블레이드의 무베어링 주 로터 적용 설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EDISON의 박벽 복합재료 회전보 진동해석 프로그램(CORBA77_MEMB)을 이용하여 유연보의 단면 설계가 이루어졌다. 다물체 동역학 해석 프로그램 DYMORE를 이용하여 단면 설계에 따른 블레이드 동특성 및 능동 뒷전 플랩을 이용한 하중 제어의 특성을 예측하였다.

회전 물체의 동적 하중에 대한 능동 진동 제어 (Dynamic Load Suppression in Active Vibration Control of Rotating Machinery)

  • 김주형;김상섭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II
    • /
    • pp.1126-1131
    • /
    • 2001
  • Excessive vibration in rotating machinery is a problem encountered in many different fields, causing such difficulties as fatigue of machinery components and failure of supporting bearings. Passive techniques, though sometimes limited in their capabilities, have been used in the past to attenuated vibrations. Recently active techniques have been developed to provide vibration control perform beyond that provided by their passive counters. Most often, the focus of active control methods has been to suppress rotating machinery displacements. In cases where vibration results in bearing failures, displacement suppression may not be the best choice of control approaches (it can, in fact, increase dynamic bearing loads which would be even more harmful to bearings). This paper presents two optimal control methods for attenuating steady state vibrations in rotating machinery. One method minimizes shaft displacements while the other minimizes dynamic bearing reaction forces. The two methods are applied to a model of a typical rotating machinery system and their results are compared. It is found that displacement minimization can increase bearing loads, while bearing load minimization, on the other hand, decreases bearing loads.

  • PDF

3차원 비선형 자유표면 유동의 수치해석 (A Numerical Simulation of Three- Dimensional Nonlinear Free surface Flows)

  • 강창구;공인영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28권1호
    • /
    • pp.38-52
    • /
    • 1991
  • 자유표면하에서 움직이는 임의의 형상의 3차원 물체로 인한 비선형 유체력을 준 Lagrangian 방법을 사용하여 해석하였다. 경계치 문제는 경계 적분 방법(Boundary Integral Method)을 이용하여 해결하였으며, 물체와 자유 표면의 형상은 곡면 Panel로 표현하였다. 이들 표면은 hi-cubic B-spline 방법을 사용하여 유한개의 작은 표면 요소로 나뉘어지게 되며, 또한 \phi와 (equation omitted) 표면 요소상에서 bi-linear하다고 가정한다. 특이점에 의한 유기 포텐시얼의 계산시 1/R에 비례하는 부분은 제거하고 해석적으로 처리하였다. 물체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에서의 유체 유통은 좌표계의 원점에 위치한 Dipole로 표현하였으며, Time Stepping시 Runge-Kutta의 4차 방법을 사용하였다. 3차원인 경우에 대한 적분 방정식과 포텐시얼의 시간 미분간에 대한 경계 조건이 유도되었으며, 이러한 식들을 사용하여 자유표면의 형상과 물체의 운동을 동시에 계산하였다. 대진폭을 가지고 규칙적으로 진동하는 물체에 작용하는 힘과 이때의 자유 표면 형상을 계산하고 기 발표된 자료와 비교하여 보았으며, 자유표면 근처에서 운동하는 물체에 작용하는 비선형 효과를 관찰하였다.

  • PDF

토크컨버터 장착 이중댐퍼 체결클러치의 진동특성해석 및 위상최적화 (Vibration Characteristics and Topology Optimization of a Double Damper Lock-Up Clutch in a Torque Converter System)

  • 김광중;김철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4권8호
    • /
    • pp.1129-1136
    • /
    • 2010
  • 체결클러치에 부착된 댐퍼스프링은 유체커플링에서 직결로 변환될 때 발생하는 엔진 토크의 진동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체결클러치의 성능을 좌우하는 압축스프링 및 지지 판 구조물의 최적설계를 통해서 새로운 설계형상을 제안하였다. 체결클러치와 연결된 엔진, 변속기, 구동축 및 휠, 차체질량 등 주요 부품들을 다 포함하는 다물체 동역학모델을 구성하여 공진 회피에 필요한 스프링상수를 계산하였다. 또한 어닐링 모사법에 의한 스프링 최적설계코드를 개발한 후 스프링상수, 최대충격토크, 수축각도, 스프링개수, 피로강도 등을 입력하여 압축 스프링의 사양을 최적화하였다. 이들 스프링을 지지하는 3 가지의 판에 대해서 컴플라이언스를 최소화하고 체적비를 0.3 이하로 하는 위상최적화를 수행하여 새로운 형상을 제안하였다.

비접촉 진동 검출을 위한 유도성 근접센서모듈 개발 (Development of the Inductive Proximity Sensor Module for Detection of Non-contact Vibration)

  • 남시병;윤군진;임수일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61-71
    • /
    • 2011
  • 금속물체의 피로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고속으로 진동시키면서 비접촉으로 정밀하게 변위를 측정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비접촉 고속 진동 검출센서들은 와류 센서나 레이저 센서들을 주로 사용하고있지만 매우 고가이다. 최근 저가의 유도성 센서를 고속 진동검출에 적용하려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아직은 초보단계이다. 본 연구에서는 저가의 유도성 센서를 이용하여 비접촉으로 고속 진동을 검출하는 새로운 근접 센서모듈 설계방법을 제안하였다. 기존의 유도성 센서모듈들은 검파, 적분, 및 증폭과정을 통하여 변위를 검출하기 때문에 아날로그회로 특성상 잡음에 약하고 적분과정에서 변위 검출속도 저하의 요인이 된다. 제안된 방법은 AD변환기(Analog to Digital converter)를 사용하지 않고 진동 주파수신호를 직접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새로운 방법으로 아날로그 잡음의 영향을 적게 받으며 고속으로 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성능 평가를 위하여 셰이커로 진동 주파수를 30Hz부터 1,100Hz 까지 일정간격으로 금속편을 진동시키면서 제안된 센서 모듈을 이용하여 비접촉으로 진동 신호를 검출하였다. 실험결과 비접촉 근접 거리 5mm 이내에서 진동 주파수 검출범위는 DC에서 1,100Hz까지 측정할 수 있었으며 진동 폭의 해상도는 20μm로 나타났다. 따라서 제안된 유도성 센서모듈은 정밀 비접촉 고속 진동검출 센서로서 충분한 성능을 가지고 있다고 평가된다.

시각장애인을 위한 보조기기 개발 (An Electronic Aids for Visually Impaired People)

  • 조현칠;김래현;한만철;박세형;하성도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8년도 학술대회 1부
    • /
    • pp.251-255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시각장애인들의 실외 보행 시 위험한 장애물을 탐지하여 진동으로 경고해주고, 필요에 따라 물체의 색상과 주변의 밝기를 음성으로 알려주는 SmartWand를 개발하였다. 이 기기는 시각장애인들이 널리 사용하는 흰지팡이에 쉽게 탈 부착할 수 있는 형대로 흰지팡이로 감지할 수 없는 사각기대의 장애물을 초음파로 탐지하여 경고해주며, 컬러센서와 조도센서를 이용하여 물체의 색상과 주변의 밝기를 음성으로 알려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SmartWand 1차 버전의 사용성 평가 결과를 토대로 실용성을 개선시켰으며, 가속도 센서를 통해 초음파 센서의 탐지 범위를 조정하여 시각장애인이 흰지팡이의 타법을 행할 때 진행방향에 놓인 장애물만을 탐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