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직장 선택

검색결과 139건 처리시간 0.033초

입직 과정에서의 희망직장 선택이 임금에 미치는 영향 분석 (Estimation of Wage Differentials Caused by the Selection of Preferred Job)

  • 최영섭
    • 노동경제논집
    • /
    • 제25권1호
    • /
    • pp.97-129
    • /
    • 2002
  • 이 글은 근로자가 직장을 선택하는 과정에서 원하는 직장을 선택하는지 여부가 근로자와 일자리의 일치도를 나타내는 데 한 지표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그러한 입직 과정에서의 희망직장 선택 여부가 근로자의 임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이 글에서는 패널 자료를 활용하여 근로자의 비관측된 이질성이 임금에 미치는 영향을 통제할 수 있는 모형을 제시하고, 그를 한국노동패널 조사의 3개년 조사 결과에 적용하여 희망직장의 선택 여부에 따른 임금격차를 계산하였다. 그 결과 우리는 희망직장의 선택 여부에 따라 약 50% 이상의 임금격차가 발생함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임금격차가 전통적인 임금격차의 설명틀로 설명될 수 없다는 점에서 일자리에서의 생산성 격차가 그 원인일 가능성을 제기하였다. 이 경우 이러한 가능성에 대한 분석이 이뤄지지 않았다는 점은 이 글의 한계로 지적될 수 있으며, 추후 연구를 통해 규명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글의 분석 결과는 직업알선 활동의 개선을 통해 경제 효율성이 증대될 수 있으리라는 점을 시사하는 것으로 보인다.

  • PDF

직장여성의 메이크업 컬러선택동기가 신체매력지각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Color Selection Motivation on Body Attractive Perception and Self-Respect in Working Women)

  • 이소은;이윤진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256-265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직장여성의 메이크업 컬러선택동기가 신체매력지각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규명하는데 있었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서울·경기 소재 직장인 256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통하여 조사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 요인분석, 다중회귀분석의 통계적 분석 방법을 채택하여 심층적으로 분석되었다. 일련의 연구절차를 통하여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장여성의 메이크업 컬러선택동기는 신체매력지각에 통계적 유의한 영향력을 나타내었다. 둘째, 직장여성의 메이크업 컬러선택동기는 자아존중감에 통계적 유의한 영향력을 나타내었다. 셋째, 직장인의 신체매력지각은 자아존중감에 통계적 유의하게 영향을 나타내었다.

교육수요와 거주지선택에 대한 이론적 분석 (A Theoretical Analysis on the Demand for Education and Residential Location)

  • 김병현
    • 국제지역연구
    • /
    • 제15권1호
    • /
    • pp.571-583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경쟁입지 균형이론을 이용하여 교육수요와 거주지선택간의 상호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부모의 취업과 자녀의 교육은 입지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소비자들의 교육에 대한 선호체계에 따라 그들의 입지가 결정되는 다양한 균형상태가 존재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교육에 대한 취향(선호체계)이 강할수록 교육지에 거주지를 입지하려는 경향이 커지고 교육에 대한 취향이 약할수록 직장지에 거주지를 선택하려는 경향이 나타나게 된다. 거주지입지와 교육수요간에는 일정한 상관관계가 존재한다. 즉 교육지 거주자는 일반적으로 직장지 거주자보다 교육시간을 더 많이 소비하게 된다. 이는 교육지 거주자의 보다 높은 교육열과 그들이 부담하는 낮은 교육가격에 기인한다. 소비자들의 공간적 분포에 대한 모형패러미터들의 효과를 보면, 통학 및 통근빈도효과의 경우, 교육지로의 통학빈도가 증가할수록 직장지와 교육지간의 거리는 점점 짧아지고, 금전적 교육비용이 클수록 교육지에 거주하면서 직장지로 통근하기를 선호하는 소비자타입의 범위는 넓어진다. 거리효과는 직장지와 교육지간의 거리가 증가할수록 직장지 거주자의 총 통학시간과 교육지 거주자의 총 통근시간은 증가한다. 임금효과를 보면, 임금이 증가할수록 교육지에 거주지를 선택하는 소비자의 범위가 좁아진다.

통근통행자의 통행패턴 선택행태의 분석 (Analysis of Urban Workers' Travel Pattern Choice Behavior)

  • 윤대식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5-51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1일(24시간) 단위로 표현되는 통근통행자의 통행패턴을 분석하기 위해 가정과 직장 및 기타 목적지를 선택하여 이루어지는 하루 동안의 통행패턴을 유형화하여 이들 선택대안의 선택행태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경산시와 영천시에 직장을 가진 직장인(통근통행 자)에 대하여 실시한 통행 설문조사자료를 이용하여 네스티드 로짓모형을 이용한 경험적 모형을 추정하고, 모형의 추정결과를 논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통근통행자의 통행패턴이 단일목적 혹은 다목적 통행의 선택을 높은 단계, tour의 수를 낮은 단계의 선택으로 하는 네스티드 로짓모형에 의해 표현된다고 가정하였다. 이렇게 표현된 네스티드 로짓모형의 경험적 추정결과로부터 본 연구에서 가설화된 네스티드 로짓모형구조의 타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모형의 경험적 추정결과는 개인의 행태적 측면을 적절히 반영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한국노동시장의 남녀 직장이동 요인별 차이와 직장이동 유형별 임금 변화 (Gender Difference in Job Mobility in Korean Labor Markets)

  • 이우정;최민식
    • 노동경제논집
    • /
    • 제35권2호
    • /
    • pp.117-146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직장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직장이동 수익률의 남녀 차이를 "경제활동인구조사(2003-07년)"를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그 결과 결혼과 부양가족 여부는 남성의 경우에만, 연령은 여성의 경우에만 직장유지 가능성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장의 노조 유무, 종사상 지위는 남녀 모두 유사하게 영향을 미치며, 일부 산업과 직종에서 이직 선택에 다르게 영향을 미쳤다. 임금변화를 추정한 결과 직장간이동에서는 여성의 경우만 순임금변화 값이 양(+)의 변화를 보인 반면, 사직이동에서는 남녀 모두 순임금변화율이 음(-)으로 나타났다.

  • PDF

토지이용패턴과 통행수단선택간의 관계 : 서울의 통근통행수단을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s between Land Use Patterns and Mode Choices for Home-Based Work Trips: The Case Seoul metropolitan Region)

  • 전명진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39-49
    • /
    • 1997
  • 본 연구는 서울대도시권을 대상으로 토지이용패턴과 통행수단선택간의 관계를 경헙적으로 분석하여 수도권 토지이용 및 교통정책에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다중 로짓모형을 이용한 분석에서 직장 및 주거빌도가 높을수록 전철과 버스 등 대중교퉁수단에 대한 의존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장중심지의 경우 버스보다는 자가용이용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고밀도 정책이 반드시 대중교통수단으로의 이동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경험적으로 입증하고 있다.

  • PDF

취업 대상자의 현 직장 만족도 조사 : 취업 대상자 교육에의 시사점을 중심으로 (Job satisfaction of the Recipients with Working Ability : The Implication for Further Studies)

  • 김민정
    • 벤처창업연구
    • /
    • 제6권2호
    • /
    • pp.149-166
    • /
    • 2011
  • 우리나라 근로 시장의 개방성은 취업 대상자들의 이동성을 증가시키고 있다. 기존 연구에 따르면 우리나라 근로자의 이직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는데, 본 연구는 이러한 경향을 한국고용정보원이 제공하는 청년패널2007(YP2007)의 청년 취업대상자용 설문지를 통해 현 직장 만족도의 현황을 분석하여 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취업 대상자들의 현 직장 만족도의 특성을 인구 통계학적 측면, 직장 상황의 측면, 심신 상태의 측면, 직장 환경 만족도의 측면, 현 직업 선택 시 고려사항의 측면으로 정리하였고, 이를 통한 탄력적 시장 경제에 적합한 교육의 필요성을 바라보았다.

  • PDF

재직자의 기업가정신, 보상만족, 지속학습, 고용가능성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혁신행동 매개효과 중심으로

  • 임재성;양동우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2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35-142
    • /
    • 2021
  • 20년 3월부터 본격화된 코로나 팬데믹은 전세계경제에 큰 충격으로 불확실성은 더욱 커져 경제생태계 대변혁의 시대를 맞이하고 있는 가운데 고령 인구의 증가, 생산인구의 감소와 더불어 20년 12월 기준 직장의 폐업과 정리해고, 경영부진 등 비자발적인 일자리를 떠난 사람이 19년 대비 48.9%(2020 통계청) 증가, 직장인의 퇴직 평균연령도 51.7세로 직장인 의지와 관계없이 조기 은퇴가 불가피한 상황이다. 한편 직장 근로자 10명중 8명은 창업할 의지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이제는 직장인의 창업은 선택이 아닌 필수로 인식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직장인의 기업가정신과 지속학습, 보상만족, 고용가능성이 창업의지와 어떠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가를 조사하고 혁신행동이 매개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분석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직장 재직자의 기업가정신과 직장생활 과정에서 지속학습, 보상만족, 고용가능성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를 혁신행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진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재직자의 기업가정신과 지속학습, 보상만족, 고용가능성이 혁신활동을 증가시키고, 증가된 혁신활동이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인과적 경로를 검증하고자 한다. With Corona의 불확실한 경제여건에서 조직은 생존을 위한 끊임없는 변화를 추구함에 따른 재직자의 고용불안은 가중될 것이며, 100세 시대를 준비해야 하기에 창업은 필수적 상황으로 창업의지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 PDF

유한대학 건축설비과 전공심화 과정 개설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제12호통권221호
    • /
    • pp.67-69
    • /
    • 2008
  • 주경야독의 의지를 불태우는 회원사 및 회원사 임직원들에게 반가운 소식이 생겼다. 직장을 다니며 3, 4학년을 다닐 수 있는 길이 열렸기 때문이다. 이전에는 직장을 다니면서 주간의 4년제 대학에 편입하는 것은 너무도 먼 이야기였기 때문에 야간에 다닐 수 있는 유사전공을 선택해야만 했던 부담감이 있었다. 하지만 건축설비 전공으로 야간에 3, 4학년 과정을 다닐 수 있는 전공심화과정을 유한대학 건축설비과가 국내에서 유일하게 개설하여 건축설비와 관련된 학구열을 충족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정기범 유한대학 건축설비과 학과장과의 질의응답을 통해 좀 더 자세한 정보 알아보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