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직장체온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2초

측정부위별 신생아의 체온 비교 : 고막기준 직장체온, 직장체온, 액와체온, 복부체온 (Comparison by Measurement Sites in Temperature of Neonates : Ear-based rectal, Rectal, Axilla, Abdominal Temperature)

  • 김화순;안영미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903-916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ar-based rectal temperature measured with a tympanic thermometer with the rectal temperature measured with a glass mercury thermometer in order to test the accuracy of tympanic thermometer and to determine relationship among rectal, axilla, and abdominal temperature in neonates. The samples consisted of thirty four neonates admitted to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and nursery at an university affiliated hospital. The mean age of the subjects was 4.9 days. The ear-based rectal temperatures were taken with a tympanic thermometer in rectal mode (First Temp Genius 3000). Rectal and axilla temperatures were taken with a glass mercury thermometer, Abdominal temperature was continuously monitored with the probe connected to the servo controller of incubator.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1. Intrarater comparison : Agreement between the first and the second ear-based rectal temperature was 97% within 0.1$^{\circ}C$. 2. Comparison of ear-based rectal temperature and the rectal temperature from a glass mercury thermometer : ear-based rectal temperature ranged from 36.95$^{\circ}C$d to 37.95$^{\circ}C$, with a mean of 37.58$^{\circ}C$(SD=0.22$^{\circ}C$). Rectal temperature from a glass mercury thermometer ranged from 36.2$0^{\circ}C$ to 37.2$0^{\circ}C$, with a mean 36.75$^{\circ}C$(SD=0.29). The mean difference between both temperatures was 0.84$^{\circ}C$.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both temperatures was r=0.77(p=0.00). 3. Comparison of rectal and axilla temperature : Axilla temperature ranged from 35.8$0^{\circ}C$ to 37.1$0^{\circ}C$, with a mean of 36.55$^{\circ}C$. The mean absolute difference between the rectal and axilla temperature was 0.23$^{\circ}C$.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rectal and axilla was r=0.67. 4. Comparison of axilla and abdominal temperature : Abdominal temperature ranged from 36.2$0^{\circ}C$ to 37.0$0^{\circ}C$, with a mean of 36.58$^{\circ}C$. The mean absolute difference between axilla and abdominal temperature was only -0.03$^{\circ}C$.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ear-based rectal temperature overestimates the actual rectal temperatures in neonates. Therefore, the interchangeble use of both temperatures in clinics seems problematic. The site offset(adjustment value) programmed in rectal mode of the tympanic thermometer needs to be readjusted. Choosing one optimal site for temperature measurement for each patient, and using the specific site consistently would result in more consistent measurements of changes in body temperature, and thus can be more effective in diagnosing fever or hypothermia.

  • PDF

신생아의 직장체온과 고막 및 액와체온과의 비교 (Comparison of Rectal Temperature with Axillary and Tympanic Temperature)

  • 황진순;송경애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351-358
    • /
    • 1997
  • Body temperature should be measured accurately to assess neonate's condition for proper care. Temperatures measured in rectal, axillary and tympanic site were compared in 129 normal neonates to find out proper nursing time for measuring temperature and the validity of fever detec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Mean temperatures of axillary and tympanic site($36.85^{\circ}C,\;37.12^{\circ}C$)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rectal site($37.19^{\circ}C$). 2. Mean nursing time for measuring body temperature was significantly higher and lower in axillary and tympanic temperatures(159.49 seconds, 11.07 seconds) than in rectal temperature(105.62 seconds). 3. Tympanic and axillary temperature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rectal temperature (r=0.85, r=0.78) and the significant correlation was demonstrated between tympanic and axillary temperatures(r=0.76). 4. Sensitivity, specificity, positive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s were 0.87, 0.90, 0.72, 0.96 for detecting fever respectively. The above findings indicated that the tympanic thermometer offers a useful alternative to conventional methods.

  • PDF

인체에서 저체온 완전 순환 정지 시 뇌파검사의 의의 (The Significance of Electroencephalography in the Hypothermic Circulatory Arrest in Human)

  • 전양빈;이창하;나찬영;강정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4권6호
    • /
    • pp.465-471
    • /
    • 2001
  • 배경: 저체온은 뇌 대사를 억제하여 뇌를 보호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대동맥 질환 수술 시 완전 순환 정지전에 충분히 시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임상에서 직장 또는 비인두 온도를 지표로 순환정지를 시행하고 있으나, 순환정지 시 적절한 저체온의 온도 범위나 순환정지 온도를 결정하는 객관적인 지표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한 결론이 없다. 본 연구는 수술 중 뇌파검사를 이용해 완전 순환 정지 시 안전한 직장 및 비인두 온도의 적정 수준을 확인하고, 적절한 저체온의 지표로서 뇌파검사의 역할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3월부터 2000년 8월 31일까지 대동맥 질환으로 대동맥 인조혈관 치환수술 동안 뇌파검사를 병행하면서 완전 순환 정지를 했던 2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직장 온도와 비인두 온도를 마취유도부터 계속 감시하였으며, 뇌파검사는 10개의 채널로 마취유도부터 뇌 전위 고요상태(electrocerebral silence) 가지 관찰하였다 결과: 뇌 전위 고요 상태에 도달했을 때의 직장 온도와 비인두 온도는 일정한 범위에 있지 않고 다양한 값(직장 11$^{\circ}C$~$25^{\circ}C$; 비인두 7.7$^{\circ}C$ ~23$^{\circ}C$)을 보였으며, 두 온도 사이에 서로 관련이 없었다(p=0.171). 체외순환을 시작하여 뇌 전위 고요상태에 이르기까지 냉각 시간은 25~127분으로 다양하였으며, 환자의 체표면적과 연관이 있었다(p=0.027). 결과: 뇌 전위 고요상태는 다양한 체온에서 발생했으며, 임상에서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직장 및 비인두 온도는 뇌 전위 고요상태를 지적할 수 없었다. 그러므로 심혈관계 수술 시 체온에 근거한 저체온 완전 순환 정지는 뇌의 보호를 확신할 수 없으며, 수술 중 뇌파검사의 관찰은 안전한 순환정지를 위한 적절한 저체온의 수준을 확보하기 위해 필요하며 합리적인 방법이었다.

  • PDF

초저체온하 대동맥수술 환자에서 완전 순환차단의 안전한 체온 및 기간에 대한 연구 - 뇌파 Compressed Spectral Array의 임상적 응용 - (Clinical Application of Compressed Spectral Array During Deep Hypothermia)

  • 장병철;유선국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8호
    • /
    • pp.752-759
    • /
    • 1997
  • 복합 심장질환이나 대동맥궁 수술시 뇌손상을 보호하기 위하여 오래전부터 초저체온하 완전순환정지법 을 이용하고 있다. 수술후 뇌손상을 예방하기 위하여 여러 방법들을 이용하여 왔으며, 1994년이후 저자들은 뇌대사를 감시하기 위한 방법으로 수술중 뇌파감시를 하고 있다. 저자들은 심장수술실에 사용이 편리한 뇌 파 압축 스펙트럼 정렬(compressed spectral array; CSA) 시스템을 개발하여 이를 대동맥수술시 초저체온 및 설 전순환차단하에 뇌파감시에 적용하여 이의 유용성을 검증하고, 초저체온하 뇌파를 연속감시하여 뇌파가 소 실되고 다시 나타나는 온도를 확인하여 순환정지의 안전한 온도와 시간을 연구하였다. 급성 대동맥박리증 3 례와 대동맥궁 대동맥류 3례(2례는 가성)의 대동맥질환 환자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직장과 식도체온을 연 속 감시하였으며,마취후 뇌파를 연속감시하였다. 대상환자들중 3례는 초저체온하 완전순환차단하에 수술을 하였으며, 3례는 초저체온하 선택적 뇌관류하에(500 700Ml분) 수술을 하였다. 환자의 체온을 하강하여 뇌 파가 소실된 후 약 3분 후에 순환정지나 선택적 뇌관류를 하였다. 뇌파가 소실된 체온은 직장\ulcorner온이 $16.1^{\circ}C-22.1^{\circ}C(평균:$ $18.4\pm2.0),$ 식도체온이 $12.7^{\circ}C~16.4^{\circ}C(평균:$ $14.7\pm1.6)였다.$ 완전순환차단 환자의 경우 뇌 허혈 시간은 각각 30, 36, 및 56분이었으며, 뇌관류 환자의 경우 각각 41, 56, 92분이었다. 수술중 뇌파가 다시 나 타난 시간 및 체온은(증례 3~6) 5~23분후에 직장체온이 $14.1^{\circ}C~20.3^{\circ}C,$ 식도체온이 $11.7^{\circ}C~15.4^{\circ}C에서$ 나타났다. 수술후 뇌손상의 증상은 없었으며,수술과 관련된 사망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식도체온이 $16^{\circ}C이하에서도$ 뇌파가 23분이내에 다시 나타난 것으로 보아 식도체온이 $15^{\circ}C이하는$ 되어야 약 30분간의 완전순환 차단에 안전하리라 생각되었으며, 대동맥 수술시 CSA를 이용한 뇌파감시는 전기뇌활동을 감시하는데 유용 한 방법으로 생각되었다.

  • PDF

하절기 홀스타인 젖소의 행동 및 체온에 미치는 환경 효과 (The Environmental Effects on the Activities and Rectal Temperatures of Holstein Cows in a Summer Season)

  • 안병석;정하연;기광석;최유림;권응기;김남철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2호
    • /
    • pp.163-168
    • /
    • 2003
  • 본 연구는 하절기 홀스타인 젖소의 행동과 체온(내서성)에 관하여 환경효과를 추정하기 위하여 1999년 7월 6일부터 13일까지 수행하였다. 행동지수를 조사하기 위하여 Holstein 젖소 77두를 공시하였으며 사양은 NRC 사양표준에 의거 농후사료와 옥수수 사일리지 위주로 관리하였다. 체온은 스탄촌에 계류된 상태에서 오후 1시부터 3시 사이에 직장내 온도를 측정하였으며 이때 기온은 $29.0^{\circ}C$ 이었다. 건유 및 착유 상태, 산차에 따라 체온이 달랐으나(p<0.01), 행동지수에 대하여 착유우와 건유우는 오전 9시부터 정오까지, 오후 1시부터 4시까지는 차이가 없었다. 착유우의 직장내 체온은 39.0${\pm}0.03^{\circ}C$으로서 건유우의 체온(38.6 ${\pm}0.04^{\circ}C$)보다 높았다. 오후 1-4시까지는 3산차 이하의 개체들이 4산차 이상의 개체들에 비하여 행동지수가 높았고, 산차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우유 성분과 체온과의 상관에 대하여 유당을 제외한 지방, 단백질, 무지고형분율 및 총고형분 등과는 부의 표현형 상관을 나타내었다.

소아에서의 저체온 심폐바이패스후 재가온 종료온도와 후하강 (End Point Temperature of Rewarming and Afterdrop After Hypothermic Cardiopulmonary Bypass in Pediatric Patients)

  • 김원곤;이해원;임청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2호
    • /
    • pp.125-130
    • /
    • 1997
  • 저체온 심폐바이패스후에 환자를 적절히 재가온시키지 못하면 수술직후 중환자실에서 종종 후하강 (afterdrop)현상이 발생할 수있다. 후하강이 생기면 전해질 장애, 부정맥, 혈역학적 불안정을 일으킬 수 있을뿐 아니라 전율에 의해 산소소모량을 크게 증가시킴으로서 수술 직후 불안정한 심근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소아 심장수술환자에서 적정 재가온 종료 온도를 찾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50명의 환자들을 직장 온도를 기준으로 섭씨 35.5도에서 재가온을 종료한 군과 37도에서 재가온을 종료한 군으로 나눈뒤 두 군 사이에 후하강의 발생 여부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리고 후하강의 여부와 함께 심박수, 수축기 및 확장기 혈압 등 활력 증후도 함께 측정하였다. 그밖에 체온측정 장소에 따른 온도 의 차이를 관찰하기 위 해 심폐바이패스 중에는 직장 온도와 함께 식도 온도를 그리고 중환실에서는 직장 온도와 함께 액와 온도를 각각 측정하였다. 환자들은 전례에서 롤러 펌프에 의한 비박동성 관류를 시행 받았으며 산화기로는 막형 또는 기포형 산화기가 사용되었다. 두군의 환자들은 연령, 성별, 체표면적, 심폐바이패스 시간, 재가온 시간 등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관찰 결과 두군의 환자들에서 모두 회복실에 도착한후 16시간후 까지 측정한 직장 온도에서 후하강은 없었으며 두군간 시간대별 직장 체온의 차이도 관찰되지 않았다. 두군간 심박수와 수축기 및 확장기 혈압에서도 유의한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그리고 재가온 종료시 식도 온도는 직장 온도에 비해 높게 측정되었으며 중환자실에서 측정한 액와 온도는 직장 온도보다 항상 낮게 측정되었다. 전율은 전례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본 실험 결과는 소아에서는 직장 온도를 기준으로 적어도 섭씨 35.5도 이상에서 재가온을 종료하면 후하강이 일어나기 어렵다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8례(11%),술후 일과성 신경학적 합병증이 7례 (9%),술후 일과성 정신과적 합병증이 6례 (8%), 급성 신부전이 3례 (4%),술후 출혈 및 폐렴이 각각 2례 (3%), 창상 감염과 십이지장 궤양 천공이 각각 1례 (1 %)이었다. 역행성심정 지액을 이용한 심근 보호법은 고위험도의 허혈성 심질환 환자에서의 관상동맥 우회술에서 수술 위험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유용한 심근 보호법이라고 생각된다.처리구를 무작위로 할당하여 배양하였으며, 또한 740개의 정상수정란도 같은 반복수로 배양을 실시하였다. 미세주입한 수정란은 8일 후 11.6%(26/255) 및 5.2% (14/267)가 대조구 및 G418 처리구에서 배반포기까지 발달하였으며 정상수정란은 27.2% (151/740)가 배반포기 배까지 발달하였다. 미세주입후 대조구에서는 23.1$\pm$2.6/70.7$\pm$4.7 (32.7%)의 할구가 $\beta$-Gal 활력을 보였고, 반면에 100$\mu\textrm{g}$/ml G418 처리구에서는 40.3$\pm$4.1/48.8$\pm$7.5 (82.6%)가 $\beta$-Gal 활력을 보였다. 비록 mosaic 형태로 외래유전자가 발현되었지만 대조구에서 87.0% (26/30개) 배반포기가 $\beta$-Gal 활력을 보인 반면, G418 처리구에서는 모든 배반포기가 $\beta$-Gal 활력을 보였다 (P<0.05). 그러나 대조구 및 G418 처리구의 ICM colony에서는 영양배엽과 내배엽을 제외한 epiblast에서는 확인되지 않았다. 그러나 이 결과로부터 $\beta$-actin promoter/lacZ gene이

  • PDF

쥐 심폐바이패스 모델에서 심정지액 주입용 열교환기를 이용한 직장체온 유지 (Rectal Temperature Maintenance Using a Heat Exchanger of Cardioplegic System in Cardiopulmonary Bypass Model for Rats)

  • 최세훈;김화룡;백인혁;문현종;김원곤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7호
    • /
    • pp.505-510
    • /
    • 2006
  • 배경: 쥐를 이용한 심폐바이패스 모델은 시간 및 비용의 절감, 관리의 용이, 큰 실험실의 불필요, 그리고 반복실험의 용이 등 많은 장점이 있으나 기술적인 어려움 또한 크다. 열교환기를 이용한 효율적인 중심체온 유지 및 조절 역시 이러한 문제점 중의 하나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쥐 심폐바이패스 모델을 위해 기존의 상용화된 산화기를 소동물용으로 개조한 뒤 심정지액 주입용 소형 열교환기를 이용하여 충전액을 최소화한 상태에서 인공심폐기에 의한 효율적인 체온 유지가 가능한지를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수컷 쥐(Sprague-Dawley,평균 530 g) 10마리를 각 5예씩 나누어 열교환기를 사용한 군과 사용하지 않은 군으로 구분하였다. 열교환기는 심정지액 주입용 열교환기를 개조하여 사용하였으며 산화기를 포함한 전체 정지 충전용량은 40 cc였다. 열교환기를 사용하지 않은 군에서는 저혈조 주위에 온수를 순환시켰다. 실험동물 마취 후 동맥 삽관은 대퇴동맥 및 내경동맥에 정맥 삽관은 외경정맥에 시행하고 부분 심폐바이패스(40 ml/kg/min)를 20분간 유지하였다. 두 군간의 비교 분석을 위해 직장 체온을 각각 마취 직후, 동정맥 삽관 후, 심폐바이패스 후 5, 10, 15, 20분에 측정하였다. 심폐바이패스 후 5, 15분에는 헤모글로빈 및 동맥혈 가스분석을 동시에 측정하였다. 결과: 쥐에서의 심폐바이패스 운용은 안정적으로 유지되었으며, 심폐바이패스 후 5분부터 두 군간의 체온 차이는 유의하였다(p<0.01). 20분 후 체온은 각각 $36.16{\pm}0.32^{\circ}C$$34.22{\pm}0.36^{\circ}C$였다. 결론: 본 연구는 소동물 심폐바이패스 모델에서 심정지액 주입용 열교환기를 이용하여 충전액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효율적인 체온유지가 가능함을 증명하였다. 이러한 실험 결과는 향후 저체온 심폐바이패스 운용에 관한 실험 모델로 쥐를 폭넓게 이용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체온조절반응 -일본아동과 한국아동의 비교- (Thermo-physiological Responses of the Lower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A Comparison Between Japanese and Korean Children-)

  • 김성희;이욱자;전촌후자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9권12호
    • /
    • pp.1527-1534
    • /
    • 2005
  • 본 연구는 아동의 체온조절반응의 특징에 성장환경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명확히 하기 위해, 한국아동(K group)과 일본아동(J group)의 체온조절반응을 검토하였다. 팬츠 착용의 피험자는 중립환경 $(28.5^{\circ}C)$에서 1시간, 추운환경$(22^{\circ}C)$ 또는 더운환경$(37^{\circ}C)$으로 옮겨져 1시간 동안의 체온조절반응이 검토되었다. 그 결과, 직장온은 환경온이 높아짐에 따라 약간 높아졌으며, K group의 직장온이 J group보다 약간 높았다. 추운환경에서의 손과 발의 피부온은 현저히 저하되었으며, J group보다 K group에서 더 현저히 나타났다. 그리고, 두 group의 절대 국소 증발량은 환경온 $22^{\circ}C$$28.5^{\circ}C$에서 비슷한 분포를 나타내는 반면, 환경온 $37^{\circ}C$에서는 J group은 몸 전체에서 발한을 나타냈으나 K group은 사지보다 몸통부위의 발한량이 많았다. 맥박은 환경온의 상승에 따라 높아졌으며, J group의 맥박이 K group보다 더 높았다.

상의의 여유량 차이에 따른 체온조절반응 연구 (A Study on Thermoregulation by different allowance of T-shirts)

  • 장지혜;이소진;류정민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39-47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wo different kinds of t-shirts on thermal responses at air temperature of $23{\pm}2^{\circ}C$, relative humidity of $70{\pm}5%$ and wind velocity not more than 0.5 m/sec. Five healthy men wearing boxy type t-shirts or fitted type t-shirts, participated as the subjects. Rectal temperature, skin temperatures, heart rate, clothing microclimate and subjective sensation were measured every 2 minute during experiment(rest, walking, recovery each 20 min.) and compared between two experimental garments(boxy type and fitted type t-shirts). Rectal temperature was lower in recovery phase at wearing fitted type t-shirts. Chest skin temperature was higher at wearing fitted type t-shirts and thigh and leg skin temperature were higher at wearing boxy type t-shirts.

  • PDF

Majarine의 중추신경계에 대한 작용(II) -마우스에 있어서 Majarine의 체온감소에 미치는 dopamine, serotonin 길항제의 작용에 관한 연구- (The Actions of Majarine on the Central Nervous System (II) -The Effects of Dopaminergic and Serotonergic Antagonists on Majarine-induced Hypothermia in the Mouse-)

  • 박영현;이종화;김유재;조병헌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99-110
    • /
    • 1985
  • 한국특산 매자나무(Berberis Koreana Palibin)의 뿌리에서 분리한 majarine은 isoquinoline 알카로이드로서 본 교실에서는 중추신경계에 대한 약리작용을 검토하고 있다. Majarine을 마우스 복강내로 투여하여 직장온도 변화와 haloperidol, cyproheptadine과 reserpine 등에 대한 약물 상호작용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Majarine은 마우스에 있어서 용량의존적으로 현저한 체온감소를 나타내었으나, 0.1 mg/kg투여시 체온증가의 유의성을 보였다. 체온감소는 haloperidol과 cyproheptadine으로 억제되었다. Reserpine처치 마우스에 있어서 ${\alpha}$-methyl-p-tyrosine으로 전처치한 다음 majarine 2.0mg/kg 투여시 체온감소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majarine의 체온변화는 dopamine과 serotonin수용체에 관련성이 있다고 사려되고, 체온감소는 dopamine수용체에 직접적으로 작용한다고 생각되는 바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