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d Point Temperature of Rewarming and Afterdrop After Hypothermic Cardiopulmonary Bypass in Pediatric Patients

소아에서의 저체온 심폐바이패스후 재가온 종료온도와 후하강

  • Kim, Won-Gon (Department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Lee, Hae-Won (Department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Lim, Cheong (Department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김원곤 (서울대학교병원 흉부외과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학교실) ;
  • 이해원 (서울대학교병원 흉부외과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학교실) ;
  • 임청 (서울대학교병원 흉부외과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학교실)
  • Published : 1997.02.01

Abstract

Separating the patient from hypothermic cardiopulmonary bypass(CPB) before achieving adequate rewarming often results in afterdrop, which can predispose to electrolyte disturbances, arrhythmia, hemodynamic alterations, and shivering-induced increase of oxygen consumption. In an attempt to find an adequate end point temperature of rewarming after hypothermic CPB, 50 pediatric cardiac surgical patients were r ndomly assigned for end point temperature of rewarming of 35.5$^{\circ}C$ (Group 1) or 37t (Group 2), rectal temperature. Thereafter the rectal temperature was measured half, one, four, eight, and 16 hour after arrival to the intensive care unit(ICU), with heart rate and blood pressure. Additionally the rectal temperature was compared with esophageal temperature during CPB, and axillary temperature luring stay in the ICU. Nonpulsatile perfusion with a roller pump was used in all patients and a membrane or bubble oxygenator was used for oxygenation. Both groups were comparable with respect to age, sex, body surface area, total bypass time, and rewarming time. There was no afterdrop in both groups, and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in the rectal temperatures between two groups. There were also no statistical dilyerences with respect to the heart rate and blood pressure between two groups. At the end of rewarming the esophageal temperature was higher than the rectal temperature. The axil ary temperature measured in ICU was always lower than the rectal temperature. No shivering was noted in all patients. In conclusion, with restoration of rectal temperature above 35.5$^{\circ}C$ at the end of CPB in pediatric patients, we did not observe an afterdrop.

저체온 심폐바이패스후에 환자를 적절히 재가온시키지 못하면 수술직후 중환자실에서 종종 후하강 (afterdrop)현상이 발생할 수있다. 후하강이 생기면 전해질 장애, 부정맥, 혈역학적 불안정을 일으킬 수 있을뿐 아니라 전율에 의해 산소소모량을 크게 증가시킴으로서 수술 직후 불안정한 심근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소아 심장수술환자에서 적정 재가온 종료 온도를 찾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50명의 환자들을 직장 온도를 기준으로 섭씨 35.5도에서 재가온을 종료한 군과 37도에서 재가온을 종료한 군으로 나눈뒤 두 군 사이에 후하강의 발생 여부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리고 후하강의 여부와 함께 심박수, 수축기 및 확장기 혈압 등 활력 증후도 함께 측정하였다. 그밖에 체온측정 장소에 따른 온도 의 차이를 관찰하기 위 해 심폐바이패스 중에는 직장 온도와 함께 식도 온도를 그리고 중환실에서는 직장 온도와 함께 액와 온도를 각각 측정하였다. 환자들은 전례에서 롤러 펌프에 의한 비박동성 관류를 시행 받았으며 산화기로는 막형 또는 기포형 산화기가 사용되었다. 두군의 환자들은 연령, 성별, 체표면적, 심폐바이패스 시간, 재가온 시간 등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관찰 결과 두군의 환자들에서 모두 회복실에 도착한후 16시간후 까지 측정한 직장 온도에서 후하강은 없었으며 두군간 시간대별 직장 체온의 차이도 관찰되지 않았다. 두군간 심박수와 수축기 및 확장기 혈압에서도 유의한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그리고 재가온 종료시 식도 온도는 직장 온도에 비해 높게 측정되었으며 중환자실에서 측정한 액와 온도는 직장 온도보다 항상 낮게 측정되었다. 전율은 전례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본 실험 결과는 소아에서는 직장 온도를 기준으로 적어도 섭씨 35.5도 이상에서 재가온을 종료하면 후하강이 일어나기 어렵다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8례(11%),술후 일과성 신경학적 합병증이 7례 (9%),술후 일과성 정신과적 합병증이 6례 (8%), 급성 신부전이 3례 (4%),술후 출혈 및 폐렴이 각각 2례 (3%), 창상 감염과 십이지장 궤양 천공이 각각 1례 (1 %)이었다. 역행성심정 지액을 이용한 심근 보호법은 고위험도의 허혈성 심질환 환자에서의 관상동맥 우회술에서 수술 위험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유용한 심근 보호법이라고 생각된다.처리구를 무작위로 할당하여 배양하였으며, 또한 740개의 정상수정란도 같은 반복수로 배양을 실시하였다. 미세주입한 수정란은 8일 후 11.6%(26/255) 및 5.2% (14/267)가 대조구 및 G418 처리구에서 배반포기까지 발달하였으며 정상수정란은 27.2% (151/740)가 배반포기 배까지 발달하였다. 미세주입후 대조구에서는 23.1$\pm$2.6/70.7$\pm$4.7 (32.7%)의 할구가 $\beta$-Gal 활력을 보였고, 반면에 100$\mu\textrm{g}$/ml G418 처리구에서는 40.3$\pm$4.1/48.8$\pm$7.5 (82.6%)가 $\beta$-Gal 활력을 보였다. 비록 mosaic 형태로 외래유전자가 발현되었지만 대조구에서 87.0% (26/30개) 배반포기가 $\beta$-Gal 활력을 보인 반면, G418 처리구에서는 모든 배반포기가 $\beta$-Gal 활력을 보였다 (P<0.05). 그러나 대조구 및 G418 처리구의 ICM colony에서는 영양배엽과 내배엽을 제외한 epiblast에서는 확인되지 않았다. 그러나 이 결과로부터 $\beta$-actin promoter/lacZ gene이

Keywords

References

  1. Anesthesiology v.55 Hypothermia after cardiopulmonary bypass in man Caldwell C;Crawford R;Sinclair I
  2. Cardiac surgery(2nd ed.) Kirklin JW;Barratt-Boyes BG
  3. Common problems in cardiac anesthesia Delyed rewarming during cardiopulmonary bypass Gravlee GP;Reves JG;Hall KD
  4. Ann Thorac Surg v.29 Peripheral temperature monitoring during cardiopulmonary bypass operation Muravchick S;Conrad DP;Vargas A
  5. Can Anaesth Soc J v.32 Site of temperature monitoring and prediction of afterdrop after open heart surgery Ramsay JG;Rally FE;Whally DG;Dellicolli P;Wynands JE
  6. Perfusion v.10 Pulsatile flow during cardiopulmonary bypass speeds thermal energy transfer ; a possible explanation for the reduced drop Sheppard S;pierce JM
  7. Ann Thorac Surg v.145 Hypothermia : I. Effect on renal hemodynamics and on excretion of water and electrolytes in dog and man Moyer JH;Morris G;Debakey ME
  8. J Surg Res v.20 Effects of hypothermia on systemic and organ system metabolism and function Black PR;Devanter SV;Cohn LH
  9. Br J Surg v.62 Observations on peripheral and central temperatures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the occurrence of vasoconstriction Brock L;Skinner JM;Manders JT
  10. N Eng J Med v.261 Hypothermia Vandam LD;Burnap TK
  11. J Thorac Cardiovasc Surg v.86 Transient hemodynamic dysfunction after myocardial revascularization Czer L;Hamer A;Murphy F(et al.)
  12. J Cardiothorac Vasc Anesth v.7 Differences in temperature changes between pediatric and adult patients after cardioipulmonary bypass Huang FY;Wang MJ;Huang HH
  13. Anesthesiology v.53 Hypothermia after cardiopulmonary bypass in man:amelioration by nitrprusside-induced vasodilation during rewarming Noback CR;Tinker JH
  14. Br J Anaesth v.49 Thermal balance during cardiopulmonary bypass with moderate hypothermia in man Davis FM;Parimelazhagan KN;Harris EA
  15. Critical Care Medicine v.21 no.8 Infrared tympanic thermometry in the pediatric intensive care unit Michael JR;James DF;Elaine A(et 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