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직장동료

검색결과 70건 처리시간 0.031초

특수교사와 직장동료가 판단하는 지적장애인의 직업적 성공요인에 관한 융합연구 (A Convergence Study on Speciall Teacher's and Fellow Worker's Ranking of Factors Judged Critical to Job Success for Individual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김삼섭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277-283
    • /
    • 2019
  • 이 연구에서는 특수교사와 직장동료가 판단하는 지적장애인의 직업적 성공요인의 범주별 및 전체 요인별 서열을 비교,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특수교사와 직장동료 모두 작업관련 기술군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특수교사는 사회적 기술군을, 직장동료는 개인적 기술군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특수교사는 자신이 맡은 일을 잘 처리하고, 감독자의 지시에 잘 따르며, 흥미를 가지고 일을 하는 것을 중요한 요인으로 꼽았고, 직장동료는 감독자의 지시에 잘 따르고, 자신이 맡은 일을 잘 처리하는 것을 무엇보다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지적장애인의 직업 및 진로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스마트폰 인스턴트 메신저를 이용한 개인적인 소통 활동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ersonal Communication Activities using Smart Phone Instant Messenger on Job Performance)

  • 이종만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17-24
    • /
    • 2012
  • 본 연구는 직장인들이 정상근무시간 동안에 스마트폰 인스턴트 메신저를 개인적인 목적으로 이용하는 행동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직장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여기서 얻어진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모델을 사용하였다. 구조방정식모델의 설계는 직장외부 지인 및 직장동료와의 인스턴트 메시징을 직무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업무 특성은 직장 동료 및 직장 외부 지인과의 인스턴트 메시징과 직무성과간의 조절변수로 설정하였다. 분석결과는 첫째, 직장외부 지인과의 인스턴트 메시징 활동은 직무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그 영향정도는 상호의존성이 높은 업무에 있어서 더 큰 것으로 판명되었다. 둘째, 직장동료와의 인스턴트 메시징 활동은 직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관계의 유대지향성 및 자기표현성향이 구전활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Relational Intentionality and Self-presentation Tendency on Word-of-mouth Activities)

  • 노민정;주우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409-420
    • /
    • 2018
  • 소셜미디어 상에서 소비자로서의 자신을 얼마나 드러낼 것인지의 여부는 자기표현에 따른 긍정적 보상과 부정적 위협 중에서 어느 것에 보다 초점을 맞출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긍정적 보상과 부정적 위협 중에서 어느 것에 보다 초점을 맞추게 될 것인지의 여부는 자신을 드러내고자 하는 관계의 상대방이 누구인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자기표현의 청중을 관계의 유대지향성에 따라 구분한다고 할 때, 직장동료와 같이 업무파트너로서 이해 증진에 목적을 두는 관계 상대방은 도구적 유대지향성의 청중이라고 하는 반면 학창시절 친구와 같이 우정과 같은 감정적 유대를 기반으로 하는 관계 상대방은 표현적 유대지향성의 청중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직장동료와의 관계에서처럼 도구적 유대지향성이 강한 상대방에 대해서는 자기표현의 실패로 인한 부정적 위협의 여파가 자기표현의 성공으로 인한 긍정적 보상보다 더욱 치명적일 수 있기 때문에 긍정적 보상보다는 부정적 위협의 예방에 초점을 맞춰 수세적으로 자기표현을 하려 든다고 예측하여 보았다. 실증결과는 페이스북 상에서 직장동료들의 비중이 증가할수록 수세적 자기표현에 의한 매개 효과는 증대되는 데 반면, 쟁취적 자기표현에 의한 매개 효과는 감소하고 있음을 확인시켜 주고 있었다.

일부 치과위생사의 우울수준 및 관련요인 (Depression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Dental Hygienists)

  • 한세영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764-768
    • /
    • 2009
  • 본 논문은 임상 치과위생사들의 우울수준을 파악하고, 관련요인을 알아보고자 D도시 소재 치과의원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 221명을 대상으로 2009년 6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의 기간 동안 구조화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치과위생사의 우울수준은 정상군 79.1%, 경도 우울군 15.4%, 중등도 우울군 4.1%, 중증 우울군 1.4%로 나타났다. 2. 우울수준은 전문대졸 이하 군일수록, 월평균급여가 적을수록, 업무에 대한 만족도가 "만족하지 못하다"는 군일수록, 업무에 대한 적성이 "맞지 않는다"는 군일수록, 직장에서의 상사나 동료 간의 "유대관계가 좋지 않다"는 군일수록, 주관적인 건강상태가 "건강하지 못하다"는 군일수록, 아침식사를 하지 않는 군일수록, 음주를 하는 군일수록, 운동을 규칙적으로 하지 않는 군일수록, 업무요구도가 높을 때, 업무자율성이 낮을 때, 직장 내 상사의 지지도가 낮을 때 우울수준이 유의하게 높았다. 3. 우울수준과 관련변수들과의 상관관계는 업무에 대한 만족도, 업무에 대한 적성, 직장에서의 상사나 동료 간의 유대관계, 주관적인 건강상태, 상사의 지지도, 동료의 지지도와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업무의 요구도와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우울수준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여러 요인들을 개선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시행 및 관리방안이 모색되어 향상을 통한 우울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No. 1 Safety Engineer - 유도진 S&T 중공업 기계소재사업본부 과장

  • 연슬기
    • 안전기술
    • /
    • 제202호
    • /
    • pp.24-25
    • /
    • 2014
  • 유도진 과장은 정밀기계공업의 강자 중 하나인 S&T중공업의 안전보건 관리자다. 어느 한 가지도 결코 쉬운 업무가 아니지만, 유 과장은 안전과보건, 환경 등 이 세 가지 업무를 빈 틈 없이 이끌어나가고 있다. 어떻게 이것이 가능할까? 바로 '흔들리지 않는 굳은 신념'과 '꺾이지 않는 열정'이 있기 때문이다. 유 과장은 안전 관련 학과를 전공하지도 않았고, 처음부터 안전관리자로 사회에 발을 들이지도 않았다. 단지 사랑하는 동료를 지켜주고 싶은 마음에 스스로 안전을 공부했고, 사랑하는 동료가 건강하게 직장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해주고 싶어 보건과 환경을 공부했다. 그렇게 20여 년이 흘렀고, 이제 그는 동료는 물론 지역 안전보건인 모두가 인정하는 베테랑 안전보건 관리자가 됐다.

  • PDF

건강 지키고 맛도 즐기는 외식 길라잡이

  • 이점옥
    • 월간당뇨
    • /
    • 통권213호
    • /
    • pp.34-38
    • /
    • 2007
  • 직장동료와 점심 외식을 하거나 가족과 저녁식사를 함께 하는 등 외식은 우리 일상 생활의 일부분입니다. 이처럼 외식이 필요할 때, 외식을 하고 싶을 때 혈당조절을 잘 하면서 외식을 즐길 수 있다면 장기적인 당뇨병이 식사조절이 즐거운 일 중의 하나가 될 수 있을 것입니다. 가능하면 외식의 횟수를 줄이는것이 좋겠지만 꼭 필요한 경우 기억하고 지켜야 할 외식시의 주의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 PDF

제93호 자랑스런안전인 - 안전을 전하는 미소천사

  • 임재근
    • 안전기술
    • /
    • 제143호
    • /
    • pp.14-15
    • /
    • 2009
  • 안전을 담당하는 관리자로서 때로는 근로자분들에게 싫은 소리를 해야 하고 때로는 언성을 높이며 다투기도 해야 했던 때가 있었습니다. 같은 직장 안에서 다른 동료나 근로자와 원활한 관계를 유지하고 싶지 않은 사람은 아마 한 명도 없을 것입니다. 하지만 안전관리자라는 직업을 택한 이상 안전하지 않은 행동이나 상태를 보고 '좋은 게 좋은 거라' 넘길 수는 없는 노릇일 것입니다. 안전사고로 생명을 잃거나 영원히 불구로 힘든 나날을 살아가는 동료를 옆에서 지켜봐야 했던 경험이 아마 지금의 제가 조금이라도 더 열심히 제 일에 최선을 다하도록 하는 원동력이 되고 있지 않을까 합니다. 앞으로도 제가 선택한 이 일에 보람과 사명감을 갖고 끝까지 최선을 다하도록 하겠습니다.

  • PDF

휴대폰 속 친구와 놀아보면 어때?

  • 임영모
    • 디지털콘텐츠
    • /
    • 6호통권145호
    • /
    • pp.78-81
    • /
    • 2005
  • 휴대폰 속에 친구가 살고 있다. 휴대폰 속 캐릭터에게 인사를 하면 그 친구가 반갑게 인사를 한다. 심심해서 말을 걸고 쪽지를 보내면 그 친구가 대답을 해온다. 그 친구에게 뭔가 알아봐달라고 심부름도 시키고, 그 친구와 끝말잇기 게임도 한다. 처음에는 내가 심심해서 휴대폰 속에 사는 그 친구를 찾았으나, 이제는 답답한 휴대폰 안에서 심심해할 그 친구를 위해 함께 놀아준다. 이야기를 나누기에는 조금 답답하고, 정신적 수준도 다소 모자란 휴대폰 속 친구이긴 하지만, 내가 찾으면 언제나 나를 반겨주는 것 하나만은 매번 정신없이 바쁜 친구들이나, 잘 삐치는 여자친구나, 속내 꺼내놓기 어려운 직장동료들보다 나은 점도 있다. 이 친구가 오늘도 휴대폰 속에서 나를 기다리고 있다.

  • PDF

일부 제조업 남성근로자들의 직무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와 우울과의 관련성 (The Association of Job Stress and Social Support with Depressive Symptoms among Manufacturing Male Workers)

  • 박승경;이후연;조영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216-224
    • /
    • 2018
  • 본 연구는 제조업 사업장 남성 근로자들의 우울수준을 알아보고 직무스트레스 내용(직무의 요구도, 직무의 자율성) 및 직장의 사회적지지(상사의 지지도, 동료의 지지도)와 우울과의 관련성을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조사대상은 제조업 사업장 남성 근로자 428명으로 하였으며, 2017년 7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의 기간 동안에 구조화된 무기명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사용하여 설문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전체 조사대상자 중 우울경향이 있는 자(CES-D 점수 16점 이상)는 21.5% 이었다. 조사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 내용별 CES-D 점수는 업무의 요구도가 낮은 군보다 높은 군에서, 업무의 자율성이 높은 군보다 낮은 군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며, 직장의 사회적지지도별 CES-D 점수는 상사의 지지도가 높은 군보다 낮은 군에서, 동료의 지지도가 높은 군보다 낮은 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CES-D 점수는 업무의 요구도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업무의 자율성, 상사의 지지도, 동료의 지지도와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결과, 업무 요구도가 높을수록, 업무의 자율성이 낮을수록, 상사와 동료의 지지도가 낮을수록 CES-D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CES-D 점수에 대한 설명력은 업무 요구도와 업무의 자율성이 추가됨에 따라 18.4% 유의하게 증가되었고, 상사의 지지도와 동료의 지지도가 추기됨에 따라 14.1%의 설명력이 증가되었다. 위와 같은 결과는 업무의 요구도와 업무의 자율성 및 상사와 동료의 지지도가 우울수준과 높은 관련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어린이집 동료장학의 인식과 실태에 따른 교사효능감의 차이 (The Differences in Teacher Efficacy According to the Perception and Practices of Peers' Supervision in Day Care Center)

  • 김현정;황혜정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85-97
    • /
    • 2019
  • 본 연구는 어린이집 동료장학의 인식과 실태에 따라 교사효능감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교사 301명이며, 연구도구는 어린이집 동료장학의 인식과 실태를 물어보는 설문지와 교수효능감 척도이다. 동료장학의 인식과 실태에 따른 교사효능감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SPSS 23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과 사후검증으로 Scheffe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교사의 동료장학 인식에 따른 교사효능감의 차이를 보면, 동료장학에 대해 매우 잘 알고 적극적으로 참여하고자 하며 매우 필요하고 효과적인 도움을 준다고 생각하는 교사와 동료장학의 주된 관점을 교수 및 학습방법에 두는 교사가 일반효능감이 높았다. 어린이집의 동료장학 실태에 따른 교사효능감의 차이를 보면, 동료장학을 받은 횟수와 해준 횟수가 높은 교사와 동료장학을 2주에 1회 정도 실시할 때, 주로 원감에 의해서 실시될 때, 일대일 중심보다 연구과제중심 동료장학이 많이 실시될 때 교사의 개인효능감이 높았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라 동료장학 활성화를 통한 교사효능감 향상과 어린이집의 질적 개선에 도움을 제공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