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직업적 안전

Search Result 183,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전시회: 근로환경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근로환경 만족도와 재해 가능성은 반비례 재해 경험자에 대한 우선적 직업훈련 필요

  • 대한인쇄문화협회
    • 프린팅코리아
    • /
    • v.10 no.8
    • /
    • pp.106-107
    • /
    • 2011
  • 지난 7월 4일부터 7일까지 열렸던 국제안전보건전시회 기간에는 27개에 달하는 다양한 세미나가 함께 개최되어 산업안전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 가운데 인쇄산업과도 관련성이 있고 흥미를 가질 수 있는 <근로환경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를 요약, 게재한다. 근로자의 의식수준이 높아지고 일부 사업장에서 발생하고 있는 산업재해와 직업병이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면서 근로환경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근로환경 개선은 생산성 증가를 통해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치고 국민 대다수가 취업자인 현대사회에서 기본권을 보장하는 측면에서도 중요하다. 더욱이 저출산, 고령화 사회의 도래로 근로활동인구의 부족이 경제성장의 중요한 장애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업무상 질병 및 사고를 줄이는 것은 근로자복지 제고뿐만 아니라 예상되는 근로자 부족 문제를 완화하는데도 기여할 것이다.

  • PDF

A Study on Health Status and Occupational Stress of Seafarer (선원의 직업성 스트레스 및 건강도에 관한 연구)

  • Moon Serng-Bae;Jung Un-Seok;Ha Hae-Dong;Jun Seung-Hwan;Kim Jae-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06.06b
    • /
    • pp.39-46
    • /
    • 2006
  • It is naturally to be expected that the stress of seafarers has some specific characters compared to other workers who are labouring on land. Because the physical rigors of working and living at sea has been endured as a part of job. The excessive stress caused by shipboard life, their jobs, can weaken the health status and court the work related accidents. Also it will be the immediate causes of marine accidents such as collision, sinking etc. In this paper, a questionnaire survey was undertaken to find out the approximate quantity and source of seafarer's occupational stress. And the heart rate of deck officers on duty was measured to develop a profile of correlation between the stress and the work.

  • PDF

The Health Status and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Related to Gender of Migrant Worker in Korea (성별에 따른 외국인 근로자의 건강실태 및 직업적 특성)

  • Jung, Hye Sun;Kim, Yong Kyu;Kim, Hyun Li;Yi, Ggodme;Song, Yeon Ee;Kim, Jeong Hee;Hyun, Hye JIn;Yi, Yunjeong;Kim, Hee Gerl
    •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 /
    • v.17 no.2
    • /
    • pp.126-137
    • /
    • 2008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gender related to health status, occupational environment,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nd hazardous chemicals use of migrant workers in Korea. Method: The survey was conducted in clinics that provided free healthcare services for migrant workers. Of the 413 respondents, 66.3% were males and 33.7% were females. Result: In the case of male migrant workers, many worker were not fluent in Korean, had illegal status in the country, and had moved jobs frequently. There were many cases in which migrant workers worked in small-scale enterprises and worked long hours. Job stress score was high for many workers and they dealt with heavy materials and risky machines. Many workers had not received proper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education and those that were previously injured had repeated injuries. Among the female migrant workers, many worker received low salary and shift work was common. Many worker complained of gastrointestinal and musculoskeletal illnesses and treated toxic substances. Conclusion: As a result, it will be necessary to focus on the strategies for decreasing occupational injuries from physical risk factors for males and from chemical risk factors for female migrant workers.

  • PDF

요인분석에 의한 식품의 안전성이 쌀 구매에 미치는 차별성 검정

  • 이순석;오상헌;조성주;조재규;정호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ostharvest Science and Technology of Agricultural Products Conference
    • /
    • 2003.10a
    • /
    • pp.143.1-143
    • /
    • 2003
  • 본 논문은 브랜드 쌀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factor)들이 소비자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분석을 위하여 서울시에 1,000명의 주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주부들이 쌀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11개 항목을 5점 리커르트 척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소비자들이 가장 높은 점수를 부여하는 것은 쌀의 잔류 농약 정도로서 4.12점이 나왔으며, 영양가 높은 쌀(4.01점), 쌀알의 모양(3.96점) 및 쌀의 생산지(3.88점) 등의 순위가 높았다. 요인분석을 위해 고유치(eigen value) 값이 0.8 이상인 경우를 기준으로 요인 수를 분석한 결과 다섯가지의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그 특징은 유형적 차원과 무형적 차원으로 구분되었다. 전자인 유형적차원은 물리적 속성(완전미 여부, 도정일자, 잔류농약), 지역성(생산지), 외관성(크기, 모양) 및 가격성등의 가시적 차원으로 소비자가 쉽게 판단하거나 쌀간의 비교가 용이한 특성이며, 후자는 심리적 속성이나 상징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브랜드 상표와 품질 인증 마크가 가지는 신뢰성 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무형적 차원인 식품의 안전성이 도시주부간 쌀 구매에 미치는 차별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정규성 검정 결과에 따라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분석에서 도시주부가 특성별로 두 집단으로 구분되는 기준은 자의적 분류보다는 공통적인 기준을 이용하고자 평균값(나이, 학력, 소득, 동거가족 수)을 기준으로, 그 외의 경우는 더미변수(주부직업 유무, 주거형태 및 거주지역)를 이용하여 구분하였다. 식품의 안전성으로 추출된 요인 값의 평균에 대해 두 집단간 차이를 검정하였으며, 분석 결과 주거형태가 1% 유의수준에서, 주부취업 여부 및 거주지역이 각각 5%유의수준에서 통계적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주부간 나이, 학력, 소득수준 및 동거가족 수에서는 유의미한 결과가 추정되지 못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볼 때, 식품의 안전성을 고려한 쌀의 마케팅 전략은 취업주부, 아파트 거주자 및 강남지역 주부들을 대상으로 한 판매활동 강화가 필요하다. 아울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시 주부의 특성 변수들을 세밀하게 구분해서 연구·분석하는 시장세분화 연구가 필요하다.

  • PDF

Related Factors to Traffic Safety Behaviors of Residents in One Metropolitan City (일개광역시민(一介廣域市民)의 교통안전(交通安全) 행태(行態) 관련요인(關聯要因))

  • Seo, Hyeong-Chul;Hong, Jee-Young;Na, Baeg-Ju;Lee, Jin-Yong;Lee, Moo-Sik;Bae, Seok-Hwan;Hwang, Ji-Hye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1.05b
    • /
    • pp.933-936
    • /
    • 2011
  • 이 연구는 2008년 9월부터 11월까지 3개월에 걸쳐 대전광역시에 거주하는 19세 이상 주민들 2,947명을 대상으로 대면면접에 의한 간접 기입식 설문조사 방법으로 시행되었으며 일반적 특성과 건강행태가 교통안전 미 실천과 관련성이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4.0을 활용하여 카이제곱 검정과 다중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는 일반적 특성 중 교육수준, 배우자 유무, 월 가구소득, 직업, 가구 소유 유무와 같이 사회 문화적인 부분에 있어서는 성별 분포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운전 시 안전벨트 미착용이라는 교통안전 미 실천에 관련하여 30대와 40대는 운전 시 안전벨트를 더 많이 착용하였고 스트레스를 대단히 많이 느끼는 사람은 더 많이 미 실천하였다. 셋째, 음주운전은 30대와 40대, 기타 및 농어업 종사자, 고위험음주를 한 적이 있는 사람, 현재 흡연 중인 사람이 더 많이 하였고 반면 가구를 1채 소유한 사람은 음주운전을 더 적게 하였다. 음주운전과 안전벨트 미착용은 치명적 교통사고의 큰 원인이 되는 한편 예방이 가능한 원인이라는 점에서 예방을 하기 위해 미 실천 집단을 파악하고 교육을 시행하거나 원인을 제거하는 등의 예방사업을 통해서 대비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 실천 빈도가 높은 집단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원인 분석 및 분석을 통한 해결책 마련을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 PDF

Factors Associated with Burnout of Korean Child Protective Service Workers (아동학대예방센터 상담원의 소진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

  • Yoon, Hye-Mee;Park, Byung-Kum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 /
    • v.56 no.3
    • /
    • pp.279-301
    • /
    • 2004
  • Relations of factors associated with burnout were investigated among 124 child protective service workers currently working in Korean Child Abuse Prevention Centers nationwide. Three categories of factors associated with burnout were examined; (1) individual characteristics, (2) job-related characteristics, and (3) job-satisfaction. Social survey method using questionnaires by mail was employed. MBI(Maslach Burnout Inventory) for measuring burnout, a part of Smith, Kendal & Hulin's JDI(Job Description Index) for job-satisfaction, and a scale measuring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job developed by researchers were used. Mann-Whitney test and Kruskal-Wallis test were employed to analyze the data. Across all burnout sub-scales(emotional depletion, dehumanization of clients, lack of feelings of achievement), subjects reported a high degree(above the cutting point) of burnout. Several factors were identified as associated with burnout. Child protective service workers who are young, single with front line worker status reported higher burnout. Lack of education and training before the job location were another factors which contributed to worker burnout. Lack of proper supervision stood out as another burnout provoking factor. Job-satisfact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all three burnout sub-scales, which meant the lower the job-satisfaction, the higher the burnout of service workers. The findings implicate that the administrators of Child Abuse Prevention Centers should pay close attention to their workers' sign of burnout and develop carefully designed support system which include provision of excellent supervision, proper education and training opportunities and organizational effort to strengthen employees' overall job-satisfaction to secure their quality of services toward abused children and their family.

  • PDF

The Effects of Hospital Accreditation Program to the Organizational Culture, Job Satisfaction, Financial Performances and Patient Safety at Geriatric Hospital : About Busan Metrocity (의료기관 인증제도가 요양병원의 조직문화, 직무만족, 경영성과 및 환자안전에 미치는 영향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 Shin, Moon-Ju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2 no.10
    • /
    • pp.455-466
    • /
    • 2014
  • This study has been implemented to improve the quality in geriatric hospital through the Hospital Accreditation. So research a change in the perception and attitude of the Patient Safety, Organizational Culture, Job Satisfaction, Financial Performance of hospital staff after the Hospital Accreditation. For this, a survay was conducted from April 1 to July 20, 2014 to targeting staffs of eight geriatric hospital in the Busan city. Thus, a total of 283 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e study. Firstly, It was found that change in the perception and attitude of the Patient Safety, Organizational Culture, Job Satisfaction, Financial Performance of hospital staff after the the Hospital Accreditation. Secondly, It was found that a statistical correlation among variables such as Patient Safety, Organizational Culture, Job Satisfaction, Financial Performance. Thirdly, Organizational Culture, Job Satisfaction, Financial Performance had a positive effect on Patient Safety. Therefore, we should develop the Hospital Accreditation program with the internal assessment to implement health care quality and patient safety to ensure a complete job satisfaction of hospital staffs in the Hospital Accreditation program further improve the evaluation process of hospital care.

Perceptions of Patients and Radiologists on Exposure to Diagnostic Radiation (진단용 방사선 피폭에 관한 환자 및 종사자간 인식도 비교)

  • Kim, Gab-Jung;Hong, Jee-Young;Lee, Moo-Sik;Na, Baeg-Ju;Lee, Jin-Yong;Lee, Boo-Woo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1.05b
    • /
    • pp.1072-1075
    • /
    • 2011
  • 이 연구는 진단용 방사선피폭에 대한 환자 및 종사자의 방사선 인식도, 방사선 지식정도, 방사선 피폭의 유해성, 진단방사선의 필요성, 방사선의 피폭방지, 정보파악의 유무 및 파악경로, 방사선 검사 시 심리적 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고자 하는 연구이다. 2010년 10월 25일부터 11월 10일까지 일개 광역시 소재하는 종합병원 및 의원에 근무하는 방사선사와 2주내에 진단 방사선을 이용한 해당 의료기관에 내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총 347부의 유효설문지를 사용 하였다. 방사선에 대한 인식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환자의 경우, 직업, 2년내 건강검진 경험, 방사선 피폭에 대한 설명을 들은 경험으로 나타났고, 근무자의 경우, 2년내 교육이수 경험으로 나타났다. 방사선에 대한 지식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환자의 경우, 2년내 건강검진 경험으로 나타났고, 근무자의 경우, 연령, 근무기관으로 나타났다. 방사선의 유해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환자의 경우, 성별, 2년내 건강검진 경험, 정보매체로 나타났고, 근무자의 경우, 근무기관으로 나타났다. 방사선의 필요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환자의 경우, 월소득, 거주지로 나타났고, 근무자의 경우, 결혼상태, 피폭선량계 착용여부, 환자에게 피폭에 대한 설명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사선 피폭방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환자의 경우, 직업, 월소득, 2년 내 건강검진 경험으로 나타났고, 근무자의 경우 환자에게 피폭에 대한 설명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사선검사의 심리적 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환자의 경우, 방사선에 대한 피폭설명을 들은 경험, 직업으로 나타났고, 근무자의 경우, 연령, 경력, 2년내 교육이수 경험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방사선 종사자들도 방사선의 위해성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하게 하여 방사선 방어를 적극적으로 할 수 있는 행동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이용 방사선의 특성에 맞는 방사선 안전 관리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방사선 종사자 스스로 방사선에 대한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노력해야 할 것이다.

  • PDF

선원용 스트레스 평가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 Mun, Seong-Bae;Lee, Chun-Gi;Jeon, Seung-Hwan;Jeong, Eun-Seok;Song, Jae-Uk;Jeong, U-R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06a
    • /
    • pp.185-187
    • /
    • 2013
  • 일반적으로 사람은 육체적, 정신적 그리고 심리적 자극에 반응할 경우 스트레스(Stress)가 유발된다. 이 스트레스는 정상적인 업무수행 뿐만 아니라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고, 피로누적의 한 원인이 되기 한다. 특히 열악한 환경에서 직무를 수행하는 선원에게 있어서 스트레스는 해양사고의 직간접적인 요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선박 인적자원관리의 한 측면으로 중요하게 다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해운기업이 선원의 인사 및 안전관리 시스템에 활용할 수 있는 선원용 스트레스 평가도구를 개발하기 위한 것으로, 기본영역, 가족생활영역, 재정영역, 직업 및 선박생활영역에 대하여 90개의 항목으로 구성된 설문도구를 개발하여 설문조사를 수행하였고, Holmes & Rahe의 사회적응평가도구의 항목 및 평가지수와 비교분석하여 한국 선원의 문화적 차이를 고려한 설문도구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 PDF

An Analysis of the Research Trends in Safety Education for Home Economics Education (가정과 안전교육의 연구 동향 분석)

  • Kim, Nam Eun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 /
    • v.28 no.3
    • /
    • pp.47-63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basic information for diverse and balanced research and development in this field with understanding research trends related to safety education in home economics. In order to so, this study makes population and sampling by targeting cases which refer to 'safety' on 15 papers of academic journals related to home economics registered in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from 2001 to 2015, 244 papers related to safety education area and 179 master doctorate thesis by searching keyword as 'safety'. Analysis contents are research trends of papers related to safety education by year and by subject and research trends of safety education by area and by research method.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number of research papers related to safety education by year on home economics curriculum repeated increase and decrease and there have been consistent studies conducted on safety education with 14-52 papers per every year and yearly average 28.2 papers. On the other hand, the most number of studies conducted in 2015 with 52 papers which are twice as much of 26 papers in 2014. This seems to be affected by the announcement of safety comprehensive countermeasures from government and the emphasis of safety subject on 2015 curriculum revision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Second, with regards to research trends by topic, 137 papers are related to safety education (29%), 336 papers are related to safety actual condition (71%). Accidents and recognition had a greater percentage in a paper before 2009 (74.4%) and studies are increased after 2009 (from 21 papers to 53 papers) in terms of development or evaluation of safety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of education materials, development of education method etc. Subject area dealt with the most on the research of safety actual condition is regarding safety accidents or effective variables (23.2%). Subject regarding the variables are researches related to factors influencing family violence, internet addiction, spouse violence, willingness to purchase unsafe food, age harassment, or suicidal attempt etc. Next, researches related to safety recognition (13.9%), safety knowledge and attitude (7.4%), safety behaviors (6.3%), safety consciousness (2.3%) show in sequence. Subject area dealt with the most on the researches regarding safety education is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safety education program (11%) and this appears the most in 2015 by year (21.5%). Third, with regards to eight areas of safety education, there are 143 papers regarding public safety (33.8%), 106 papers regarding violence and personal safety (25.1%), 93 papers regarding general subject on safety or whole safety area (22%) and 58 papers regarding drug and internet addiction (13.7%) in sequence. And there is no paper related to first aid and 1 paper is related to occupational safety (0.2%). Occupational safety area is less researched nevertheless its included in home economic curriculum as relative chapter. First aid does not directly correlate with home economics curriculum but should be studied in preparation for accident which could happen in practical class. Forth, with regards to research trends by research method, quantitative research (89.1%) is mostly used and both research study (70.4%) and experimental research (18.7%) are used the most frequently. In particular, researches on the actual condition of safety education and experimental studies for effectiveness verification take most of research method. As qualitative studies, there are phenomenological study (3.1%) and case study (3.1%) related to actual conditions of safety accidents. 10 papers (2.4%) are mixture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and some research conducted research study and experimental research at the same time (0.9%). With regards to subject of study, human environments (87.5%) are more than physical environments (12.5) and students (48.4%) are more than teachers and school parents (20.6%). As the subject of physical environments, school (6.5%) is the most but home environment is none. As a result of the study, research for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tool for evaluating safety education, occupational safety and lifelong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from this time forward. In addition, the object of study shall be expanded to both human environments in terms of entire life and physical environments for home. An in-depth qualitative research should be needed by observing and meeting with each stud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