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직선 균열

검색결과 65건 처리시간 0.03초

Z형상 균열의 응력세기계수에 대한 경계요소 해석 (Boundary element analysis of stress intensity factors for Z-shaped cracks)

  • 이강용;원동성;최형집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1권1호
    • /
    • pp.36-43
    • /
    • 1987
  • 본 논문에서는 다중영역법과 이중절점법을 이용하여 응력세기 계수를 산정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된 프로그램을 기존결과가 있는 직선균열 및 곡선균열에 적용하여 그 타당성을 검토한 후 엄밀해가 존재하지 않는 Z형상 균열에 대한 응력세기계수 값을 제시하고자 한다.

미세역학이론에 의한 콘크리트의 응력-변형도 관계와 연성도의 예측에 관한 연구 (Prediction of Stress-Strain Relation and Evolution of Compliance of Concrete by a Micromechanical Model)

  • 김진구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47-155
    • /
    • 1996
  • 본 연구에서는 미세역학모델을 이용하여 무근 콘크리트의 응력-변형도관계를 예측할 수 있는 모델을 제시하였다. 모델에서는 하중이 가해지기 전에 골재와 모르터의 경계면에 초기 균열이 존재한다고 가정하고 하중에 의한 부착균열과 모르터균열의 형성여부를판별하기 위하여 선형탄성파괴역학(LEFM) 이론을 사용하였다. 또한 계산의 편의를 위하여 이러한 부착균열-몰타균열의 결합된 형상을 등가 직선균열로 치환하여 해석하였다. 발생된 균열의 크기와 그 밀도로부터 손상된 콘크리트의 연성도와 변형의 증가량을 계산하고 발표된 실험결과와 비교하여 보았다. 그 결과 본 모델에 의한 응력-변형도 관계의 예측은 압축보다는 인장에, 보통 콘크리트보다 고강도 콘크리트에 더 잘 적용됨을 발견하였다.

수축 균열 발달 과정을 위한 단순 모델 (A Simple Model of Shrinkage Cracking Development for Kaolinite)

  • 민덕기;보 다이 낫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3권9호
    • /
    • pp.29-37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카올린점토에 대한 실내실험을 통하여 수축으로 인한 균열발생을 조사하고 균열 단계를 모사할 수 있는 단순모델을 제안하였다. CPS 기법을 이용하여 디지털 카메라에 의해 얻은 균열 이미지를 분석하였다. 함수비의 감소에 따라 균열의 길이와 면적은 1차 균열단계, 2차 균열단계, 수축단계 균열의 3단계로 나타났다. 균열 면적의 1차 및 2차 균열 최종 단계에서의 정규화된 함수비는 시료 두께에 상관없이 각각 0.92와 0.70에서 발생하였다. 반면 균열 길이는 1차 균열 최종 단계에서의 함수비는 시료 두께와 상관없이 0.92에서 발생하였으나, 2차 균열 최종 단계에서의 함수비는 시료 두께가 0.5, 1.0, 2.0cm로 증가함에 따라 함수비는 0.79, 0.82, 0.85로 증가하였다. 수축 균열을 모사할 수 있는 3개의 직선으로 구성된 단순모델을 제안하였다.

쌀의 저장중 수분이동에 의한 균열현상에 관한 연구 (Cracking of Rice Caused by Moisture Migration during Storage)

  • 목철균;이상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64-170
    • /
    • 1999
  • 저장 중 쌀의 수분이동에 따른 균열현상을 구명하고 균열을 발생시키는 임계조건을 산출하여 이를 토대로 쌀의 균열을 방지할 수 있는 저장조건을 확립하였다. 쌀의 평형상대습도와 노출된 환경의 상대습도의 차이$({\Delta}ERH)$가 적을 때는 균열이 발생하지 않은 반면, 그 차이가 임계치보다 클 때는 균열이 발생하였으며 균열의 발생정도는 쌀의 평형상대습도와 환경의 상대습도의 차이가 클수록 심하게 나타났다. 탈습환경 하에서는 불규칙한 형상의 균열이 쌀알의 외부에 발생하였으며 흡습환경 하에는 규칙적인 형상의 균열이 쌀알의 내부에 축방향과 수직방향으로 방사상으로 발생하였다. 노출시간별 균열발생 패턴을 Weibull함수에 의거하여 해석한 결과, ${\Delta}ERH$가 클수록 균열속도상수가 증가하였다. 동할미 발생률은 In$({\Delta}ERH)$에 따라 직선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임계 균열발생 상대 습도차(critical crack-inducing ${\Delta}ERH$)는 탈습시 $11.3{\sim}16.4%$, 흡습시 $10.8{\sim}17.1%$의 값을 보였다. 실험결과를 토대로 수분함량 및 수분활성도 별 쌀의 안전저장 상대습도를 나타내는 diagram을 제시하였다.

  • PDF

균열 아크릴 시편의 기체 확산계수와 균열폭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Crack Width and Gas Diffusion Coefficient of Cracked Acrylic Specimens)

  • 이도근;임민혁;신경준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6권4호
    • /
    • pp.245-251
    • /
    • 2018
  • 최근 구조물의 유지관리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자기치유 콘크리트 기술 분야의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반해서 자기치유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척도는 부족한 실정이다. 균열폭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시각적인 방법이 1차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시편 내부의 균열폭을 관찰하기가 어려우며, 비균질한 균열특성으로 인해 표면에 대한 국부적인 측정만 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균열에 대한 간접적인 평가 방법으로 투수실험이 널리 활용되고 있지만 물의 점성으로 인한 문제가 있으며, 또한 실험 중 시편내부 물질의 용출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체확산 특성을 활용한 균열폭 평가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아크릴로 이상화된 직선균열을 제작하여 균열폭, 두께에 따른 시편의 확산계수를 분석하였다. 실험결과를 통하여 균열폭과 확산계수는 선형관계에 있음을 보였고, 두께와 확산계수는 역수의 관계에 있음을 증명하였다.

파괴역학을 이용한 기계요소 및 구조물 설계방안 (2) (Application of Fracture Mechanics to Design of Machine and Structure Element)

  • 이억섭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27-32
    • /
    • 1987
  • 제2장에서 선형타성체에 대한 파괴역학의 일반적인 개념을 약술하였다. 즉 응력확대계수(K) 와 응력집중계수($1_{4}$)의 차이, 에너지 해방율(1$\sub$y)및 $_{4}$와 K의 관계를 이론적으로 살펴보았다. 물론 식(2-35) 및 (2-36) 등은 균열전파 경로가 직선이 아닌 경우에 적용한다는 것은 무리가 있으나 전체적인 이해를 돕기위해서 앞에서와 같이 기술하였다. 세가지 경우의 응력확대 계수 $_{4}$, $_{4}$$_{4}$는 하중과 균열의 크기 및 시편의 크기 또는 균열이나 결함을 포함 하고 있는 기계요소 및 구조물의 기하학적인 형상에 관련이 되어져서 결정이 된다.

  • PDF

균열형상의 강체함유물을 포함하는 무한체에 대한 균열선단 부근의 응력분포와 응력세기계수 (Stress intensity factor and stress distribution near crack tip for infinite body containing regid inclusion with crack shape)

  • 이강용;김종성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22권3호
    • /
    • pp.680-683
    • /
    • 1998
  • In case of the infinite body containing a rigid inclusion with line crack shape, stress intensity factor is determined and the relation between stress intensity factor and stress distribution near a crack tip is developed. Also, the relation between stress intensity factor and Kolosoff stress function is developed. Finally, these results are compared with those that the crack surface is under no traction.

테프론 균열 주형법 開發에 관한 硏究 (A study on the Teflon crack Molding Method)

  • 최상인;최선호;황재석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1권6호
    • /
    • pp.945-952
    • /
    • 1987
  • 본 연구에서는 이런 점을 감안하여 테프론 주형법의 장점들을 이용하되 에폭 시 덩이를 만드는 주형상자 대신에 에폭시 판과 테프론 균열이 수직성과 직선성을 유 지할 수 있도록 새로 주형대(molding table)를 개발하여 필요한 균열길이와 두께의 에 폭시판을 만들고 기계가공없이 직접시편으로 사용하여 광탄성장치에서 무늬사진을 얻 음으로서 기계 가공시에 일어나는 여러 문제들을 일소하고 시간과 경비를 크게 절약 하려고 하였으며 지금까지의 어떤 실험방법 보다도 정밀한 측정으로 응력확대계수 해 석상의 오차를 줄이는데 목적이 있다.

다점선정법에 의한 "슬랩상사 응력확대 계수 해석법"의 정도향상에 관한 연구 (Improvement of slab analogy experimental analysis by using multi-point selection method)

  • 김종수;최선호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2권6호
    • /
    • pp.1246-1251
    • /
    • 1988
  • 본 연구에서는 균열 첨단의 극좌표를 직각좌표(x, y)로 변환시킨 후 슬랩상사 이론을 적용시켜 균열첨단 부근에서 많은 데이터의 측정이 가능한 새로운 해석법인 다 점 선정법(multi-point selection method)을 개발하였다.또 이 해석법으로 유한판 중앙 직선균열의 응력확대계수를 해석하여 종래 해석법의 결과와 비교 검토하여 그 유 용성을 확인하였다.

복합재 패치 보강 평판의 균열선단 진전거동 해석 (Analysis of fatigue crack growth behavior in composite-repaired aluminum place)

  • 이우용;이정주
    • Composites Research
    • /
    • 제17권4호
    • /
    • pp.68-73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한 쪽 면만 복합재 패치로 보강한 알루미늄 균열평판의 피로균열 진전거동을 해석적인 방법으로 고찰하였다. 한쪽 면 보강 시, 균열선단은 비대칭성과 면 외 굽힘의 효과로 인하여 초기의 직선형태에서 경사곡선형태로 진전한다는 사실을 이전의 연구견과에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정확한 피로거동을 고찰하기 위하여는 이와 같은 균열선단의 변화과정을 예측하고, 이론 해석에 반영하는 것이 필수적이라 하겠다. 본 연구에서는 균열선단 전개형상을 고려한 한쪽 면 보강시의 피로해석을 수행하기 위하여 선형탄성 파괴역학개념을 적용한 3차원 순차적 유한요소 해석기법을 적용하였는데, 이를 통하여 진전하는 균열선단 형상을 단계적, 반복적으로 추적하고 해석모델에 반영하였다. 이와 같은 해석기법을 적용함으로써 패치보강 평판의 피로수명은 물론 균열선단 진전과정도 정확히 예측할 수 있었다. 해석으로 얻어진 균열선단 진전거동 및 피로수명은 상응하는 실험결과와 잘 일치함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