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직교격자

검색결과 121건 처리시간 0.029초

다공질 박판의 유효 직교 이방성 크리프 파라미터 계산 (Evaluation of Effective Orthotropic Creep Parameters for Perforated Sheets)

  • 정일섭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79-88
    • /
    • 2005
  • Evaluating the effective properties of materials containing various types of in-homogeneities is an important issue in the analysis of structures composed of those materials. A simple and effective method for the purpose is to impose the periodic displacement boundary conditions on the finite element model of a unit cell. Their theoretical background is explained based on the purely kinematical relations in the regularly spaced in-homogeneity problems, and the strategies to implement them into the analysis and to evaluate the homogenized material constants are introduced. The creep behavior of a thin sheet with square arrayed rectangular voids is characterized, where the orthotropy is induced by the presence of the voids. The homogenization method is validated through the comparison of the analysis of detailed model with that of the simplified one with the effective parameters.

복합 왜곡 영상을 보정계수 자동추출 방법 (A Calibration Coefficient Auto Extracting Method for Compound Distorted Image)

  • 한기태;김회율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6권3B호
    • /
    • pp.302-314
    • /
    • 2001
  • 많은 비전 응용에서 카메라의 광축은 영상 평면과 직교한다는 가정을 한다. 그러나 가정아래 전통적인 왜곡 영상 보정 방법은 렌즈의 방사(radial) 왜곡과 이탈(decentering) 왜곡만을 고려하고 있다. 그러나 렌즈의 광축(optical axis)과 영상 켈리브레이션 평면이 직교하지 않을 경우는 평면 투명 변환과 카메라 자체의 렌즈 왜곡이 복합되어 나타나게 되므로 기존 방법만으로는 이러한 복합왜곡을 보정할 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일방 방사왜곡 뿐만 나이라 평면 투명변환과 렌즈왜곡이 동시 존재하는 영상 시스템에서도 적용 가능한 왜곡 영상 자동 보정 방법을 제한한다. 제안한 복합 왜곡 모델은 평면 투명 변환 모델과 렌즈의 방사 왜곡 모델로부터 유도하고, 계수 추출 알고리듬은 비 선형 최소화 기법인 Levenberg-Marquart 방법에 기반을 둔다. 실험은 이상형 격자 영상에 임의 왜곡 계수를 적용한 영상과 WebCam 카메라의 실제 왜곡 영상을 가지고 실시하였고, 기존 방법과 제안한 방법의 보정율을 비교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제안한 방법은 렌즈 왜곡만 있는 경우에도 기존 방법보다 우수하였으며, 복합왜곡 환경에서도 97% 이상의 보정율로 아주 견고하게 적용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일반 비직교 표면좌표계에서의 비압축성 Navier-Stokes방정식의 수치해석 (Calculation of the incompressible Navier-stokes equations in generalized nonorthogonal body fitted coordinate system)

  • 강동진;배상수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20권3호
    • /
    • pp.1015-1027
    • /
    • 1996
  • In this paper, a numerical procedure for the calculation of the incompressible Navier-Stokes equations in a generalized nonorthogonal body fitted coordinate system is proposed and is validated through three test problems. Present numerical procedure derives the pressure equation by using the pressure substitution method on the regular grid system, and discretized momentum equations are based on the covariant velocity components. Cavity flow, backward facing step flow, and two dimensional channel flow with a sinusoidal wavy wall are chosen as three test problems. Numerical solutions obtained by present procedure shows a good agreement with previous numerical and/or experimental results. Convergence rate is also satisfactory.

UTM 투영에 의한 고차 좌표변환 (Higher Order Coordinates Conversion for UTM Projection)

  • 서승남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0권3호
    • /
    • pp.277-290
    • /
    • 2008
  • 경도 $14^{\circ}$ 범위보다 넓은 구역에 대한 UTM 좌표변환을 위하여 12차 Taylor 전개에 의한 새로운 변환식을 유도하였고 이는 Thomas(1952)의 식을 확장한 것임을 보였다. WGS84와 UTM 좌표의 상호변환에 대한 계산 결과를 나타내었고 차수에 따른 수렴의 정도도 분석하였다. 본 변환식은 우리나라 주변의 조석 또는 지진해일과 같은 장주기 파랑의 전파를 위한 수치모형의 직교좌표 격자구성에 사용될 수 있다.

선형 격자 형성 방정식을 이용한 직교 격자 형성에 관한 연구 (Orthogonal Grid Generation Using Linear Grid Generating Equations)

  • 이상욱;권장혁;권오준
    • 한국전산유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유체공학회 2000년도 춘계 학술대회논문집
    • /
    • pp.99-106
    • /
    • 2000
  • A method of two and three dimensional orthogonal grid generation with control of spacing by using the covariant Laplace equation is Presented. An important feature of the methodology is its ability to control effectively the grid spacing especially near the boundaries still maintaining good orthogonality in whole field. The method is based on the concept of decomposition of the global transformation into consecutive transformation of an approximate conformal mapping and au auxiliary orthogonal mapping to have linear and uncoupled equations. Control of cell spacing is based on the concept of reference arc length, and orthogonal correction is performed in the auxiliary domain. It is concluded that the methodology can successfully generate well controlled orthogonal grids around bodies of 2 and 3 dimensional configurations.

  • PDF

LLL 알고리즘 기반 이중 스피어 MIMO 수신기 (LLL Algorithm Aided Double Sphere MIMO Detection)

  • 전명운;이정우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12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377-380
    • /
    • 2012
  • 격자 감소 (lattice reduction) 알고리즘은 주어진 기저 벡터를 직교에 가까운 기저 벡터로 바꾸어 준다. 그중 대표적인 알고리즘으로 LLL (Lenstra, Lenstra & Lovasz) 알고리즘이 있다. 격자 감소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다중 안테나 입출력 (MIMO) 통신시스템의 선형 수신기(linear detector)의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다. 스피어 복호 알고리즘 (sphere decoding algorithm)은 MIMO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복호기중 최대 우도 복호기 (Maximum Likelihood Detector)와 비슷한 BER(bit error rate)성능을 가지고 복잡도를 줄일 수 있어서 많이 연구되어 왔다. 이때 스피어의 반지름의 설정이나 트리 검색 구조 방식 등은 복잡도에 큰 영향을 미친다. 본 논문에서는 LLL 알고리즘에 기반하여 스피어의 반지름 설정 및 트리 검색 노드 수를 제한하는 방식으로 스피어 복호 알고리즘의 복잡도를 기존 알고리즘에 비해 크게 낮추면서도 비트 오류률 (BER) 성능 열화를 최소한으로 한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전산 실험을 통해 검증한다.

  • PDF

직교모듈라격자의 멀티플라이어에 관하여 (On Multipliers of Orthomodular Lattices)

  • 연용호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3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369-370
    • /
    • 2013
  • Orthomodular lattice is a mathematical description of quantum theory which is based on the family CS(H) of all closed subspaces of a Hilbert space H. A partial multiplier is a function F from a non-empty subset D of a commutative semigroup A into A such that F(x)y = xF(y) for every elements x, y in A. In this paper, we define the notion of multipliers on orthomodular lattices and give some properties of multipliers. Also, we characterize some properties of orthomodular lattices by multipliers.

  • PDF

디지털 가입자회선을 위한 효율적인 반향 제거기 (An Efficient Echo Canceller for Digital Subscriber Lines)

  • 권오상;박현철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6권9B호
    • /
    • pp.1209-1214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양방향 디지털 가입자 회선 (Digital Subscriber Lines) 통신을 위해 격자 구조 (lattice structure)와 직교화된 IIR 형태의 필터가 결합된, 이른바 CALAOI(CAscade of LAttice and Orthogonalized IIR) 구조를 갖는 새로운 반향제거기를 제안한다. 모의실험을 통하여 CALAOI 반향제거기는 기존의 FIR 및 IIR 반향제거기보다 훨씬 적은 계산량 및 메모리, 그리고 빠른 수렴속도를 갖는 안정적인 반향제거기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CALAOI 반향 제거기는 xDSL뿐만 아니라, GIGA-bit Ethernet 등 고속 양방향 통신에서 서비스의 성능을 극대화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 PDF

광섬유 브래그 격자 센서를 이용한 복합재 구조물의 파손 검출 (Failure detection of composite structures using a fiber Bragg grating sensor)

  • 고종인;김천곤;홍창선
    • Composites Research
    • /
    • 제17권2호
    • /
    • pp.28-33
    • /
    • 2004
  • 광섬유 브래그 격자센서를 이용하여 인장하중을 받는 직교적출 복합해로 법에서 발생하는 파손신호를 계측하였다. 민감도와 주파수 대역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수동 마흐_젠더 간섭계 방식의 복조기를 제안하였다. 제안한 FBG 센서시스템은 위상변조기와 같은 능동소자가 없기 때문에 구성이 간단하고 쉽게 구현할 수 있으며 충격이나 파손 신호와 같이 작은 진폭의 고주파 진동 측정이 가능하다. FBG 센서로 측정한 복합재료의 파손신호는 복합재료 시편의 90도 층에서 모재 균열이 진전하면서 발생하는 급격한 변형률 변이에 해당하는 초기 오프? 값과 최대 수백 킬로헤르쯔에 이르는 주파수로 진동하고 었었다.

다중 사용자 MIMO 시스템을 위한 Seysen 알고리즘 기반 Lattice Reduction Aided 프리코팅 (Lattice Reduction Aided Preceding Based on Seysen's Algorithm for Multiuser MIMO Systems)

  • 안홍선;마나르모하이센;장경희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4권9C호
    • /
    • pp.915-921
    • /
    • 2009
  • LLL (Lenstra-Lenstra-Lovasz) 알고리즘은 보다 좋은 채널 행렬의 기저를 얻기 위하여 주로 사용되는 격자 감소기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LRA (lattice reduction aided) 프리코딩 기법에서 채널 행렬의 기저 (basis) 벡터를 격자 감소시키기 위하여 LLL 알고리즘 대신 Seysen 알고리즘 (SA)을 사용하였으며, 기존의 선형 프리코딩 기법을 SA를 통하여 얻어진 변환된 채널 행렬에 적용하였다. SA를 통하여 LLL 알고리즘보다 높은 직교성을 가진 기저를 얻어낼 수 있으므로, SA 기반의 LRA 프리코딩 기법은 기존의 LLL 기반의 LRA 프리코딩 기법보다 우수한 성능을 가진다. 모의실험 결과를 통하여 LRA 프리코딩에서 격자 감소를 위하여 SA를 사용한 경우, LLL 알고리즘을 사용한 경우보다 target BER $10^{-5}$에서 0.5dB정도의 BER 성능 이득이 얻어짐을 입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