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형지수

Search Result 438,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Performance of Northern Exposure Index in Reducing Estimation Error for Daily Maximum Temperature over a Rugged Terrain (북향개방지수가 복잡지형의 일 최고기온 추정오차 저감에 미치는 영향)

  • Chung, U-Ran;Lee, Kwang-Hoe;Yun, Jin-I.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v.9 no.3
    • /
    • pp.195-202
    • /
    • 2007
  • The normalized difference in incident solar energy between a target surface and a level surface (overheating index, OHI) is useful in eliminating estimation error of site-specific maximum temperature in complex terrain. Due to the complexity in its calculation, however, an empirical proxy variable called northern exposure index (NEI) which combines slope and aspect has been used to estimate OHI based on empirical relationships between the two. An experiment with real-world landscape and temperature data was carried out to evaluate performance of the NEI - derived OHI (N-OHI) in reduction of spatial interpolation error for daily maximum temperature compared with that by the original OHI. We collected daily maximum temperature data from 7 sites in a mountainous watershed with a $149 km^2$ area and a 795m elevation range ($651{\sim}1,445m$) in Pyongchang, Kangwon province. Northern exposure index was calculated for the entire 166,050 grid cells constituting the watershed based on a 30-m digital elevation model. Daily OHI was calculated for the same watershed ana regressed to the variation of NEI. The regression equations were used to estimate N-OHI for 15th of each month. Deviations in daily maximum temperature at 7 sites from those measured at the nearby synoptic station were calculated from June 2006 to February 2007 and regressed to the N-OHI. The same procedure was repeated with the original OHI values. The ratio sum of square errors contributable by the N-OHI were 0.46 (winter), 0.24 (fall), and 0.01 (summer), while those by the original OHI were 0.52, 0.37 and 0.15, respectively.

Analysis of the Spatial and Temporal Variability of NDVI Time Series in South Korea (남한지역 정규식생지수의 시공간 변화도 분석)

  • Kim, Gwang-Seob;Yim, Tae-K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119-122
    • /
    • 2005
  • 정규식생지수는 일반적으로 식생의 활력도를 나타나는 지표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정규식생지수가 특정지역의 강우량과 온도의 계절 및 경년변화와 어떤 상관관계를 가지며 기후변화는 식생지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등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수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1981년부터 2001년까지의 NOAA/AVHRR 영상으로부터 계산된 남한지역 정규식생지수의 주성분 분석을 통해 자료의 공간변화패턴을 분석하고 경험적 직교함수를 이용하여 시간적 변화 양상을 파악하였다. 분석결과 정규식생지수의 공간변화도는 첫 주성분에 의하여 약 $60\%$ 정도 설명되어지며 첫 주성분은 남한지역의 지형 자료 패턴을 따르고 두 번째 주성분은 전체 변화도의 약 $17\%$를 나타내며 강한 남북기울기를 보여주는 것은 계절변화와 상관한 위도변화에 따른 정규식생지수의 변화를 나타낸다. 그리고 소양강댐 및 안동댐 유역의 정규식생지수, 강우량 및 유입량 상관관계 분석 결과 정규식생지수의 계절변화와 경년변화는 강우량의 변화에 그리 민감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The Effect of Speed of Deposited Atom on Growth Morphology (증착원자의 속력이 성장 지형에 미치는 영향)

  • Seo, J.;Shim, H.S.;Kim, S.H.
    • Journal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 /
    • v.21 no.2
    • /
    • pp.86-92
    • /
    • 2012
  • We have studied the effect of speed of deposited atom on morphology evolution during Glancing Angle Deposition (GLAD). Using Kinetic Monte Carlo simulation that incorporate molecular dynamics simulations, we have shown that the rough surface morphology became smoother as the speed of deposited atom is increased. The growth exponent ${\beta}$ change from 0.97 to 0.67 as the speed increase from ${\upsilon}_0$ to $10{\upsilon}_0$ in the case of GLAD. We also examined the effect of speed of deposited atom for the case of 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simulation. Compared to GLAD, the variation in scaling exponent ${\beta}$ is small but the speed of deposited atom also have considerable effect on growth morpholgy in the case of CVD.

Analysis of the Variability of Leaf Area Index Derived From NOAA-AVHRR Satellite Image Data for South Korea (NOAA-AVHRR 자료로부터 유도된 남한지역 LAI 변화 분석)

  • Kim, Gwang-Seob;Yim, Tae-K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908-911
    • /
    • 2005
  • 지표와 대기사이에서 식물의 광합성 및 증발산 능력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엽면적지수는 식생밀도를 나타낼때 사용되는 식생지수이다. 본 연구에서는 NOAA-AVHRR 자료를 사용한 엽면적지수를 사용하여 남한지역 엽면적지수의 시공간변화도와 주기성분석을 실시하였고 소양강댐유역, 안동댐유역과 주요 도시의 엽면적지수의 월별, 년별, 계절별 추세를 분석하였다. 추세분석결과 월추세 분석에서는 장기간의 뚜렷한 변동성을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겨울과 봄 보다는 여름과 가을에 식생의 밀도가 더 높은 계절적인 요인에 많은 영향을 받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시간변화 분석결과 계절변화를 제외한 특별한 장기변동을 확인할 수 없었으며 엽면적지수의 공간 변화는 정규식생지수가 보여주는 지형이나 위도의 변화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 변화양상을 보여주지 않았다. 이는 농지 및 삼림 등의 인위적 조성으로 인한 엽면적지수의 공간변화도 양상과 관계있다 하겠다.

  • PDF

Vegetation index analysis using Satellite images (인공위성 영상을 이용한 식생지수 상관분석)

  • Won, Sang-Yeon;Kim, Gi-Hong;Kim, Hyeong-G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Conference
    • /
    • 2010.04a
    • /
    • pp.239-243
    • /
    • 2010
  • This paper shows how to establish vegetation index analysis for reducing soil erosion in mountain watershed. Soil erosion results from a combination of rainfall, soil, topography, and vegetation, so we need much time and costs when analyse it. We comparatively analysed the factors of topography, soil, and vegetation with variable resources, then established GIS DB. The possibility of practical use of this DB was also analysed. The soil and vegetation information of the sediment runoff section, and the NDVI vegetation index from KOMPSAT-2 imagery were referenced for this conducting research.

  • PDF

Development of FDRRI Based Community Preparedness Index (지역사회 대비능력을 고려한 홍수피해저감지수 개발)

  • Yang, Seung-Man;Choi, Seon-Hw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803-803
    • /
    • 2012
  • 최근 선진국에서는 지역사회의 지역특성, 대비능력 등을 토대로 맞춤형 재난 대비책을 마련하여 시행하고 있다. 이는 중앙정부의 한정된 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하고, 지방정부는 지역의 취약성을 파악하여 구체적 적응정책의 방향성 제시를 가능하게 한다. 우리나라 역시 재해위험에 대한 각 지역의 방재능력을 여러 가지 방법으로 진단하고 있으나 대부분 지역의 인구, 재정력, 시설, 인력, 자원 확보 및 계획 등 정량적 정보만을 종합하여 위험도를 진단하고 있어 재해위험에 대한 지역민과 지역사회가 느끼는 취약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홍수 취약성 개념 틀을 정의하고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취약성을 평가할 수 있는 홍수피해저감지수(Flood Disaster Risk Reduction Index, FDRRI)를 개발하였다. FDRRI는 지형적 기상적 요인을 고려한 홍수노출지표, 사회적요인과 과거피해 요인을 고려한 민감도지표, 지역안전도 피해저감능력지수를 고려한 피해저감능력지표, 지역민의 대비능력을 나타내는 지역사회대비능력 지표를 결합하여 평가된다. 특히, 지역사회대비능력지표는 지역민 설문조사를 통해 지역민의 역량을 정량화한 것으로 본 연구에서 처음으로 도입한 것이다. FDRRI의 적용성 검토를 위해 지형적 특성, 홍수피해정도 등을 고려하여 낙동강 유역의 경북 봉화, 김천, 경남 고성, 김해를 시범지역으로 선정하고 FDRRI를 산정하였으며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FDRRI는 홍수위험에 대한 지역의 저감능력을 잘 반영하고 있으며, 지역별 맞춤형 저감대책 및 지역사회가 참여한 지속가능한 재난관리 정책 수립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nalysis of Mountainous Watershed Risk Considering the Topography Characteristics (지형 특성을 고려한 산지유역 위험도 분석)

  • Oh, Chae Yeon;Jun, Kye Won;Jun, Byong 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427-427
    • /
    • 2018
  • 최근 집중호우나 극한 강우사상으로 인하여 산사태나 토석류와 같은 산지재해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우리나라는 지형 특성상 주거지역이 산지와 인접해 있는 경우가 많아 재해발생 시 피해를 가중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산지재해는 예측하기가 어렵고 산지에서 발생한 토석류가 계곡을 따라 흘러 내려와 도심지 및 산지와 인접한 도로나 주택지에 많은 피해를 발생 시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마다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산사태나 토석류와 같은 재해의 피해저감과 원인분석을 위하여 강원도 삼척시 도계읍 일대를 대상지역으로 선정하고 산지유역의 위험성 분석을 위하여 사면안정성 예측 모델인 SINMAP 모형을 사용하여 산지재해가 발생 가능한 위험지역 및 안전한 구간을 분석하고 지형분류기법 중의 하나인 Topographic Position Index(TPI) 분석방법을 통해 대상지역의 지형위치지수를 계산하여 위험지형을 분류하였다.

  • PD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Hydrolocgic and Ecologic Indices in the Han River Basin (한강유역의 수문지수와 생태지수 상관성 분석)

  • Kim, Siyeon;Lee, Jiwan;Jeon, Seol;Lee, Moonyoung;Jung, Wonwoo;Jung, Kichul;Kim, Seongjoon;Park, Daer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40-440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수문지수와 생태지수간의 상관성 분석을 통해 하천의 유량이 하천 생태계와 하천 건강성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분석했다. 수문지수는 각 유역의 유량 자료를 이용하여 구하였다. 각 유역의 평균 일일 유량, 평균 월 유량, 일 중앙 유량, 월 중앙 유량, 유량의 왜곡, 유량의 변동계수, 유량 빈도 등을 구하였다. 생태지수는 Benthic Macroinvertebrates Index (BMI)를 이용하였다. 피어슨 상관계수 분석(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을 통해 수문지수와 생태지수 간의 상관성을 분석했다. 또한 Gaussian Process Regression(GPR) Model을 이용하여 수문지수와 유역의 지형적 특성을 이용한 회귀모형을 통해 미래의 BMI를 예측할 수 있었다. 각 수문지수별로 생태지수와 높은 상관성을 보이는 것과 낮은 상관성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GPR 모형을 이용하여 미래의 BMI의 값을 예측해 하천 건강성 평가로 이용될 수 있는 수문지수를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서 수문학적 지수와 생태지수를 이용해 정량적으로 건강성을 평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GPR 모형을 통해 미래 생태지수의 값을 예측해보고 해당 연구 유역의 하천 건강을 위한 하나의 지표를 제안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PDF

Influence of Grid Cell Size and Flow Routing Algorithm on Soil-Landform Modeling (수치고도모델의 격자크기와 유수흐름 알고리듬의 선택이 토양경관 모델링에 미치는 영향)

  • Park, S.J.;Ruecker, G.R.;Agyare, W.A.;Akramhanov, A.;Kim, D.;Vlek, P.L.G.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4 no.2
    • /
    • pp.122-145
    • /
    • 2009
  • Terrain parameters calculated from digital elevation models (DEM) have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in current spatially distributed models of earth surface processes. This paper investigated how the ability of upslope area for predicting the spatial distribution of soil properties varies depending on the selection of spatial resolutions of DEM and algorithms. Four soil attributes from eight soil-terrain data sets collected from different environments were used. Five different methods of calculating upslope area were first compared for their dependency on different grid sizes of DEM. Multiple flow algorithms produced the highest correlation coefficients for most soil attributes and the lowest variations amongst different DEM resolutions and soil attributes. The high correlation coefficient remained unchanged at resolutions from 15 m to 50 m. Considering decreasing topographical details with increasing grid size, we suggest that the size of 15-30 m may be most suitable for soil-landscape analysis purposes in our study are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