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표면 효과

Search Result 266,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Development of Grid-Based Distributed Runoff Model in Urban Area (격자기반 도시유역 분포형 유출모형의 개발)

  • Ryu, Hee-Sang;Kim, Mun-Mo;An, Won-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759-763
    • /
    • 2010
  • 본 연구는 격자기반의 지표면 유출 및 도시 유역 우수관거 유출해석모형으로서 유역을 관거 유입구를 기준으로 다수의 소유역들로 구분하고 각 소유역내 지표면 흐름을 비선형저류방정식으로 표현하여 유출량을 산정하는 방법 및 유역을 일정한 크기의 격자로 분할한 상태에서 각 격자의 유입 유출을 계산함으로써 주어진 시간 간격별로 유역 전체에 대한 물수지를 파악하는 격자 물수지식을 이용하는 방법을 결합하여 도시유역의 지표면 유출량을 산정하기 위한 격자기반의 분포형 지표면 유출해석 모형을 개발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즉, 본 연구에서 개발한 유출모형은 지표면 유출의 메카니즘을 비선형저류방정식으로 표현한다는 점에서 SWMM의 방법을, 격자기반으로 유출량을 계산 추적한다는 것이다. 또한 도시지역의 침수형태 및 원인을 파악함과 동시에 기존의 도시유출 해석모형을 일부 수정 및 보완하여 집중호우발생시의 지표이동류 흐름, 폐합형 우수관거, 하류부의 배수영향 등을 고려한 우수관거 유출모델을 개발하였다. 본 모형을 이용하여 가상 및 실제 유역에 대한 유출모의를 수행함으로써 모형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격자기반 도시유출해석모형은 대상유역을 일정한 크기의 격자로 구성하고 개개의 격자마다 유출해석을 위한 지형정보와 수문정보를 입력하여 격자별 유출량을 계산 추적함으로써 유역의 임의의 위치에서의 유출량, 유출심의 시간적 변화와 공간적인 분포를 모의할 수 있다. 가상 및 실제 유역에 대한 유출해석을 통하여 본 연구에서 개발한 모형은 이동강우나 국지적인 집중호우 등 시공간적으로 변하는 수문 특성을 반영할 수 있고, 폐합형 우수관망 해석 및 하류부 배수효과를 검토하여 도시유역의 홍수방재관리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Effects of Differential Heating by Land-Use types on flow and air temperature in an urban area (토지 피복별 차등 가열이 도시 지역의 흐름과 기온에 미치는 영향)

  • Park, Soo-Jin;Choi, So-Hee;Kang, Jung-Eun;Kim, Dong-Ju;Moon, Da-Som;Choi, Wonsik;Kim, Jae-Jin;Lee, Young-Gon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2 no.6
    • /
    • pp.603-616
    • /
    • 2016
  •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differential heating by land-use types on flow and air temperature at an Seoul Automated Synoptic Observing Systems (ASOS) located at Songwol-dong, Jongno-gu, Seoul was analyzed. For this, a computation fluid dynamics (CFD) model was coupled to the local data assimilation and prediction system (LDAPS) for reflecting the local meteorological characteristics at the boundaries of the CFD model domain. Time variation of temperatures on solid surfaces was calculated using observation data at El-Oued, Algeria of which latitude is similar to that of the target area. Considering land-use type and shadow, surface temperatures were prescribed in the LDAPS-CFD coupled model. The LDAPS overestimated wind speeds and underestimated air temperature compared to the observations. However, a coupled LDAPS-CFD model relatively well reproduced the observed wind speeds and air temperature, considering complicated flows and surface temperatures in the urban area. In the morning when the easterly was dominant around the target area, both the LDAPS and coupled LDAPS-CFD model underestimated the observed temperatures at the Seoul ASOS. This is because the Kyunghee Palace located at the upwind region was composed of green area and its surface temperature was relatively low. However, in the afternoon when the southeasterly was dominant, the LDAPS still underestimated, on the while, the coupled LDAPS-CFD model well reproduced the observed temperatures at the Seoul ASOS by considering the building-surface heating.

Enhancing GEMS Surface Reflectance in Snow-Covered Regions through Combined of GeoKompsat-2A/2B Data (천리안 위성자료 융합을 통한 적설역에서의 GEMS 지표면 반사도 개선 연구)

  • Suyoung Sim;Daeseong Jung;Jongho Woo;Nayeon Kim;Sungwoo Park;Hyunkee Hong;Kyung-Soo Han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9 no.6_1
    • /
    • pp.1497-1503
    • /
    • 2023
  • To address challenges in classifying clouds and snow cover when calculating ground reflectance in Near-UltraViolet (UV) wavelengths, this study introduces a methodology that combines cloud data from the Geostationary Environmental Monitoring Spectrometer (GEMS) and the Advanced Meteorological Imager (AMI)satellites for snow cover analysis. The proposed approach aims to enhance the quality of surface reflectance calculations, and combined cloud data were generated by integrating GEMS cloud data with AMI cloud detection data. When applied to compute GEMS surface reflectance, this fusion approach significantly mitigated underestimation issues compared to using only GEMS cloud data in snow-covered regions, resulting in an approximately 17% improvement across the entire observational area. The findings of this study highlight the potential to address persistent underestimation challenges in snow areas by employing fused cloud data, consequently enhancing the accuracy of other Level-2 products based on improved surface reflectivity.

The variation of transition zone between sea water and fresh water with the tidal effect at the coastal rock aquifer (해안가 암반대수층에서 조석효과에 의한 해수와 담수 전이대의 변동 연구)

  • Kim, Sung-Soo;Kang, Dong-Hwan;Kim, Dong-Soo;Choi, Sun-Mi;Chung, Sang-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904-1908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해안가 암반대수층에서 전기전도도의 수직적인 변화를 관측하여 조석에 의한 해수와 담수 전이대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연구지역은 부경대학교 대연캠퍼스 주변 해안대수층이며, 응회질퇴적암과 안산암 및 안산암질 화산각력암 등이 분포한다. 연구에 이용된 지하수 관측공 (PK1공)은 부경대학교 대연캠퍼스 내 기숙사 동측에 위치하고 있다. 지하수공의 개발심도는 지표 면하 120 m, 케이싱은 지표면하 19 m까지 설치되어 있으며, 내경은 0.2 m로서 해안가에서 180 m 정도 이격되어 있다. 해안대수층 내 해수와 담수 전이대를 파악하기 위하여 관측공 내에 TLC Meter(Model 107, Solinst)를 삽입하여 전기전도도의 수직적인 변화를 지하수공 내 심도 50 m 까지 측정하였다. 전기전도도의 수직적인 관측은 썰물(low tide)일 때, 썰물에서 밀물(high tide)로 될 때 및 밀물일 때로 나누어 총 3회 수행되었다. 전체적인 전기전도도의 분포는 썰물일 때 $630{\sim}47300{\mu}S/cm$, 썰물에서 밀물로 되는 시기에는 $672{\sim}61900{\mu}S/cm$ 및 밀물일 때는 $678{\sim}67900{\mu}S/cm$로 나타났으며, 따라서 밀물일 때가 썰물일 때보다 전기전도도의 농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해수와 담수 전이대의 분포는 썰물일 때 약 $20{\sim}50\;m$, 밀물일 때 약 $20{\sim}38\;m$ 정도로 나타났으며, 이는 밀물 시 해수의 침투로 인해 전이대 하부구간의 농도가 상승하였기 때문이다. 해수와 담수 전이대의 구간을 세분화하여 분석하기 위해, 담수가 우세한 전이대, 주 전이대 및 해수가 우세한 전이대 구간으로 구분하였다. 담수가 우세한 전이대는 썰물과 밀물일 때 모두 지표면하 $20.0{\sim}25.5\;m$ 구간이었으며, 주 전이대에서는 지표면하 $25.5{\sim}25.7\;m$ 정도로 나타났다. 그러나, 해수가 우세한 전이대에서는 썰물일 때 지표면하 $25.7{\sim}50.0\;m$ 구간, 밀물일 때는 지표면하 $25.7{\sim}38.0\;m$ 로서 전이대의 폭이 19 m 정도의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해안가 암반대수층에서 해수와 담수의 전이대는 조석에 의해 영향으로 인해, 썰물 시의 전이대가 밀물에 비해 그 폭이 더욱적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An Empirical Study on Analysis Method of Impervious Surface Using IKONOS Image (IKONOS 위성영상을 이용한 불투수지표면 분석방법에 관한 실증연구)

  • 사공호상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11 no.4
    • /
    • pp.509-518
    • /
    • 2003
  • Impervious surface affects urban climate, flood, and water pollution. With a higher paved rate, expanded heat containing capacity of buildings and roads raises atmospheric temperature, and increased quantity of the outflowed water brings flood during a heavy downpour. Moreover, increased non-point source pollutant load is accountable for water pollution. In this regard, it is definitely important to research and keep monitoring the current situation of paved surface, which influences urban ecosystem, disaster and pollution. In fact, collecting information on urban paved surface, which requires the time and expense, is very difficult due to its complicate structur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this study suggested a method to utilize satellite image data for efficient survey on the current condition of paved surface. It analyzed the paved surface condition of Anyang-si by using IKONOS image and discussed the usefulness and limitation of this method.

  • PDF

Development of real-time urban inundation prediction system (실시간 도시침수 예측 시스템 개발)

  • Lee, Seung Soo;Park, Kyung Won;Lee, Gi Ha;Ahn, Hyun Uk;Jung, Sung 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62-62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인공위성 관측자료와 레이더 자료를 합성하여 예측된 선행시간 2시간의 강수량 예측자료를 이용하여 도시유역의 침수 발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대상유역은 부산광역시에 위치하고 있는 유역면적 $54km^2$의 온천천유역으로, $10m{\times}10m$의 해상도로 지표면의 침수예측을 수행한다. 침수예측에 이용되는 모델은 지표면과 하수관망 사이의 상호작용을 효과적으로 고려할 수 있도록 지표면 2차원, 하수관망 1차원 모델을 연계하였으며, 침수예측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OpenMP기반의 병렬해석 기법을 적용하였다. 또한 초기조건에 의한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하천수위 관측소에 관측된 수위자료를 예측모델의 초기조건으로 입력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성하였으며 유역 하류단에서 경계조건으로 활용되는 예측수위자료는 시계열자료의 예측에 뛰어난 성능을 보여주는 것으로 알려진 LongShort-term Memory(LSTM) 기법을 적용하여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실시간 도시침수 예측 시스템은 집중호우 발생시 침수 발생 위치를 사전에 빠르게 예측하여 도시유역의 인적 물적 자원의 피해를 저감하는데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pplication of LID to Reduce Storm Runoff according to the RCP Climate Change Scenarios (RCP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우수 유출량 저감을 위한 저영향개발 시설의 적용 방안)

  • Kim, Min ji;Kim, Ji Eun;Park, Kyung Woon;Kim, Tae-Woong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42 no.3
    • /
    • pp.333-342
    • /
    • 2022
  • Due to climate change, increased heavy rainfalls result in flood damage every year. To investigate the storm-runoff reduction effects of Low Impact Development (LID), this study performed runoff analyses using the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EPA) Storm Water Management Model (SWMM) for past and future representative storm events of the Yongdu Rainwater Pumping Station basin. As a result, the infiltration loss for representative future rainfalls increased by 3.17 %, and the surface runoff and peak runoff rate increased significantly by 32.50 %, and 128.77 %, respectively. To reduce the increased surface runoff and peak runoff rat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pplicability of LID approaches, including a permeable pavement, green roof, and rain garden, by adjusting the LID parameters and the ratio of installation area. We identified the ranges of LID parameters that decreased peak runoff rate and surface runoff, and increased infiltration. In addition, when the application ratio of permeable pavement, green roof, and rain garden was 2:1:3, best performance was attained, leading to a reduction of peak runoff of 26.85 %, infiltration loss 12.01 %, surface runoff 15.11 %, and storage 509.47 %. Based on analyzing the effect of storm runoff reductions for various return periods, it was found that as the return period increased, the proportion of peak runoff and surface runoff increased and the proportion of infiltration loss and storage decreased.

Optimal Network Selection Method for Artificial Neural Network Downscaling Method (인공신경망 Downscaling모형에 있어서 최적신경망구조 선택기법)

  • Kang, Boo-Sik;Ryu, Seung-Yeop;Moon, Su-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605-1609
    • /
    • 2010
  • CGCM3.1 SRES B1 시나리오의 2D 변수들을 입력값으로 인공신경망 모형을 이용한 스케일 상세화기법으로 강부식(2009)은 소양강댐 유역의 월 누적강수 경향분석을 실시하였다. 원시 GCM 시나리오를 스케일 상세화 시키기 위한 기법의 하나로 인공신경망 모형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이 경우 GCM에서 모의되는 강수플럭스, 해면기압, 지표면 근처에서의 일 평균온도, 지표면 근처에서의 일평균온도, 지표면으로부터 발생하는 잠열플럭스 등과 같은 22개의 변수를 잠재적인 예측인자로 사용하여 신경망을 구성하게 된다. 입력변수세트의 구성은 인공신경망의 계산 효율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변수의 물리적 특성을 고려하여 순차적인 변수선택을 통한 신경망 입력변수 세트를 구성하고 입력세트 간의 학습성과 비교를 통하여, 최적 입력변수 선정 및 신경망의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물리적 상관성이 높다고 판단되는 GCM_Prec, huss, ps를 입력변수로 하여 순차적인 케이스를 학습해본 결과 huss와 ps를 입력변수로 하는 케이스에 대해서 적은 오차와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또한, 신경망의 학습 효과를 높이기 위해 홍수기와 비홍수기로 구분하여 학습한 결과 홍수기와 비홍수기로 구분하여 신경망을 구성하였을 경우가 향상된 모의값을 나타내었다. 기후변화모의자료는 CCCma(Canadian Center for Climate Modeling and Analysis)에서 제공되는 CGCM3.1/T63 20C3M 시나리오를 사용하였으며, 관측값으로는 AWS에서 제공된 일 누적강수를 사용하였다. 인공신경망의 학습기간은 1997년부터 2000년이며, 검증기간은 2001년부터 2004년으로 구성하였다.

  • PDF

Simulation of Moving Storm in a Watershed Using A Distributed Model -Model Development- (분포형 모델을 이용한 유역내 이동강우(MOVING STORM)의 유출해석(1) -모델의 개발-)

  • Choe, Gye-Won;Lee, Hui-Seong;An, Sang-Jin
    • Water for future
    • /
    • v.25 no.1
    • /
    • pp.101-110
    • /
    • 1992
  • In this paper for simulating spatially and temporally varied moving storm in a watershed a distributed model was developed. The model is conducted by two major flow simulations which overland flow simulation and channel network flow simulation. Two dimensional continuity equation and momentum equation of kinematic approximation are used in the overland flow simulation. On the other hand, in the channel networks simulation two types of governing equations which are one dimensional continuity and momentum equations between two adjacent sections in a channel, and continuity and energy equations at a channel junction are applied. The finite element formulations were used in the overland flow simulation and the implicit finite difference formulations were used in the channel network simulation. The finite element formulations for the overland flow are analyzed by the Gauss elimination method and the finite difference formulations for the channel network flow are analyzed by the double sweep method having advantages of computational speed and reduced computer storages. Several recurrent coefficient equations for channel network simulation are suggested in the paper.

  • PDF

수치모의를 통한 인천국제공항 건설 후 안개발생과 관련한 국지기상변화 고찰

  • 이화운;임헌호;김동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4.11a
    • /
    • pp.185-187
    • /
    • 2004
  • 인천국제공항 건설후 안개 발생과 관련한 국지 기상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먼저 온도의 시계열 변화를 살펴 보았을 때 건설 전과 대비해 건설 후에 약 $2^{\circ}C$ 정도의 온도 상승효과가 나타났으며 지표면이 Urban일 경우 주간에 가장 온도가 높고 야간에 온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