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지질성분

검색결과 1,484건 처리시간 0.029초

부산 기장지역 농경지의 지하수 수질 특성

  • 함세영;김광성;정재열;류상민
    •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03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30-233
    • /
    • 2003
  • 우리나라에서 지하수 수질오염은 갈수록 심해지고 있다 지하수 오염원은 공장폐수, 생활하수, 정화조, 주유소, 농약(살충제, 제초제, 살균제), 비료, 축산폐수, 광산배수, 폐기물 처분장 침출수 등 이다. 특히, 농업지역에서는 농약에서 유래하는 지하수 오염이 점점 증대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우리나라 먹는물 수질기준에 규정되어 있는 농약 성분은 다이아지 논, 파라티온, 말라티온, 페니트로티온, 카바릴이다. 국내에서 시판되는 농약의 품목 수는 1981년 이전까지는 226종이던 것이 1990년에는 467종, 2001년에는 961종으로 증가하였다(제주도, 2001). (중략)

  • PDF

지질 및 전분성 종자에서 지질 및 지질가수분해효소의 분포 (Distribution of Lipid and Lipase in Lipid-and Starch-Rich Seeds)

  • 김우갑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5권3호
    • /
    • pp.219-227
    • /
    • 1992
  • 지질성 종자(해바라기, 피마자, 잣나무)와 전분성 종자(완두, 옥수수)를 대상으로 배유와 자엽세포내의 저장지질의 형성, 분포 및 구조적 변화 등과 지질가수분해효소의 활성부위 및 세포내 분포양상 등을 세포화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채종후의 지질 및 전분성 종자의 배유와 저장성 자엽세포에는 구형의 단백과립과 지질소구인 스페로솜, 전분과립 등의 저장물질이 널리 분포하였으며 세포내소기관은 드물게 관찰되었다. 활면소포체에서 형성되어 방출된 소포들과 스페로솜의 초기 단계로 여겨지는, 전자밀도가 낮은 막성의 과립들은 염색상이 스페로솜의 그것과 동일하였다. 조면소포체에서 방출된 전자밀도가 높은 과립들은 원형질막의 인접부위에서 관찰되었다. 지질염색반응 결과, 일반적인 미세구조의 염색상과는 상이하게 단백과립내의 단백질보다는 구형의 스페로솜의 전자밀도가 높고 균일함이 확인되어 스페로솜의 주요 구성성분은 지질임을 알 수 있었다. 스페로솜과 활면소포체에서 방출하는 물질을 함유한 소포는 염색상이 동일하였다. 지질가수분해효소는 분해과정이 진행중인 스페로솜의 기질과 막 주변부, 그리고 원형질막 부근에서 강한 활성을 보였다.

  • PDF

주파수 영역에서의 인공지진과 자연지진의 식별 (Discrimination of Natural Earthquakes and Explosions in Spectral Domain)

  • 김성균;김명수
    • 자원환경지질
    • /
    • 제36권3호
    • /
    • pp.201-212
    • /
    • 2003
  • 한반도 남동부의 경상분지에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의 지진관측망을 비롯한 관측소들이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지진관측의 능력이 최근에 들어 크게 향상되었다. 그러나, 빈번한 중소규모의 화약발파에 의한 진동이 다수 관측되고 있다. 따라서, 이 지역에서 자연지진과 발파에 의한 인공지진의 식별이 중요한 문제로 부상하였다. 이 지역에서의 인공지진과 자연지진의 적절한 식별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소규모의 지역지진 43개와 이에 대응되는 인공지진 43개를 선정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주파수 영역에서 Pg파, Sg파 및 Lg파의 스펙트럼 진폭비를 이용하는 기법들이 폭 넓게 검토되었다. 그들 중 Pg/Lg 스펙트럼 진폭비를 이용하는 방법이 가장 좋은 식별법으로 나타났다. 또한, 식별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Pg/Lg 스펙트럼비에 다변량 판별분석법을 적용하였다. 거리보정이 안된 수직성분에 비하여 거리에 대한 감쇠효과를 보정한 3성분의 Pg/Lg비에 판별분석법을 적용했을 때의 판별능력은 뚜렷한 증가를 보인다. 주파수 대역 4-l4Hz의 범위에서, 거리 보정한 3성분의 Pg/Lg비에 대한 판별분석의 결과 총 분류비율은 0.89%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난다.

감마선 조사에 의한 왕겨, 미강, 맥강의 항산화능의 변화 (Effect of γ-Irradiation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Rice Hull, Rice Bran and Barley Bran)

  • 배성문;김정한;조철우;정태준;육홍선;변명우;이승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46-250
    • /
    • 2002
  • 감마선 조사가 왕겨, 미강, 맥강의 항산화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4.2 kGy/h의 속도로 각각 5, 10, 15, 20 kGy를 조산한 후, 메탄올 추출물을 제조하여 항산화능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감마선을 조사하지 않은 시료의 총 페놀함량을 측정한 결과, 왕겨가 0.873 mM, 미강이 0.643 mM, 맥강이 0.377 mM로 측정되었으며, 감마선 조사에 따른 총 페놀 함량은 조사선량에 상관없이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전자공여능의 측정결과 감마선을 조사하지 않은 왕겨, 미강, 맥강에서 모두 비슷한 활성을 보였으며, 감마선을 조사한 경우에도 모든 시료에서 조사선량에 따른 유의적인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TBARS분석에서는 감마선을 조사하지 않은 왕겨와 미강 추출물이 맥강 추출물보다 지질 과산화 억제력이 높았으며, 감마선 조사시에도 왕겨와 미강은 활성이 유지 또는 보유되었으나 맥강은 조사선량이 높을수록 지질의 산화 억제력이 상당히 감소되었다. 따라서 왕겨, 미강, 맥강의 페놀성분과 전자공여능에 관여하는 성분이 감마선에 매우 안정하며, 지질 과산화 억제능에 관여하는 성분은 왕겨와 미강의 경우에는 감마선에 안정하지만 맥강의 경우 불안정하였다.

사료 지질원으로 우지, 대두유 및 오징어 간유 첨가에 따른 조피볼락 Sebastes schlegeli의 성장 및 체성분 변화와 절식시 체내 대사 (Effects of Dietary Beef Tallow, Soybean Oil and Squid Liver Oil on Growth and Body Composition of the Korean Rockfish Sebastes schlegeli, and Biochemical Changes with Starvation)

  • 이상민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63-76
    • /
    • 1994
  • 사료의 n-3HUFA 함량이 $1.6\%$ 이상 함유되도록 조절한 3종의 실험 사료로 43g 전후의 조피볼락을 19주간 사육 실험한 후, 136g전후의 어체를 45일간 절식시켜 사료 지질원에 따른 조피볼락의 성장 및 체성분의 변화와 절식시 체내 대사를 조사하였다. 증중율, 사료 효율, 단백질 축적 효율 및 지질 축적 효율 모두 사료 지질원에 따른 유의차가 없었다$(P\geq0.05)$ 간과 등 근육의 총지질 중의 지방산은 사료 지질원의 조성비에 영향을 받아, monoene산은 우지 첨가구에, n-6계 지방산 (18:2n-6, 22:4n-6)들은 대두유 첨가구에, n-3계 지방산 (20 : 5n-3, 22 : 6n-3)들은 오징어 간유 단독 첨가구에 상대적으로 더 높게 조성되어 있었다. 전 어체 및 등 근육의 일반 성분은 실험구별로 차이가 없었으며, 간 중량비 및 내장 중량비도 차이가 없었다. 간과 내장의 수분 함량은 오징어 간유 구가 타 실험구에 비해 높았으며, 간지질 함량은 우지 첨가구가 가장 높았다. 간 중량비 및 내장 중량비는 모두 절식기간 중에 전체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오징어 간유 구가 타 실험구에 비해 그 감소폭이 컸다. 절식 15일까지는 근육 단백질과 지질이 감소하였고, 그 후부터는 간의 글리코겐 함량이 감소하였으며, 내장 지질은 절식 기간 중 계속 감소하는 현상을 보여 절식 중에 이용되는 에너지원의 형태와 시기가 다르게 나타났다. 혈청 성분은 지질원에 따라 절식 기간별로 이동되는 형태가 약간 다르게 나타나기는 하였으나, 절식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점차 그 차이는 없었다.

  • PDF

현미의 항돌연변이 활성물질의 구성성분 (Constituents of Antimutagenic Factor from Brown Rice)

  • 전향숙;문태화;김인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8권5호
    • /
    • pp.478-483
    • /
    • 1995
  • 한국산 쌀(일반계 일품벼)로부터 돌연변이 억제물질의 구성성분을 확인할 목적으로 methanol 추출물을 용매분획 및 column chromatography하여 활성 spot을 분리하고 정성 분석과 기기분석을 수행하였다. Ether, ethylacetate, butanol 및 수용성 용매 획분 가운데 ether 획분의 억제활성이 가장 높았으며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를 시행하여 성분을 분리하였을 경우 methanol추출물의 억제활성이 80% 이상으로 나타났던 결과와 비교하여 분리가 진행됨에 따라 억제활성은 $0{\sim}30%$로 감소하였다. 활성 물질을 정성분석한 결과 ferric chloride, 2,7-dichlorofluorescein, antimony pentachloride, phosphomolybdic acid, bromothymol blue, rhodamin 6G등의 시약에서는 양성을, ninhydrin, Bial's orcinol 시약에서는 음성을 나타내어 억제활성 물질은 페놀성 화합물과 지질성분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분리된 활성획분을 GC/Mass로 확인한 결과 o-hydroxy benzyl alcohol (saligenin), octanoic acid(caprylic acid), 9,12-cis-octadecadienoic acid(linoleic acid), 11-cis-octadecenoic acid(oleic acid), hexadecanoic acid(palmitic acid), 1H-indole-2-carboxylic acid, 및 1,2-benzenedicarxylic acid(phthalate)가 주요 구성성분인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이들 성분들의 억제활성은 표준시약을 사용한 항변이원성 시험에서 재확인되었다.

  • PDF

일광 폐광산 갱내에서 유래된 산성광산배수의 중금속 유출특성 (Discharge Characteristics of Heavy Metals in Acid mine Drainage from the Abandoned Ilgwang Mine)

  • 강동환;권병혁;유훈선;김선옥
    • 지질공학
    • /
    • 제20권1호
    • /
    • pp.79-87
    • /
    • 2010
  • 본 연구지역에서 2009년 3월부터 9월 사이에 5개 지점(배경수(BW), 산성광산배수(AMD0, AMD1, AMD2, AMD3))에서 수온, pH, Eh, EC, DO 성분 등이 현장에서 6회 관측되었으며, 폐광산 갱내 출구부(AMD0) 지점에서는 유량이 측정되었다. 일광 폐광산에서 유출되는 산성광산배수는 pH 3 이하의 강산성수이며, Eh 성분은 400~600 mV의 범위이었다. 산성광산배수의 EC 값은 주변 배경수에 비해 10배 이상 높았으며, DO 성분은 유출지점 하류부로 갈수록 대기와의 접촉을 통해 그 값이 증가되었다. 산성광산배수 내 중금속 이온의 농도는 Fe > Cu > Zn > Mn > As > Cd 순이었으며, Fe 성분의 농도가 81.870~474.30 mg/L 로서 가장 높았다. 중금속 성분별 최대농도 관측시기는 5월(As, Cd), 6월(Fe), 7월(Cu, Zn, Mn) 이었으며, 최소농도는 4월(Cd, Mn)과 9월(Fe, Cu, Zn, As)에 관측되었다. 산성광산배수에 용존된 중금속의 유출질량은 Fe 성분 53.44 kg, Cu 성분 6.25 kg, Zn 성분 5.26 kg, Mn 성분 2.13 kg, As 성분 0.14 kg, Cd 성분 0.04 kg 정도이었다. 폐광산에서 갱내에서 1일 동안 유출되는 6개 중금속의 전체 질량은 67.26 kg 이었으며, Fe 성분이 전체 유출질량의 79% 정도를 차지하고 있었다.

점오염원 형태의 유류누출 사건에 의한 실트질 토양층에서 BTEX와 TPH 성분의 오염도 연구 (The Contamination Characteristics of BTEX and TPH Components in Silty Soils with the Oil Leakage Event from Point Source)

  • 강동환;정상용;고동호
    • 지질공학
    • /
    • 제16권4호
    • /
    • pp.393-402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점오염원 형태의 유류누출이 발생되었던 실트질 토양층에서 BTEX와 TPH 성분의 오염특성이 연구되었다. TPH 성분의 토양오염기준별 초과율은 BTEX 성분에 비해 $1.5{\sim}1.7$ 배정도 높았다. BTEX와 TPH 성분의 채취지점별 평균과 최대값은 B-zone>A-zone>C-zone의 순이며, 두 성분 모두 지표면하 $1{\sim}2m$구간에서 오염농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오염원에서 수리경사 하부 방향으로 120m와 80m 이내인 지역에서는 BTEX와 TPH 농도가 이격거리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120 m 이상 이격된 지역에서는 토양오염기순 이하인 것으로 나타났다. BTEX와 TPH 성분에 대한 지시크리깅의 제한값으로는 토양오염 확인기준, 우려기준 및 대책기준 값이 적용되었다. 지시변환된 자료의 베리오그램 분석에 의하면, BTEX와 TPH성분 모두 선형모델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선형모델을 적용한 BTEX와 TPH 성분의 확률도에서 토양오염 확인기준과 우려기준의 오염 범위는 유사하게 나타났으나, 대책기준의 오염 범위는 매우 축소되었다. 토양오염 확인기준, 우려기준 및 대책기준에 의해 작성된 확률도에서 BTEX와 TPH 성분의 최대 오염 확률은 BTEX성분이 26%, 26% 및 13%, TPH 성분은 44%, 38% 및 26%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톳 유래 수용성 다당류의 Lipase 저해활성과 지질 및 체중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ater-Soluble Polysaccharides from Tott on Lipid Absorption and Animal Body Weight)

  • 백구;구본근;안병제;박제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556-562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유기용매를 이용한 추출을 지양하고 환경 친화적이고 간단한 추출방법을 고안하여 톳의 다당류 성분(WSP-A)을 추출해내었고, WSP-A가 지질의 흡수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in vitro 상으로 lipase inhibition assay와 in vivo로 고지방 식이로 비만을 유도한 rat을 이용한 동물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톳 유래 다당류는 alginate와 유사한 성분이지만 성분당 분석을 통하여 fucose가 주 당성분인 polysaccharide로 밝혀졌고, 이는 alginate보다 뛰어나고 안정한 lipase inhibitor로써 작용하였다. 또한 동물실험에서는 WSP-A를 포함하는 음용수로 제공한 것과 제공하지 않은 대조군은 무게 변화량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일 뿐 아니라 비만 예방군과 비만 치료군 사이에서도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식이섬유를 이용한 연구와 비교해보았을 때, 톳 유래 다당류는 식이섬유 이상의 효과뿐만 아니라 뛰어난 lipase inhibitor로 체중감량을 나타내었고 이는 인간췌장유래 리파아제(human pancreatic lipase)의 저해활성과 더불어 인체 내에서의 작용 가능성을 짐작하고 있다. 따라서 톳 유래 다당류 성분은 식이성 섬유의 공급원 뿐만 아니라 추후에 효소활성 저해 효과에 대한 보다 명확한 작용기전을 밝혀낸다면 단순한 건강 기능성 식품 소재보다 lipase inhibitor로써 항비만 약물로 고부가가치를 창출해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시판 소건멸치의 식품성분 특성 (Food Component Characteristics of Plain Dried Anchovies on the Market)

  • 김진수;양수경;허민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20-25
    • /
    • 2000
  • 소건멸치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시판 소건멸치의 식품학적 품질 특성(아미노산, 무기질 및 지방산과 같은 구성성분, 엑스분과 같은 맛성분, 과산화물값 및 산값과 같은 지질산패도 및 색조, 휘발성염기질소, 형상등과 기호도 등)에 대하여 자건품과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소건품은 자건품에 비하여 구성 아미노산, 무기질 및 지방산조성과 같은 식품영양성분 및 엑스분과 같은 맛성분이 우수하였고, 색조, 외형적 형상 등과 관능적인 면에서도 우수하였다. 그러나 소건품은 자건품에 비하여 고산화물값 및 산값이 높아 지질 산패가 많이 진행되었고, 휘발성염기질소 함량이 높으며, 이취가 강할 뿐만이 아니라 품질 등급 기준에서도 규정 외 등급으로 판정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소건 마른멸치는 식품영양적인 면과 외형적인 면에서는 우수하였으나, 위생적인 면과 이취 면에서 식품규격에 미달되었다. 따라서 일반 소건멸치가 죽방멸치 또는 일반멸치 정도의 품질로 소비자들에게 이용되기 위하여는 반드시 제조공정 중에 자숙공정에 상응하는 효소실활 처리가 동반되어야 하리라 판단되었다.

  • PDF